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 Mediation Effects of Hope and Meaning in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678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and meaning in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404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questi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and meaning in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404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to measure social support, hope, meaning in life, and career maturity was administered to the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significantly on hope and meaning in life, but it had not a direct effect on career maturity. Moreover, hope had a direct effect on meaning in life, and hope and meaning in life were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significantly on career maturity.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hope and meaning in lif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that is, social support influenced career maturity only through hope and meaning in life. Finally, hope and meaning in life double-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In other words, social support influenced career maturity through hope and meaning in life sequentiall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04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04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희망, 삶의 의미, 진로성숙도 척도를 사용하여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는 희망과 삶의 의미에 직접효과가 있었으나, 진로성숙도에는 직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희망은 삶의 의미와 진로성숙도에, 삶의 의미는 진로성숙도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지지는 희망과 삶의 의미를 통해서만 진로성숙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나, 사회적 지지가 희망과 삶의 의미를 순차적으로 거쳐 진로성숙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진로성숙도와 관련하여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문규,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2 (12): 505-522, 2011

      2 이은영, "희망과 자아정체감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3 조명실,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상담학회 8 (8): 1085-1099, 2007

      4 원두리,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0 (10): 211-225, 2005

      5 임현정, "학교활동 경험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261-281, 2011

      6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2007

      7 송영명, "특목고 및 자율고 학생의 입학유형과 가정형편 및 자아개념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1-14, 2011

      8 조한익,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 희망, 우울증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153-174, 2011

      9 장효진,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67-78, 2010

      10 김택호, "청소년의 탄력성 과정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매개 효과" 한국상담학회 5 (5): 743-772, 2004

      1 박문규,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2 (12): 505-522, 2011

      2 이은영, "희망과 자아정체감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3 조명실,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상담학회 8 (8): 1085-1099, 2007

      4 원두리,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0 (10): 211-225, 2005

      5 임현정, "학교활동 경험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261-281, 2011

      6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2007

      7 송영명, "특목고 및 자율고 학생의 입학유형과 가정형편 및 자아개념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1-14, 2011

      8 조한익,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 희망, 우울증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153-174, 2011

      9 장효진,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67-78, 2010

      10 김택호, "청소년의 탄력성 과정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매개 효과" 한국상담학회 5 (5): 743-772, 2004

      11 김현옥,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 8 (8): 143-160, 1989

      12 정미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삶의 의미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28 : 64-93, 2004

      13 안혜진, "청소년의 자아개념,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안암교육학회 21 (21): 279-303, 2015

      14 서울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 男 ‘학업진로’ 女 ‘대인관계’고민"

      15 이기학, "진로태도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위한 도구" 8 : 219-255, 1997

      16 신효정, "진로성숙 발달에 관한 4년 종단 연구 - 스트레스, 공격성, 우울의 효과 -"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39-161, 2011

      17 김봉환, "진로상담이론" 학지사 2010

      18 김인주, "지각된 사회적 지지, 탈중심화,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대리 외상을 경험한 성폭력 지원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상담학회 16 (16): 55-73, 2015

      19 하영숙,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4) : 153-180, 2013

      20 이승국, "중학생의 진로성숙 수준과 개인의 내ㆍ외적 변인과의 관계" 11 (11): 187-229, 2000

      21 오석영, "중학생의 관계형성 및 자기효능감이 진로경험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학희망계열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77-94, 2012

      22 Frankl, V. E., "죽음의 수용소에서" 청아출판사 2005

      23 교육부, "제2차 진로교육 5개년 기본계획" 교육부 2016

      24 이희경, "정서적 지지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관계성을 통한 진정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7 (17): 45-64, 2016

      25 배향란,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삶의 의미와 희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2

      26 김신정, "의미요법 교육 프로그램이 사춘기 초기 암환아의 삶의 의미발견에 미치는 효과" 대한종양간호학회 13 (13): 49-57, 2013

      27 장유미, "위기 상황과 현재 상황에서 중학생의 희망 재충전 및 증진 전략 탐색: 개념도(concept map)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243-270, 2016

      28 김정숙, "여대생의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9 (9): 5-14, 2006

      29 김미란,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한국상담학회 7 (7): 1093-1106, 2006

      30 기채영, "아동의 스트레스와 자기격려 및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 12 (12): 117-133, 2009

      31 한미현,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32 이희경,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희망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를 매개로" 한국상담학회 11 (11): 1501-1517, 2010

      33 조은혜,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과정에 따른 진로성숙도: 긍정 정서와 긍정적 재해석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학회 13 (13): 2049-2065, 2012

      34 이나경, "삶의 의미가 대학생의 진로미래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71-399, 2016

      35 박은선, "삶의 의미 연구의 국내 동향과 과제" 이화사회과학원 29 : 267-299, 2013

      36 최명심, "삶의 의미 수준과 자존감, 대인관계, 사회적 지지 및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16 (16): 363-377, 2011

      37 원두리, "사회적지지, 희망 및 문제해결 대처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희망과 문제해결 대처의 매개역할" 한국건강심리학회 16 (16): 297-311, 2011

      38 조한익, "사회적 지지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65-87, 2009

      39 오정아,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도ㆍ농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2 (22): 49-77, 2015

      40 한수현,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41 김영혜, "사회인지진로이론적 관점에 근거한 국내 진로발달연구의 동향 분석: 대학생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1-18, 2012

      42 신종임, "부모지지, 희망 및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11 (11): 45-59, 2008

      43 이정규,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고3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571-586, 2006

      44 이지연, "남녀 대학생의 진로선택모형 검증 :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흥미와 목표의 관계에서" 17 : 75-100, 2007

      45 권석만, "긍정 심리학(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8

      46 이혜정, "교육자치와 일반자치간의 교육협력 발전방안 모색 - 우수 교육협력사업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33 (33): 57-79, 2012

      47 김도연,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9 (19): 71-91, 2012

      48 박희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과 희망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15 (15): 515-533, 2012

      49 이기학, "고등학생의 진로태도 성숙과 개인적 특성 및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10 (10): 167-189, 1998

      50 박은주, "고등학생의 삶의 의미와 진로장벽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7 (7): 37-55, 2012

      51 김소라, "고등학생 진로체험과 프로그램 평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167-190, 2016

      52 황은숙, "고등학생 의미교육을 제안하기 위한 일연구 : Frankl의 개념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0

      53 홍세희, "고급연구방법론 워크샵, 구조방정식 모형 : 중급 다양한 모형" S&M 리서치 2011

      54 허정철,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6 (16): 774-784, 2016

      55 박미정,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희망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22 (22): 34-41, 2016

      56 Otto, L. B., "Youth perspectives on parental career influence" 16 (16): 198-217, 2000

      57 Yakushko, O., "Work hope and influences of the career development" 51 : 44-55, 2010

      58 Diemer, M. A., "Vocational hope and vocational identity : Urban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15 (15): 98-118, 2007

      59 Kenny, M. E., "Urban adolescents’ construction of supports and Barriers to education and career attainment" 54 (54): 336-343, 2007

      60 Gall, T. L.,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role of spirituality in relation to coping and health : A conceptual framework" 46 (46): 88-104, 2005

      61 Lent, R. W.,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45 (45): 79-122, 1994

      62 Snyder, S., "The will and the ways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difference measure of hope" 60 (60): 570-585, 1991

      63 Snyder, C. R., "The roles of hopeful thinking in preventing problems and enhancing strength" 9 (9): 249-269, 2000

      64 Felsman, D. E., "The role of peer relatedness in late adolescent career development" 54 (54): 279-295, 1999

      65 Keller, B. K., "The role of parental influences on young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16 (16): 198-217, 2008

      66 Varahranmi, A., "The relationships between meaning, hope,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3 (3): 1-13, 2010

      67 Super, D. E., "The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16 (16): 282-298, 1980

      68 Wong, P. T. P., "The human quest for meaning: A handbook of psychological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Lawrence Erlbaum 1998

      69 Steger, M. F.,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70 Snyder, C. 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hildren’s Hope Scale" 22 (22): 399-421, 1997

      71 Snyder, C. R., "TARGET ARTICLE : hope theory : Rainbows in the mind" 13 (13): 249-275, 2002

      72 Arderson, J.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103 (103): 411-423, 1988

      73 Dunn, M. G., "Psychological health and meaning in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religious coping in Latina/Latino immigrants" 31 (31): 204-227, 2009

      74 Halama, P., "Meaning in life and hope as predictors of positive mental health: do they explain residual variance not predicted by personality traits?" 49 (49): 191-200, 2007

      75 Krause, N., "Longitudinal study of social support and meaning in life" 22 (22): 456-469, 2007

      76 Betz, N. E., "Implication of the null environment hypothesis for women’s career development and for counseling psychology" 17 (17): 136-144, 1989

      77 Feldman, D. B., "Hope and the Meaningful Life : Theoretical and empirical associations between goal-directed thinking and life meaning" 24 (24): 401-421, 2005

      78 McGee, R. F., "Hope : A factor influencing crisis resolution" 6 (6): 34-44, 1984

      79 이일현, "Easy Flow 회귀분석" 한나래 아카데미 2014

      80 Settersten, R. A., "Challenges of the third age: meaning and purpose in later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55-74, 2002

      81 Ketterson, T. U.,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46 (46): 167-178, 1997

      82 Hedayati, M. A. M.,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meaning in life and adult hope" 114 (114): 598-601, 2014

      83 여성가족부, "2015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결과" 여성가족부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