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으로서 사회적경제의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Social Economy as a Strategy to Revitalize the Regional Econom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도시의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적인 모델로 사회적 경제를 제시하였다. 최근 우리 사회는 지역 간의 불균형 발전으로 인한 실업문제, 빈부격차, 지역경제 불안정 등의...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도시의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적인 모델로 사회적 경제를 제시하였다. 최근 우리 사회는 지역 간의 불균형 발전으로 인한 실업문제, 빈부격차, 지역경제 불안정 등의 문제에 직면하면서 지역재생 및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한 대안을 찾기 위해 사회적 경제를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가 지역경제 활성화 등 지방 도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략적 대안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경제에 대한 중앙정부의 정책현황과 사회적경제의 의의를 살펴보고,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사회적경제 우수기업을 대상으로 정책적 수요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발전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유형별 사회적경제 기업의 성과와 한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사회적경제는 지역정책의 핵심으로 지역공동체를 기반으로 좋은 일자리와 사회적 서비스를 창출하고 있으며,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전략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적경제의 활용방안은 향후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에 매우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그러나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성 유지와 맞춤형 지원 방안에 대한 분야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보완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ed the social economy as an alternative model for solving the problems of local cities in Korea. Recently, our society has been paying attention to the social economy to find alternatives to regional regeneration and job creation, fa...

      This study presented the social economy as an alternative model for solving the problems of local cities in Korea. Recently, our society has been paying attention to the social economy to find alternatives to regional regeneration and job creation, facing problems such as unemployment, gap between rich and poor, and instability in the local economy due to unbalanced development between regions.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whether the social economy was a strategic alternative to solving problems in local cities, such as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To this end,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statu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ocial economy were examin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were analyzed, a survey was conducted on policy demands of outstanding social and economic companies, and a development plan was explored. As a result of the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social economic enterprises by type, and the social economy was the core of local policy, creating good jobs and social services based on local communities, and identified the possibility as a strategy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Furthermore, it is believed that the use of the social economy could provide very useful guidance for future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However, areas of sustainability and customized support for social and economic enterprises will need to be supplement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표현모, "협동조합 성공사례 ­몬드라곤과 볼로냐"

      2 신협서울협의회 퀘벡연수단, "퀘벡 협동조합 연수보고서" 신협서울협의회 2015

      3 양승희, "첫발뗀 사회적농업, 함께사는 따뜻한 농촌실현"

      4 최조순, "지역일자리 창출 정책의 제도적 동형화에 관한 연구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 정책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11 (11): 3-32, 2013

      5 양승희, "지역사회 문제 ‘사회적경제 혁신타운’에서 풀자"

      6 김종철, "지역균형발전의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2

      7 민족통일연구원, "지역갈등 해소방안 연구" 편집부 50-56, 1995

      8 김종민, "정책메모: 마을기업의 진화" 1-2, 2012

      9 박유진, "정부, 지역공동체 강화로 사회적경제 활성화 나선다"

      10 오푸름, "정부, 사회적경제 취 창업 지원 나선다…대학 내 학부 개설도"

      1 표현모, "협동조합 성공사례 ­몬드라곤과 볼로냐"

      2 신협서울협의회 퀘벡연수단, "퀘벡 협동조합 연수보고서" 신협서울협의회 2015

      3 양승희, "첫발뗀 사회적농업, 함께사는 따뜻한 농촌실현"

      4 최조순, "지역일자리 창출 정책의 제도적 동형화에 관한 연구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 정책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11 (11): 3-32, 2013

      5 양승희, "지역사회 문제 ‘사회적경제 혁신타운’에서 풀자"

      6 김종철, "지역균형발전의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2

      7 민족통일연구원, "지역갈등 해소방안 연구" 편집부 50-56, 1995

      8 김종민, "정책메모: 마을기업의 진화" 1-2, 2012

      9 박유진, "정부, 지역공동체 강화로 사회적경제 활성화 나선다"

      10 오푸름, "정부, 사회적경제 취 창업 지원 나선다…대학 내 학부 개설도"

      11 정관영, "이제는 사회적경제다 : 지역과 사람을 살리는 희망경제론"

      12 연제민, "세종시 사회적경제조직 특성과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세종국가정책대학원 2018

      13 이정식, "세계화와 지역발전" 한울아카데미 546-, 2001

      14 윤병권,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의 성과에 관한 연구 - 도시와 농촌 중심의 조직 간의 성과비교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03-216, 2017

      15 이홍택,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역산업생태계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를 사례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16 이홍택,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한 지역생태계에 관한 개념 틀: 호혜, 배려와 공공정책" 한국경제지리학회 21 (21): 254-269, 2018

      17 장성희, "사회적 기업의 기업가 지향성과 시장 지향성이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3 (23): 3479-3496, 2010

      18 김영철, "사회적 경제와 지역의 내발적 발전" 한국지역사회학회 19 (19): 25-49, 2011

      19 김경희, "사회적 경제를 통한 지역혁신의 가능성과 한계 - 마을기업과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한국공공사회학회 3 (3): 126-150, 2013

      20 양세훈,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의 거버넌스" 아담스 북 2012

      21 라현윤, "대통령에서 지역까지, 7개 키워드로 본 2019년 사회적경제"

      22 엄한진, "대안운동으로서의 사회적 경제: 프랑스 지역관리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이론사회학회 (18) : 169-203, 2011

      23 "다음백과"

      24 장형욱, "공급사슬구조에 따른 SCM 활동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5 (15): 173-193, 2006

      25 김서하, "person’s"

      26 장종익, "https://www.hs.ac.kr"

      27 Teasdale, S., "What’s in a name?The construction of social enterprise" 27 (27): 99-119, 2012

      28 Mazzei, M., "Understanding Difference : The Importance of Place in the Shaping of Local Social Economies" 28 : 2763-2784, 2016

      29 Purvis, M.,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retailing in England and Wales, Ageographical study" 16 (16): 314-331, 1990

      30 Mendell, M., "The Social Economy Divers Approaches and Practice: PRI­SSHRC Roundtable" 2004

      31 Amin, A., "Placingthe Social Economy" Routledge 2002

      32 Defourny, J., "Economie Sociale -The Third Sector" De Boeck 27-49,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