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체육교과에 온라인 기반 혼합수업방식의 적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the Online-based Blended Teaching Method to College Physical Education Subj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802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four class types, which are online-based mixed classes, theoretical video content utilization type, practical video content utilization type, learning task-oriented performance type, and online real-time interactive type, which are online-based mixed classes, were applied to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 of H University in Gyeonggi-do. It is a case study exploring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The conclusions were drawn by analyzing the research data of lecture content and class type by week, student disposition and class demand questionnaire, learning task , lecture evaluation, online class attendance, and Q&A. First, the preferred online class type was theory/practical video lectures, and the class type students avoided was the real-time zoom clas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mixed class method were analyzed as an online-based convergence approach and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and convenience. Third, as for the application effect of the online mixed class method, the recognition of autonomous and voluntary self-directed learning and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of intelligence, virtue, and body using online contents was positive. Fourth, the limitations of online classes were the impossibility of immediate feedback on motor skills and movement and the absence of student-student relationship formation.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he online-based blended class method to the college physical education subject acts as a positive factor i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raise students' individual competency to lead learning, and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The need for a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physical education strategy was confirmed for the difficulties of various holistic education in social and physical aspects.
      번역하기

      In this study, four class types, which are online-based mixed classes, theoretical video content utilization type, practical video content utilization type, learning task-oriented performance type, and online real-time interactive type, which are onli...

      In this study, four class types, which are online-based mixed classes, theoretical video content utilization type, practical video content utilization type, learning task-oriented performance type, and online real-time interactive type, which are online-based mixed classes, were applied to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 of H University in Gyeonggi-do. It is a case study exploring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The conclusions were drawn by analyzing the research data of lecture content and class type by week, student disposition and class demand questionnaire, learning task , lecture evaluation, online class attendance, and Q&A. First, the preferred online class type was theory/practical video lectures, and the class type students avoided was the real-time zoom clas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mixed class method were analyzed as an online-based convergence approach and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and convenience. Third, as for the application effect of the online mixed class method, the recognition of autonomous and voluntary self-directed learning and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of intelligence, virtue, and body using online contents was positive. Fourth, the limitations of online classes were the impossibility of immediate feedback on motor skills and movement and the absence of student-student relationship formation.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he online-based blended class method to the college physical education subject acts as a positive factor i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raise students' individual competency to lead learning, and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The need for a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physical education strategy was confirmed for the difficulties of various holistic education in social and physical asp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 체육교과에 온라인 기반 혼합수업 형태인, 이론영상 컨텐츠 활용형, 실기영상 컨텐츠 활용형, 학습과제 중심 수행형, 온라인 실시간 양방향형의 4가지 수업 형태를 경기도 소재 H대학의 체육교과에 적용하여 효과성과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 사례연구이다. 주차별 강의내용 및 수업 유형, 학생 성향 및 수업요구도 조사지, 학습과제수행, 강의평가, 온라인 수강출석 및 질의응답 내용의 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들이 선호하는 온라인 수업 형태는 이론⋅실기영상강의, 기피하는 수업형태는 실시간 ZOOM 수업방식으로 나타났고, 둘째, 온라인 혼합수업방식의 특징으로는 체육교육 패러다임 전환과 온라인 기반의 융합적 사고와 학습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온라인 혼합수업방식의 적용 효과는 자율⋅자발적인 자기주도적 학습과 온라인 컨텐츠를 활용한 지·덕·체의 통합적 체육교육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수업의 한계는 운동기술 동작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의 불가능과 학생과 학생 간의 관계 형성의 부재로 나타났으며, 개선되어야 할 내용들이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대학 체육교과에 온라인 기반 혼합수업방식의 적용은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학생들의 개인역량을 주도적인 학습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는 장점과 온라인에서의 체육교육이 갖는 정서적⋅사회적⋅신체적 측면의 다양한 전인교육에 대한 어려움에 대한 보완 및 대안적인 체육교육의 전략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 체육교과에 온라인 기반 혼합수업 형태인, 이론영상 컨텐츠 활용형, 실기영상 컨텐츠 활용형, 학습과제 중심 수행형, 온라인 실시간 양방향형의 4가지 수업 형태를 경기도 소...

      본 연구는 대학 체육교과에 온라인 기반 혼합수업 형태인, 이론영상 컨텐츠 활용형, 실기영상 컨텐츠 활용형, 학습과제 중심 수행형, 온라인 실시간 양방향형의 4가지 수업 형태를 경기도 소재 H대학의 체육교과에 적용하여 효과성과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 사례연구이다. 주차별 강의내용 및 수업 유형, 학생 성향 및 수업요구도 조사지, 학습과제수행, 강의평가, 온라인 수강출석 및 질의응답 내용의 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들이 선호하는 온라인 수업 형태는 이론⋅실기영상강의, 기피하는 수업형태는 실시간 ZOOM 수업방식으로 나타났고, 둘째, 온라인 혼합수업방식의 특징으로는 체육교육 패러다임 전환과 온라인 기반의 융합적 사고와 학습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온라인 혼합수업방식의 적용 효과는 자율⋅자발적인 자기주도적 학습과 온라인 컨텐츠를 활용한 지·덕·체의 통합적 체육교육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수업의 한계는 운동기술 동작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의 불가능과 학생과 학생 간의 관계 형성의 부재로 나타났으며, 개선되어야 할 내용들이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대학 체육교과에 온라인 기반 혼합수업방식의 적용은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학생들의 개인역량을 주도적인 학습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는 장점과 온라인에서의 체육교육이 갖는 정서적⋅사회적⋅신체적 측면의 다양한 전인교육에 대한 어려움에 대한 보완 및 대안적인 체육교육의 전략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은영 ; 신미경,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활용한 교직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547-557, 2018

      2 오의금, "포스트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간호의 전망과 대책" 한국성인간호학회 32 (32): 221-222, 2020

      3 김병민, "팬데믹 상황에서 예체능 전공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업정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60 (60): 281-298, 2021

      4 김승환 ; 천성민, "코로나19에 따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의 온라인 수업 운영과 강사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81) : 9-26, 2020

      5 홍성연 ; 유연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6 (36): 957-989, 2020

      6 김현우 ; 최민수,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중⋅고등학교 온라인 체육수업 활용 실태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25 (25): 41-53, 2020

      7 손나래 ; 정태린,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비대면 대학체육 실기수업 현황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30 (30): 733-751, 2021

      8 김성덕 ; 김주영,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체육전공 대학생의 교수실재감, 온라인 수업 만족도, 인지된 학업 성취도 및 지속참여의사의 관계" 체육과학연구소 39 (39): 301-309, 2021

      9 이만기 ; 조은별 ; 임효성,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체육계열 대학생의 원격수업 학습경험 탐색"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421-430, 2021

      10 최현규 ; 조순묵, "코로나 이후, 온라인 체육교육의 실태와 발전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535-560, 2021

      1 강은영 ; 신미경,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활용한 교직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547-557, 2018

      2 오의금, "포스트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간호의 전망과 대책" 한국성인간호학회 32 (32): 221-222, 2020

      3 김병민, "팬데믹 상황에서 예체능 전공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업정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60 (60): 281-298, 2021

      4 김승환 ; 천성민, "코로나19에 따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의 온라인 수업 운영과 강사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81) : 9-26, 2020

      5 홍성연 ; 유연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6 (36): 957-989, 2020

      6 김현우 ; 최민수,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중⋅고등학교 온라인 체육수업 활용 실태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25 (25): 41-53, 2020

      7 손나래 ; 정태린,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비대면 대학체육 실기수업 현황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30 (30): 733-751, 2021

      8 김성덕 ; 김주영,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체육전공 대학생의 교수실재감, 온라인 수업 만족도, 인지된 학업 성취도 및 지속참여의사의 관계" 체육과학연구소 39 (39): 301-309, 2021

      9 이만기 ; 조은별 ; 임효성,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체육계열 대학생의 원격수업 학습경험 탐색"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421-430, 2021

      10 최현규 ; 조순묵, "코로나 이후, 온라인 체육교육의 실태와 발전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535-560, 2021

      11 배상훈, "코로나 19가 우리나라 대학에 미친 영향과 향후 과제" 2020

      12 강신복, "체육과교육과정의 국제동향 탐색" 1-22, 2005

      13 교육부,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 기준안 마련"

      14 유기웅, "질적연구방법의이해" 박영사 2012

      15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V): 체육, 음악, 미술.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16 최의창, "전인지향적 체육교육론으로서의 인문적 체육교육: 탐색적 분석" 한국체육학회 48 (48): 243-260, 2009

      17 조수선 ; 주라헬, "전면적 원격수업 상황에서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코로나 불안의 조절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6 (26): 909-934, 2020

      18 이현주 ; 하숙례, "온라인 실기·실습수업에 따른 걱정거리가 자기효능감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9 (19): 29-41, 2021

      19 이철원, "여가학의 질적연구방법론" 레인보우북스 2013

      20 송수연 ; 김한경, "언택트 시대의 대학교육: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강의 만족도와 수강지속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1 (21): 1099-1126, 2020

      21 기영화 ; 노호정, "대학에서의 온라인 수업과 블랜디드 러닝 수업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연구: S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 (1): 63-80, 2005

      22 강유석 ; 조가람, "대학 특수체육수업에 대한 Blended-PBL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체육학회 59 (59): 413-427, 2020

      23 류민정, "대학 체육교과에서 온라인 수업(online course)의 구조와 적용 가능성 탐색: 미국 대학 체육교과 사례를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소 15 (15): 353-370, 2011

      24 이수희,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호텔리조트학회 20 (20): 221-240, 2021

      25 Garrison, D. R., "Thinking collaboratively : Learning in a community of inquiry" Routledge 2016

      26 Heinemann, M. H.,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in online technological education. Part four : Findings and conclusions" 6 : 185-206, 2007

      27 Creswell, J.,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methods and approaches" Sage Publication 2003

      28 Woods, D. R., "Problem-based learning: How to gain the most from PBL" McMaster University 1994

      29 Corbin, C., "Physical activity for everyone : What every physical educator should know about promoting lifelong physical activity" 21 : 128-144, 2002

      30 Khan, B. H., "E-learning strategies" 서현사 2004

      31 Clark, R. C., "E-learning and the science of instruction : Proven guidelines for consumers and designers of multimedia learning" Pfeiffer 2003

      32 최형미 ; 이동국, "COVID-19에 따른 중등 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047-1071, 2020

      33 Remuzzi, A., "COVID-19 and Italy : What next?" 395 (395): 1225-1228,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2 0.665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