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관료제의 문서 또는 기록주의에 대한 그동안의 비판에 대해 공공부문의 기록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재해석 해보고자 하며 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관료제의 문서 또는 기록주의에 대한 그동안의 비판에 대해 공공부문의 기록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재해석 해보고자 하며 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
본 연구는 관료제의 문서 또는 기록주의에 대한 그동안의 비판에 대해 공공부문의 기록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재해석 해보고자 하며 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행정현장에 있어서 공무원들의 업무과정을 문서로 기록하여 조직의 지적자산으로 공유하고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것이 바로 관료제의 기록주의가 지니고 있는 순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전의 문서나 기록은 이후의 정책과정에서 앞의 정책사례에서의 실패나 성공 등을 되새기고 참조하므로서 진일보하고 세련된 정책으로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훌륭한 지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록관리는 지식관리의 중요한 영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공공부문에서 기록관리의 중요성은 현재보다 제고되어야 하며, 공공부문 구성원들이 기록물을 지식으로서 인식하도록 하는 노력이 시급하다. 또한 기록물관리를 지식관리와 연계하여 통합해야 할 것이다.
기획논문 : 효과적인 재량권 관리의 모색: 규제기관과 재분배기관의 일선관료들을 중심으로
연구논문 : 한국의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에 대한 이론적 고찰: 여성공무원 채용목표제를 중심으로
연구논문 : 공적개발원조(ODA) 중점협력국가 선정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