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단절 및 거절도식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 자기-상대방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Marit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on the Marital Intimacy: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678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신이 지각하는 배우자지지가 단절 및 거절도식이라는 기제의 영향을 받아 부부 쌍방의 부부친밀감 형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고찰해보고자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

      본 연구는 자신이 지각하는 배우자지지가 단절 및 거절도식이라는 기제의 영향을 받아 부부 쌍방의 부부친밀감 형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고찰해보고자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 pendence Model: APIM)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 경기, 전남에 거주하는 20대∼70대의 부부 247쌍(N=494명)으로 유의표집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단절 및 거절도식이 배우자지지, 부부친밀감과는 부적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남편의 단절 및 거절도식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은 자신이나 상대방인 부인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부인의 경우는 자신의 부부친밀감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 상호간 변인들 간의 효과에서는 남편은 모든 변인들이 자신과 부인에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나, 부인의 경우 단절 및 거절도식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신에게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있으나 상대적으로 남편에게 미치는 영향은 지각된 배우자지지에서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정서적 표현이 자유롭지 못한 남편들의 경우 지각된 배우자지지를 통한 부부친밀감을 매우 영향력 있게 지각하는 반면, 부인의 경우 스스로 느끼는 돌봄이나 안정감이 친밀감 형성에 기여함으로써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남편의 도식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how the perceived marital support is influenced by the mechanism of early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marital intimacy of both married couples. Therefore, this wa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how the perceived marital support is influenced by the mechanism of early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marital intimacy of both married couples. Therefore, this was analyzed through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7 couples (N=494) among the 20s∼70s, living in the districts of Seoul, Gyeonggi, Jeonn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was found to be high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rital support and marital intimacy. Second, the husband's initial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ffected the intimacy of himself or his wife's, but the wife's did only the intimacy of herself.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between the variables of husband and wife, in the case of husband all the variables had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the husband and the wife. In the case of the wife, the effect of th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on the marital intimacy had a direct effect on the actor, but the partner influence on the husband was found only in the perceived marital suppo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case of husbands who are not free of emotional expressions, they can feel the intimacy of married couples through the support of their spouses very strongly. Also, since the sense of care or secure that wives themselves feel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intimacy, husbands' schema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ir marital intimacy.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은숙, "초기부적응도식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료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109-123, 2014

      2 표미림, "초기부적응도식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갈등대처행동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3 길영란, "초기부적응도식, 스트레스, 회피대처행동, 정서조절, 책임귀인과 결혼만족의 관계"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2

      4 구성희, "초기 부적응도식이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5 조성호, "초기 부적응 도식과 심리적 부적응"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775-788, 2002

      6 이미열, "청소년기 애착과 우울증과의 관계 :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6

      7 우명순,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에 관한 연구 : 자아정체감과 부부의사소통, 양성평등의식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8 김진아, "정서표현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자기효과 및 상대방 효과;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2016

      9 김정진, "자존감과 친밀감의 관계에서 자기개방, 지각된 타인지지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10 전영경, "임부의 신체상과 우울, 배우자지지, 임신 전 체질량 지수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2016

      1 최은숙, "초기부적응도식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료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109-123, 2014

      2 표미림, "초기부적응도식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갈등대처행동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3 길영란, "초기부적응도식, 스트레스, 회피대처행동, 정서조절, 책임귀인과 결혼만족의 관계"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2

      4 구성희, "초기 부적응도식이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5 조성호, "초기 부적응 도식과 심리적 부적응"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775-788, 2002

      6 이미열, "청소년기 애착과 우울증과의 관계 :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6

      7 우명순,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에 관한 연구 : 자아정체감과 부부의사소통, 양성평등의식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8 김진아, "정서표현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자기효과 및 상대방 효과;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2016

      9 김정진, "자존감과 친밀감의 관계에서 자기개방, 지각된 타인지지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10 전영경, "임부의 신체상과 우울, 배우자지지, 임신 전 체질량 지수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2016

      11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 Amos4. 0~20. 0 공용" 한나래 아카데미 2015

      12 석지은, "애착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 심리도식을 매개변인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3 조현정,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과 초기 성인기 이성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 : 초기부적응도식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4 구성열, "아동기 외상경험이 데이트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심리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15 Young, J. E., "심리도식치료" 학지사 2005

      16 남순현, "신혼기 부부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결혼 후 친밀감에 미치는 원가족의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505-522, 2003

      17 김시연,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결혼만족 간 관계: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검증"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189-213, 2010

      18 이영란, "성인애착과 부부친밀감의 관계 : 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2

      19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20 김시연, "부적응 도식과 일상적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부부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243-1265, 2008

      21 이지혜, "부적응 도식과 결혼만족간의 관계 :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2 이경희,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 유형"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23 박민지,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원가족 분화수준과 가족규칙 및 부부의사소통"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24 정교영, "부부치료의 주요 이론적 접근과 최근 연구동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1-30, 2007

      25 박영화,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71-100, 2005

      26 이인수, "부부의 원가족건강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381-400, 2015

      27 강혜숙, "부부의 성격특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한국상담학회 13 (13): 2861-2880, 2012

      28 정복자, "부부의 마음챙김, 내외통제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자기-상대방상호의 존성모형(APIM)적용" 백석대학교 2016

      29 최규련, "부부문제와 부부상담" 도서출판 신정 2015

      30 천미애, "맞벌이 여교사의 수면 질과 양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일-가정 갈등과 배우자 지지의 조절 효과" 서강대학교 2015

      31 정문경, "마인풀니스(mindfulness)가 지각된 배우자지지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검증" 한국상담학회 13 (13): 2589-2606, 2012

      32 정여진, "노인의 부부친밀감과 성공적 노화간의 관계에 대한 자녀애착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2 (32): 185-206, 2012

      33 양소라, "난임 여성의 비합리적 부모신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배우자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2015

      34 조은경, "기혼남녀의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9 (9): 1313-1331, 2008

      35 김대광, "기혼남녀의 원가족 정서성과 공감능력 및 배우자지지가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2

      36 김대광, "기혼남녀의 원가족 정서성과 공감능력 및 배우자지지가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149-165, 2013

      37 박봉순, "기혼남녀의 원가족 분화경험과 자아정체감 및 자녀에 대한 태도가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38 윤인지, "기혼남녀의 애착안정성, 자기개방, 배우자지지가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2016

      39 김승옥, "기혼남녀의 마음챙김과 일치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21 (21): 203-229, 2013

      40 윤 희, "교대근무 간호사와 남편의 피로, 직무스트레스, 배우자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자기 효과와 상대방효과" 경희대학교 2016

      41 Patton, 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marital intimacy in the marriages of psychiatric patients" 10 (10): 201-206, 1984

      42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51 (51): 1171-1182, 1986

      43 Cutrona, C. E., "The handbook of social support and the family" 173-194, 1996

      44 Hatfield, E., "The danger of intimacy: communication, intimacy, and close relationship" Academic Press 1984

      45 Cook, W. L.,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 A model of bidirectional effects in developmental studies" 29 (29): 101-109, 2005

      46 Sobel, M. E., "Some new results on indirect effects and their standard error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s" 16 (16): 159-186, 1986

      47 Dehle, C., "Social support in marriage" 29 : 307-324, 2001

      48 Brown, G. W., "Social origins of depression : A study of psychiatric disorder in women" 8 (8): 501-504, 1978

      49 Katz, J., "Self-enhancement versus new self-verification: Does spousal support always help?" 20 (20): 345-360, 1996

      50 Heller, K., "Preventive Psycholog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ergamon Press 87-103, 1983

      51 Kenny, D. A., "Models of non-independence in dyadic research" 13 (13): 279-294, 1996

      52 Jacobson, N. S., "Marital therapy: strategies based on social learning and behavior exchange principles" Brunner/Mazel, Inc 1979

      53 Koblik, M. M., "Investigation of Social Support in Newlywed Couples as a Predictor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A Longitudinal Study" University of Queensland 2010

      54 Stiles, O. E.,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intimacy in young adults romantic relation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lliant International University 2004

      55 Freeman, N., "Constructive thinking and early maladaptive schemas as predictors of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Biola University 1999

      56 Young, J. E., "Cognitive therapy for personality disorder" Professional Resource Press 1990

      57 Sobel, M. 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 : 290-312,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