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탈모생쥐 모델(C57BL/6N mice와 Hairless mice)의 성장주기별 털의 생성 및 탈모와 관련된 인자들에 대한 연구 = (The) studies on the factors related normal hair growth and alopecia areata during the postnatal growth period in C57BL/6N mice and Hairless m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897276

      • 저자
      • 발행사항

        완주군 : 又石大學校 大學院, 200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우석대학교 대학원 , 한의학과 한의학전공 , 2004. 8

      • 발행연도

        200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14.765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33p. : 삽도(일부 색채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25-28

      • 소장기관
        • 우석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C57BL/6N 생쥐와 hairless 생쥐에서 털의 성장주기별로 일어나는 비만세포 수의 변화 및 neuropeptide들의 면역조직화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성장주기별로 일어나는 B림프구와 T림프구 및 T림프구의 아형에 관한 면역반응을 관찰함으로써 털의 성장주기별로 일어나는 탈모와 관련된 인자(factor)들을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57BL/6N 생쥐의 toluidin blue에 염색된 비만세포의 수는 출생후 1일째부터 35일째까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1일째 탈모가 일어난 부위에서는 증가하였다.
      2. C57BL/6N 생쥐의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에 의한 neuropeptide(substance P, CGRP, CRF, CRF-receptor 그리고 CRF-binding protein)의 염색강도에 있어서는 1, 3, 8일째에는 대체적으로 염색강도는 미약하였으나 35일째에는 매우 강하게 염색되었다. 또한 21일째 탈모생쥐와 29일째 탈모후 발모생쥐를 비교한 바 21일째 탈모생쥐에서 강하게 염색되었다.
      3. C57BL/6N 생쥐의 비장내 B/T림프구의 분포는 생후 3일째부터 35일째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생후 21째의 탈모군(no pigment)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비장 T림프구 중의 CD4/CD8 양성세포의 비율은 생후 3일째, 8일째, 35일째로 성장과 더불어 CD4/CD8 양성세포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후 21째의 탈모군(no pigment)에서는 29일째의 탈모군(pigment)비하여 특히 CD4 양성세포인 T_(H)림프구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4. Hairless 생쥐의 toluidin blue에 염색된 비만세포의 수는 출생후 3일째부터 7일째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13일째부터 21일째까지 비만세포의 수가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56일째의 비만세포는 탈과립된 비만세포를 많이 관찰할 수 있었다.
      5. Hairless 생쥐의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에 의한 neuropeptide (substance P, CGRP, RF)의 염색강도는 발모가 일어나는 3, 7, 13일째에는 미약하게 염색되었으나 탈모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17일째부터 완전탈모가 일어난 21일에서 56일째로 성장하면서 매우 강하게 염색되었다.
      6. Hairless 생쥐에서의 비장내 B/T림프구의 분포는 생후 13일째에 B/T림프구 모두 최대치를 보였다가 탈모가 시작되는 그후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로 감소하였다. 또한 비장 T림프구중의 CD4/CD8 양성세포의 비율도 역시 생후 13일째(발모시기)에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탈모 및 발모와 관련된 인자들은 비만세포 수의 변화, neuropeptide(substance P, CGRP, CRF)의 면역염색 강도 및 면역반응과 복합적인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C57BL/6N 생쥐와 hairless 생쥐에서 털의 성장주기별로 일어나는 비만세포 수의 변화 및 neuropeptide들의 면역조직화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성장주기별로 일어나는 B림프구와 T림프구 및 T림프구의 ...

      C57BL/6N 생쥐와 hairless 생쥐에서 털의 성장주기별로 일어나는 비만세포 수의 변화 및 neuropeptide들의 면역조직화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성장주기별로 일어나는 B림프구와 T림프구 및 T림프구의 아형에 관한 면역반응을 관찰함으로써 털의 성장주기별로 일어나는 탈모와 관련된 인자(factor)들을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57BL/6N 생쥐의 toluidin blue에 염색된 비만세포의 수는 출생후 1일째부터 35일째까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1일째 탈모가 일어난 부위에서는 증가하였다.
      2. C57BL/6N 생쥐의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에 의한 neuropeptide(substance P, CGRP, CRF, CRF-receptor 그리고 CRF-binding protein)의 염색강도에 있어서는 1, 3, 8일째에는 대체적으로 염색강도는 미약하였으나 35일째에는 매우 강하게 염색되었다. 또한 21일째 탈모생쥐와 29일째 탈모후 발모생쥐를 비교한 바 21일째 탈모생쥐에서 강하게 염색되었다.
      3. C57BL/6N 생쥐의 비장내 B/T림프구의 분포는 생후 3일째부터 35일째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생후 21째의 탈모군(no pigment)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비장 T림프구 중의 CD4/CD8 양성세포의 비율은 생후 3일째, 8일째, 35일째로 성장과 더불어 CD4/CD8 양성세포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후 21째의 탈모군(no pigment)에서는 29일째의 탈모군(pigment)비하여 특히 CD4 양성세포인 T_(H)림프구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4. Hairless 생쥐의 toluidin blue에 염색된 비만세포의 수는 출생후 3일째부터 7일째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13일째부터 21일째까지 비만세포의 수가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56일째의 비만세포는 탈과립된 비만세포를 많이 관찰할 수 있었다.
      5. Hairless 생쥐의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에 의한 neuropeptide (substance P, CGRP, RF)의 염색강도는 발모가 일어나는 3, 7, 13일째에는 미약하게 염색되었으나 탈모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17일째부터 완전탈모가 일어난 21일에서 56일째로 성장하면서 매우 강하게 염색되었다.
      6. Hairless 생쥐에서의 비장내 B/T림프구의 분포는 생후 13일째에 B/T림프구 모두 최대치를 보였다가 탈모가 시작되는 그후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로 감소하였다. 또한 비장 T림프구중의 CD4/CD8 양성세포의 비율도 역시 생후 13일째(발모시기)에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탈모 및 발모와 관련된 인자들은 비만세포 수의 변화, neuropeptide(substance P, CGRP, CRF)의 면역염색 강도 및 면역반응과 복합적인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Abstracts = 1
      • 서론 = 3
      • 재료 및 방법 = 6
      • 1. 실험동물 : C57BL/6N 생쥐와 hairness 생쥐에서 털의 성장 주기별 변화 = 6
      • 目次
      • Abstracts = 1
      • 서론 = 3
      • 재료 및 방법 = 6
      • 1. 실험동물 : C57BL/6N 생쥐와 hairness 생쥐에서 털의 성장 주기별 변화 = 6
      • 2. 관찰방법 = 8
      • ① 피부의 광학현미경적 소견 = 8
      • ② 피부의 면역조직화학염색 소견 = 8
      • ③ 비장과 흉선의 T & B 림프구와 아세포의 변화 = 9
      • 결과 = 10
      • 1. C57BL/6N 생쥐를 이용하여 탈모가 일어난 생쥐의 피부, 탈모 후 발모가 시작되는 생쥐의 피부 및 정상생쥐의 성장주기별 발모와 관련된 인자 관찰 = 10
      • 2. Hairness 생쥐의 특성을 이용하여 출생후 1일째부터 13일째까지 일어나는 발모시기와 17일째 이후의 탈모시기에 일어나는 털의 발생 및 탈모와 관련된 지표 관찰 = 12
      • 고찰 = 18
      • 결론 = 23
      • 참고문헌 = 25
      • Legends for Figures = 2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