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공감능력 및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구조적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type, empathic ability and teaching schemes for behavioral probl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1593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 문 초 록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공감능력 및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구조적 관계
      중부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상담학과 신은주
      지도교수 홍성호
      본 연구는 영유아의 문제행동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인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과 공감능력의 구조적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목적은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육
      교사의 TA 성격유형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또한 보육교사
      의 TA 성격유형이 공감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 방법에 적용한 표본 추출 방식은 비확률표집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 조
      사 기간은 2021년 8월 19일부터 9월 3일까지로 하였고, 표집을 위한 지역 설정은 서
      울과 경기, 인천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자료 수집 기간 기준으로 보육교사는 국·공립,
      민간(공공형 포함) 및 직장, 가정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자료 수집은 온라인 플랫폼과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총 400명의 자
      료를 수집하였다.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였고 이상
      치 및 불성실하게 응답한 20여 건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38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보육교사의 TA 성격특성 척도는 K-KSEG척도 (교류분석의
      이고그램을 김종호(2009)가 한국 실정에 맞게 표준화한 한국형 이고그램 척도)를 사
      용하였고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척도-교사용 (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TSQ)은 홍성호(2015)가 수정 보완하고 중요도를 첨가한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다. 보
      육교사의 공감능력에 관한 설문지는 박성희(1997)가 개발 후 이상순(2008)이 재구성한
      설문지로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에 대한 검정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으로 시행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과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간의 직접 효과
      를 검증한 결과 권위적인 비판적 어버이자아(CP)와 본능적이고 자발적인 자유로운
      어린이자아(FC), 순응하는 어린이자아(AC)는 공감능력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통계적
      으로 무의미하게 나타났다. 온화하고 수용적인 양육적 어버이자아(NP)와 논리적이며
      객관적인 어른자아(A)는 공감능력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둘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의 직접 효과검증에서는 인지공
      감은 문제행동 지도전략에는 유의미하고 정서적 공감은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인 자유로운 어린이자아(FC) 그리고 양
      육적 어버이자아(NP)는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정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넷째,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과 공감능력,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구조적 관계를 분
      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성격유형과 하위요인인 양육적 어버이자아(NP)는 정서적 공감
      을 매개로 하여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인 엄격하고 통제적인
      비판적 어버이자아(CP)는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부적 영향을 주었고, 온화하고 수용적
      인 양육적 어버이자아(NP)와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어른자아(A)는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은 문제행동 지도전략
      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인 허용
      적이고 수용적인 양육적 어버이자아(NP)는 정서 공감을 매개로 하여 문제행동 지도
      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주제어 : TA 성격유형, 문제행동, 문제행동 지도전략, 공감능력
      번역하기

      국 문 초 록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공감능력 및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구조적 관계 중부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상담학과 신은주 지도교수 홍성호 본 연구는 영유아의 문제행동 인식에...

      국 문 초 록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공감능력 및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구조적 관계
      중부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상담학과 신은주
      지도교수 홍성호
      본 연구는 영유아의 문제행동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인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과 공감능력의 구조적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목적은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육
      교사의 TA 성격유형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또한 보육교사
      의 TA 성격유형이 공감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 방법에 적용한 표본 추출 방식은 비확률표집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 조
      사 기간은 2021년 8월 19일부터 9월 3일까지로 하였고, 표집을 위한 지역 설정은 서
      울과 경기, 인천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자료 수집 기간 기준으로 보육교사는 국·공립,
      민간(공공형 포함) 및 직장, 가정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자료 수집은 온라인 플랫폼과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총 400명의 자
      료를 수집하였다.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였고 이상
      치 및 불성실하게 응답한 20여 건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38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보육교사의 TA 성격특성 척도는 K-KSEG척도 (교류분석의
      이고그램을 김종호(2009)가 한국 실정에 맞게 표준화한 한국형 이고그램 척도)를 사
      용하였고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척도-교사용 (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TSQ)은 홍성호(2015)가 수정 보완하고 중요도를 첨가한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다. 보
      육교사의 공감능력에 관한 설문지는 박성희(1997)가 개발 후 이상순(2008)이 재구성한
      설문지로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에 대한 검정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으로 시행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과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간의 직접 효과
      를 검증한 결과 권위적인 비판적 어버이자아(CP)와 본능적이고 자발적인 자유로운
      어린이자아(FC), 순응하는 어린이자아(AC)는 공감능력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통계적
      으로 무의미하게 나타났다. 온화하고 수용적인 양육적 어버이자아(NP)와 논리적이며
      객관적인 어른자아(A)는 공감능력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둘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의 직접 효과검증에서는 인지공
      감은 문제행동 지도전략에는 유의미하고 정서적 공감은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인 자유로운 어린이자아(FC) 그리고 양
      육적 어버이자아(NP)는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정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넷째,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과 공감능력,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구조적 관계를 분
      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성격유형과 하위요인인 양육적 어버이자아(NP)는 정서적 공감
      을 매개로 하여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인 엄격하고 통제적인
      비판적 어버이자아(CP)는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부적 영향을 주었고, 온화하고 수용적
      인 양육적 어버이자아(NP)와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어른자아(A)는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은 문제행동 지도전략
      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인 허용
      적이고 수용적인 양육적 어버이자아(NP)는 정서 공감을 매개로 하여 문제행동 지도
      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주제어 : TA 성격유형, 문제행동, 문제행동 지도전략, 공감능력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목 차 ⅰ
      • 표 목 차 ⅳ
      • 목 차
      • 목 차 ⅰ
      • 표 목 차 ⅳ
      • 그 림 목 차 ⅵ
      • 국 문 초 록 ⅶ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3. 용어정의 7
      • 가. TA 성격유형 7
      • 나. 공감능력 7
      • 다. 문제행동 지도전략 8
      • II. 이론적 배경 9
      • 1. 성격의 개념 9
      • 가. 성격의 정의 9
      • 나. 성격이론의 발달과정 12
      • 다. 자아 상태 19
      • 2. 영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25
      • 가. 영유아 문제행동 지도 25
      • 나. 문제행동 지도전략 33
      • 3. 공감능력의 개념 36
      • 가. 인지적 공감 39
      • 나. 정서적 공감 41
      • 다.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에 관련 선행연구 43
      • 4.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 공감능력, 문제행동 지도전략과의 관계 45
      • 가.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과 문제행동 지도전략과의 관계 45
      • 나.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과 공감능력과의 관계 47
      • 다.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공감능력 매개기능 49
      • Ⅲ. 연구방법 52
      • 1. 연구 참여자 52
      • 2. 측정도구 및 설문지구성 53
      • 가. TA 성격유형 53
      • 나. 영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척도-교사용 54
      • 다. 공감능력 55
      • 3. 구성 타당도 검증 56
      • 가. TA 성격유형의 탐색적 요인분석 56
      • 나. TA 성격유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57
      • 다. 공감능력의 탐색적 요인분석 61
      • 라. 공감능력의 확인적 요인분석 63
      • 마.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탐색적 요인분석 66
      • 바.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확인적 요인분석 67
      • 4. 연구 모형 및 연구가설 70
      • 5. 자료 분석 방법 73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75
      • 1. 변인 간 상관 분석 75
      • 가. TA 성격유형과 공감능력과의 상관관계 75
      • 나. TA 성격유형과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상관관계 76
      • 다. 공감능력과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상관관계 77
      • 2. 연구 모형 검증 80
      • 가. 연구 모형의 적합도 검증 80
      • 나. 가설 검증 80
      • 다. 간접 효과 검증 : Phantom 변수의 사용 84
      • Ⅴ. 요약 및 결론 86
      • 1. 요약 86
      • 2. 결론 91
      • 참고문헌 96
      • ABSTRACT 115
      • 부록 118
      • 표 목 차
      • <표Ⅱ-1> 심리학자들의 성격의 정의 10
      • <표Ⅱ-2> Egogram 척도 구인의 정의 23
      • <표Ⅱ-3> 발달적 개관 25
      • <표Ⅱ-4> 문제행동 지도 전략 척도에서의 구성요인 35
      • <표Ⅱ-5> 공간의 개념 38
      • <표Ⅱ-6> 공감의 인지적 요소 40
      • <표Ⅱ-7> 공감의 정서적 요소 43
      • <표Ⅲ-1> 인구사회학적 특성 53
      • <표Ⅲ-2>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 문항 구성 및 신뢰도 54
      • <표Ⅲ-3> 영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척도의 하위요인 문항 구성 및 신뢰도 55
      • <표Ⅲ-4> 공감능력 척도의 하위요인 문항 구성 및 신뢰도 56
      • <표Ⅲ-5> TA 성격유형 요인 간 설명 변량 57
      • <표Ⅲ-6> TA 성격유형 요인 구조 및 요인 부하량 58
      • <표Ⅲ-7> TA 성격유형 모형의 적합지수 60
      • <표Ⅲ-8> TA 성격유형 측정 모형의 요인 부하량 61
      • <표Ⅲ-9> 공감능력 요인 간 설명 변량 62
      • <표Ⅲ-10> 공감능력의 요인 구조 및 요인 부하량 63
      • <표Ⅲ-11> 공감능력의 모형의 적합지수 64
      • <표Ⅲ-12> 공감능력의 측정모형의 요인 부하량 65
      • <표Ⅲ-13> 문제행동 지도전략 요인 간 설명 변량 66
      • <표Ⅲ-14> 문제행동 지도전략 모형의 적합지수 67
      • <표Ⅲ-15> 문제행동 지도전략 요인 구조 및 요인 부하량 68
      • <표Ⅲ-16> 문제행동 지도전략 측정모형의 요인 부하량 69
      • <표Ⅲ-17> 분석방법과 통계 프로그램 74
      • <표Ⅳ-1>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79
      • <표Ⅳ-2> 연구 모형의 적합지수 80
      • <표Ⅳ-3> 직접 효과 검증 83
      • <표Ⅳ-4> 간접 효과 검증 85
      • 그 림 목 차
      • [그림Ⅱ-1] Freud와 Berne의 성격모형 구조모형 14
      • [그림Ⅱ-2] 자아 상태와 기능분석 18
      • [그림Ⅲ-1] TA 성격유형의 확인적 요인 분석 61
      • [그림Ⅲ-2] 공감능력의 확인적 요인 분석 65
      • [그림Ⅲ-3]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확인적 요인 분석 70
      • [그림Ⅲ-4] 연구 모형 70
      • [그림Ⅳ-1] 직접 효과 검증 결과 8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성희, "공감학", 서울: 학지사, 2004

      2 이현림, "생활지도", 서울: 교육과학사, 2007

      3 송희자, "교류분석개론",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0

      4 김태인, 박정옥, "아동생활지도", 파주: 양서원, 2016

      5 김광웅, "유아행동지도", 서울: 교육과학사, 2002

      6 지정애, 홍혜경, "영유아생활지도", 서울: 양서원, 2011

      7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18

      8 교육부, "5세 누리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2-16호, 2012

      9 박성희, "공감과 친 사회행동", 서울: 문음사, 1997

      10 이형득, "상담의 이론적 접근", 서울: 형설출판사, 1984

      1 박성희, "공감학", 서울: 학지사, 2004

      2 이현림, "생활지도", 서울: 교육과학사, 2007

      3 송희자, "교류분석개론",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0

      4 김태인, 박정옥, "아동생활지도", 파주: 양서원, 2016

      5 김광웅, "유아행동지도", 서울: 교육과학사, 2002

      6 지정애, 홍혜경, "영유아생활지도", 서울: 양서원, 2011

      7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18

      8 교육부, "5세 누리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2-16호, 2012

      9 박성희, "공감과 친 사회행동", 서울: 문음사, 1997

      10 이형득, "상담의 이론적 접근", 서울: 형설출판사, 1984

      11 엄채윤, "변화능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2 설기문, "심리 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469-520), 1995

      13 박성희, "흄에 공감론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14 오세윤, "공감으로 소통하는 공동체", 경기: 양서원, 2016

      15 현정환, "아동문제행동의 이해와 지도", 서울: 창지사, 2003

      16 Jayson, D., "어린이의 문제행동(신의진 역)", 서울: 아카데미아, 2005

      17 남승규, 허순향, "공감의 구성요소와 심리적 기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 합학회, 9(3), 939-947, 2019

      18 김희진, 이지현, 박은혜,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관찰(3판)", 서울: 창지사, 2011

      19 김매희, "발달과지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형설출판사, 2008

      20 김희진,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유아 평가", 서울: 파란마음, 2014

      21 보건복지부,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고시", 세종: 보건복지부, 2020

      22 김용희, "공감능력과 관련된 성격특성 및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3), 573-585, 2007

      23 김희진,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과 지원", 서울: 파란마음, 2014

      24 우재현, "교류분석에 의한 청소년 인성개발 프로그램", 서울: 정암서원, 1995

      25 김경숙,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대처전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8

      26 지성애, "정하나 유아 공감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유아교육연구, 35(3), 101-126, 2015

      27 보건복지부, 서정은, "수업 개선을 위한 어린이집 자율장학 장애요인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8 단현국,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과 직업흥미와의 상호관계성", 한국유아교육연구 8. 1-21, 2006

      29 조안순, "교사놀이치료교육(kinder therapy)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30 Fields, D., Fields, M. V., "아동생활지도: 구성주의적 접근(이희영, 허승희 공역)", 파주: 21세기사, 2011

      31 이선주, "유아의 문제행동에 따른 교사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 학원 석사청구논문, 2007

      32 최선희, 황혜정,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과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어린이 미디어연구, 10(3) 1-18, 2011

      33 마재훈, "긍정심리학 기반 성격강점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34 강정원, "치료놀이를 통한 부적응 행동 유아의 사회적 관계 증진 과정", 중앙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35 Essa, E. L., "유아행동지도-생활지도와 문제행동 해결을 위한 지침. (지성애 역)", 서울: 양서원(원본발간일 1988년), 1990

      36 최현석, "인간의 모든 감정 : 우리는 왜 슬프고 기쁘고 사랑하고 분노하는가", 경 기: 서해문집, 2011

      37 김별희, 이경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유아문제행동 인식 및 지도전략 간의 관계",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8(3), 1-23, 2018

      38 박경숙, "유아교사의 성격특성 및 정서지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덕 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9 김성민, "유아의 대인관계 형성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40 심지은, "TA 성격구조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에 미 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1 권혜진, 최미선 ,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이 유아문제행동지도 전략에 미치 는 영향",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10(1), 67-85, 2020

      42 김광웅, 김문신,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놀이치료연구), 6(1), 3-13, 2003

      43 권혜진,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 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175-200, 2013

      44 Bloom, P., "Against Empathy. 이은진 역(2019). 공감의 배신: 아직도 공감이선하 다고 믿는 당신에게", 서울: 시공사(원저출판, 2016), 2019

      45 박지현, "어머니의 양육행동 결정요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청소년 자녀의 문제 행동의 경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46 김미례, "교류분석 (TA) 이론에 기초한 초기 청소년의 자아상태 및 스트로크와 학교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183-200, 2008

      47 곽운숙, "부모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인성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이 유아 또래 유능 성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48 강영식, 김정겸, "문제행동 유아의 행동원인에 대한 부모-교사의 인식수준과 교 사의 지도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8(2), 342-348, 2017

      49 강지현, 오경자, "유아기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연령, 기질과 양육행 동의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1), 1-21, 2011

      50 김민정, 정미라, 이미나,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조직공정성과 심리 적 임파워먼트의 관계에서 협동적 조직문화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5(1), 161-184, 2016

      51 서정은, "유아의 도전행동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도전략과 직무스트레스, 자아존 중감, 영유아인권인식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52 김정아, "그림책에 기초한 감정코칭중심의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 정 서지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53 이보람, "어머니의 우울궤적에 따라 나눈 집단별 생애초기 아동발달의 차이: 아 프리카의 말라위 사례 (Doctoral dissertation",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54 권정숙, 조혜영, 유재경,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기 문화경험과 문화자본이 문화참 여에 미치는 영향: 문화예술 인식 및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 어린이 미디어연구, 14(3), 255-278,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