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뷰티 종사자의 행복플로리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asures of the Flourishing of Beauty Industry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94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happiness has grown as a social and contemporary value, going beyond just personal value. In addition, more people have started to realize that individual happiness is important for the happiness of society as a whole. Nowadays, South Korea...

      Recently, happiness has grown as a social and contemporary value, going beyond just personal value. In addition, more people have started to realize that individual happiness is important for the happiness of society as a whole. Nowadays, South Korea’s aesthetic consciousness has drawn attention from around the world.
      In cosmetology services, profits are influenced by the quality of services and interactions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customers. In fact, cosmetologists play a crucial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s by providing professional services, getting socially changing cosmetology-related information and properly responding to customers’ needs. Instead of focusing on accomplish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rough cosmetologists’ sacrifices, a virtuous circle can be built through happiness exchanges. In other words, individuals make businesses happy, and businesses make a society happy. A society makes a country happy, and a country makes individuals happy again. This study targeted understanding cosmetologists’ happiness and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happiness-flourishing measure based on the concept of happiness-flourishing in positive psychology, which pursues meaning and purpose in life, as different from positive emotions such as temporal satisfaction and pleas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순, "행복한 인생 만들기 프로그램 : 현실요법의 이론과 실제" 한국심리상담연구소 252-264, 1997

      2 강현미, "행복플로리시 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행복플로리시와 긍정적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9 (19): 249-269, 2018

      3 김주엽, "행복 : 조직행동의 새로운 지평"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2 (12): 123-141, 2009

      4 구재선, "한국인의 행복 경험에 대한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77-100, 2006

      5 박윤희, "한국 뷰티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6 심정희, "피부 관리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심층적 분석"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2 (12): 487-497, 2014

      7 최재원, "청소년 e-스포츠 참여동기에 대한 심층적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45) : 621-634, 2011

      8 진정애, "직장어린이짐 교사의 자아탄력성, 낙관성 및 정서노동이 교사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9 어수관, "의료기관 구성원의 긍정심리적자본이조직효과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영향"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10 송지연, "유치원교사의 감정노동에 따른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 김영순, "행복한 인생 만들기 프로그램 : 현실요법의 이론과 실제" 한국심리상담연구소 252-264, 1997

      2 강현미, "행복플로리시 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행복플로리시와 긍정적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9 (19): 249-269, 2018

      3 김주엽, "행복 : 조직행동의 새로운 지평"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2 (12): 123-141, 2009

      4 구재선, "한국인의 행복 경험에 대한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77-100, 2006

      5 박윤희, "한국 뷰티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6 심정희, "피부 관리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심층적 분석"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2 (12): 487-497, 2014

      7 최재원, "청소년 e-스포츠 참여동기에 대한 심층적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45) : 621-634, 2011

      8 진정애, "직장어린이짐 교사의 자아탄력성, 낙관성 및 정서노동이 교사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9 어수관, "의료기관 구성원의 긍정심리적자본이조직효과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영향"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10 송지연, "유치원교사의 감정노동에 따른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1 김선형, "유아기 자녀 어머니 변인에 따른 강점활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69-288, 2016

      12 황해익,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몰입, 향유신념, 직무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5 (15): 135-159, 2016

      13 박수향, "우리나라 뷰티 자격증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 17 (17): 506-514, 2011

      14 강현미,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159-184, 2015

      15 김의형, "여중생의 외모만족도가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7 (17): 263-272, 2016

      16 원두리, "심리적 웰빙을 어떻게 추구할 것인가: 웰빙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탐색"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2006

      17 윤태진, "스노보드 참가자의 재미요인이 심리적 행복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8 박미선, "성격유형에 따른 감성지능, 심리적 웰빙, 직무성과 간의 인과관계 연구 : 서울지역 특급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19 박미선, "성격유형에 따른 감성지능, 심리적 웰빙, 직무성과 간의 인과관계 연구 : 서울지역 특급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20 김지영, "성격강점의 인식과 활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32 (32): 783-802, 2013

      21 이유림, "뷰티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5

      22 김윤, "뷰티서비스업체의 환경품질과 과정품질이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6 (16): 249-263, 2015

      23 김경은, "뷰티산업 종사자의 사회적 교환관계, 행복 및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동양대학교 대학원 2013

      24 임미연, "뷰티산업 근무자의 색채 인식의 선호도 조사연구" 6 (6): 227-241, 2005

      25 이민영, "문화예술 활동이 중년 여성의스트레스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26 김남용, "레저스포츠 참가자의 참가동기와 스포츠몰입, 운동중독 및 심리적 웰빙의 관계" 강릉대학교 대학원 2008

      27 김민정, "대학생의 강점인식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강점활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1811-1830, 2014

      28 정재은, "대학교 스포츠 동아리 학생들이 지각한 긍정심리자본, 스트레스 대처와 심리적 웰빙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 13 (13): 315-327, 2018

      29 금은정, "대기업 근로자의 조직몰입 및 성취목표지향과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1 (41): 229-258, 2009

      30 M. E. P. Seligman, "긍정심리학" 물푸레 9-, 2011

      31 박부금, "강점 활용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599-616, 2012

      32 박부금, "강점 활용 척도의 타당화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33 노승철, "가구 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295-312, 2013

      34 B. Fredrickson,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2 (2): 300-319, 1998

      35 C. D. Ryff, "The Contours of Positive Human Health" 9 (9): 1-28, 1998

      36 P. A. Linley, "Strengths coaching: A potential-guided approach to coaching psychology" 1 (1): 37-46, 2006

      37 P. M. Bentler,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88 (88): 588-606, 1980

      38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lications 424-, 2015

      39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lications 394-424, 2015

      40 M. E. P. Seligman, "Positive psychology : An introduction" 55 (55): 5-14, 2000

      41 P. A. Linley, "Playing to your strengths" 19 (19): 86-89, 2006

      42 N. Mutrie, "Physical activity: Positive psychology in motion"

      43 J. F. Hair, "Multivariate data analysis" Pearson Education 91-146, 1998

      44 M. E. P. Selligman, "Learned Optimism" Simon and Schuster 1998

      45 C. D. Ryff, "Interpersonal flourishing : A positive health agenda for the new millennium" 4 (4): 30-44, 2000

      46 D. Coutu, "How resilience works" 80-, 2002

      47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57): 1069-1081, 1989

      48 R. F. Baumeister,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1(1)" 608-618, 2002

      49 C. Fornell,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50 A. Field,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SPSS" Sage Publications Ltd 40-89, 2009

      51 P. M. Bentler,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107 (107): 238-246, 1990

      52 M. Csikszentmihalyi, "Beyond boredom and anxiety: Experiencing flow in work and play" Jossey-Bass Publishers 147-273, 2000

      53 M. W. Browne,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21 (21): 230-258, 1992

      54 K. A. Bollen, "A new incremental fit index for general structural equation models" 17 (17): 303-316,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체예술학회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2-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체예술학회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76 0.61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