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nog는 homeodomain protein으로서 배아줄기세포 (Embryonic stem cell)의 자가 재생산 (Self-renewal)과 다능성 (Pluripotency)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전사인자 (Transcription factor)이다. Human Nanog (hNanog)는 305개의 아...
Nanog는 homeodomain protein으로서 배아줄기세포 (Embryonic stem cell)의 자가 재생산 (Self-renewal)과 다능성 (Pluripotency)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전사인자 (Transcription factor)이다. Human Nanog (hNanog)는 305개의 아미노산(Amino acid)로 구성되어 있으며, mouse Nanog (mNanog)의 Open Reading Frame과 homeodomain의 아미노산 서열이 각각 58%, 80%의 유사성이 있다. 그러나 hNanog의 기능적인 도메인 (Domain)과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부분이 많지 않다. 우리는 hNanog가 핵 속으로 유입되기 위해 필요한 nuclear localization signal (NLS) motif에 대해 조사하였다. hNanog의 homeodomain, N-terminal region, C-terminal region을 EGFP와 fusion protein을 만들어 COS-7 cell에 transfection 후 localization을 확인한 결과, N- 또는 C-terminal region 만을 포함하는 경우 각각 핵과 세포질 또는 세포질에서만 EGFP가 발현하는 반면, homeodomain만을 포함한 fusion protein은 핵 안에서 강하게 발현하는 것으로 보아 hNanog의 NLS motif가 homeodomain 안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homeodomain을 N- 또는 C-terminal region과 fusion 시켰을 때에도 핵에서 EGFP가 강하게 발현하는 것으로 다시 한번 NLS motif가 homeodomain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homeodomain 내 존재하는 NLS motif를 찾기 위해 deletion mapping과 site-directed mutagenesis 결과, hNanog의 homeodomain 내 N- 과 C-terminal NLS motif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N-terminal NLS motif가 C-terminal NLS motif 보다 좀 더 강하게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hNanog가 핵 속으로 유입되기 위해 두 NLS motif가 모두 필요하며 손상되지 않은 전체의 homeodomain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