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평가센터(Assessment Center)를 활용한 직무전문가 선발: K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 Selection of Job Experts Using the Assessment Center : Focused on the Case of K Compan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220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역량중심 인사관리에 있어서 평가센터(assessment center)를 활용한 IT기업의 사례와 변화관리 과정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평가센터는 구성원의 역량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뿐만아니라, 구성원에게 평가 결과를 피드백함으로써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평가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공공기관, 기업에서 다양하게 평가 센터를 활용하고 있으나 현장 중심의 사례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사의 사례를 통해 직무전문가 선발을 위한 평가센터의 활용을 분석함으로써 평가 센터가 현장에서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평가 센터의 도입 과정에서 변화관리를 수행한 내용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도입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성공적으로 도입할 수 있었던 요인에 대해 Lewin의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주요 시사점은 평가센터의 성공적인 적용을 위한 변화관리의 과정과 적용 사례를 함께 분석했다는 점과, 이를 통해 IT인력의 경력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평가 센터의 적용 사례를 제시했다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역량중심 인사관리에 있어서 평가센터(assessment center)를 활용한 IT기업의 사례와 변화관리 과정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평가센터는 구성원의 역량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뿐만아...

      본 연구는 역량중심 인사관리에 있어서 평가센터(assessment center)를 활용한 IT기업의 사례와 변화관리 과정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평가센터는 구성원의 역량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뿐만아니라, 구성원에게 평가 결과를 피드백함으로써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평가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공공기관, 기업에서 다양하게 평가 센터를 활용하고 있으나 현장 중심의 사례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사의 사례를 통해 직무전문가 선발을 위한 평가센터의 활용을 분석함으로써 평가 센터가 현장에서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평가 센터의 도입 과정에서 변화관리를 수행한 내용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도입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성공적으로 도입할 수 있었던 요인에 대해 Lewin의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주요 시사점은 평가센터의 성공적인 적용을 위한 변화관리의 과정과 적용 사례를 함께 분석했다는 점과, 이를 통해 IT인력의 경력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평가 센터의 적용 사례를 제시했다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ed a discussion on the case of IT companies and change management process using an assessment center in competency-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evaluation center can be said to be an effective evaluation method in that it not only effectively evaluates the competency of the members, but also reinforces the capability by feeding the evaluation results back to the members. As a result, various evaluation centers are used by governments, public institutions, and companies, but field-based case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assessment center can be operated in the field by analyzing the use of the assessment center for job expert selection through the case of K company.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change management during the introduction process of the assessment center, the factors that led to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members' participation in the introduction process were analyzed based on Lewin's theory. The main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d the process of change management and the application cases for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evaluation center, and presented the application cases of the assessment center that can help the career development of IT personnel.
      번역하기

      This study presented a discussion on the case of IT companies and change management process using an assessment center in competency-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evaluation center can be said to be an effective evaluation method in that it not...

      This study presented a discussion on the case of IT companies and change management process using an assessment center in competency-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evaluation center can be said to be an effective evaluation method in that it not only effectively evaluates the competency of the members, but also reinforces the capability by feeding the evaluation results back to the members. As a result, various evaluation centers are used by governments, public institutions, and companies, but field-based case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assessment center can be operated in the field by analyzing the use of the assessment center for job expert selection through the case of K company.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change management during the introduction process of the assessment center, the factors that led to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members' participation in the introduction process were analyzed based on Lewin's theory. The main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d the process of change management and the application cases for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evaluation center, and presented the application cases of the assessment center that can help the career development of IT personne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수, "폐지된 SW기술자 등급제, 여전히 공공사업에 활용"

      2 허창구, "평가센터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 내재설계된 평가센터의 구성타당도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0

      3 박성민, "평가센터(Assessment Center)를 활용한 우수 비서 선발방식 - E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비서학회 18 (18): 135-154, 2009

      4 백순근, "직원에 대한 평가제도의 유형 및 다양성이 직무만족도 및 숙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2 (22): 213-241, 2019

      5 손성곤, "종업원 역량이 서비스 지향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3 (13): 1-21, 2013

      6 김태은, "역량평가를 위한 평가센터 모형 개발 및 적용"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7 안희정, "역량모델의 개념과 구축방법론에 대한 개관" 42 : 43-59, 2003

      8 구병모, "역량과 역량모형의 연구: 역량모형 연구의 현 주소"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3 (13): 131-154, 2010

      9 행정안전부, "역량 평가 도입 매뉴얼: 과학적 인사관리를 위한 역량평가" 행정안전부 2008

      10 유기원, "승진자 선발 위한 평가센터의 개발과 활용: K공단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4 (14): 425-445, 2014

      1 김성수, "폐지된 SW기술자 등급제, 여전히 공공사업에 활용"

      2 허창구, "평가센터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 내재설계된 평가센터의 구성타당도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0

      3 박성민, "평가센터(Assessment Center)를 활용한 우수 비서 선발방식 - E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비서학회 18 (18): 135-154, 2009

      4 백순근, "직원에 대한 평가제도의 유형 및 다양성이 직무만족도 및 숙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2 (22): 213-241, 2019

      5 손성곤, "종업원 역량이 서비스 지향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3 (13): 1-21, 2013

      6 김태은, "역량평가를 위한 평가센터 모형 개발 및 적용"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7 안희정, "역량모델의 개념과 구축방법론에 대한 개관" 42 : 43-59, 2003

      8 구병모, "역량과 역량모형의 연구: 역량모형 연구의 현 주소"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3 (13): 131-154, 2010

      9 행정안전부, "역량 평가 도입 매뉴얼: 과학적 인사관리를 위한 역량평가" 행정안전부 2008

      10 유기원, "승진자 선발 위한 평가센터의 개발과 활용: K공단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4 (14): 425-445, 2014

      11 최봉현, "소프트웨어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분석" 산업연구원 2005

      12 진미석,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13 권오직, "다면역량평가가 자기개발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한국직업자격학회 8 (8): 141-170, 2019

      14 나동만, "능력중심 노동시장 구축을 위한 기업의 인적자원관리 개선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15 주인중, "기업체 근로자 역량진단 운영 실태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16 나동만, "기업의 능력평가와 저성과자 관리 현황 및 과제" KRIVET 2016

      17 박소연, "공공부문 역량평가센터(assessment center)의 질에 대한 피평가자의 인식 분석" 한국인사행정학회 13 (13): 321-335, 2014

      18 박석희, "공공기관 인사평가체계의 비교: 업적평가와 역량평가" 한국인사행정학회 12 (12): 21-49, 2013

      19 행정안전부, "고위공무원단 진입을 위한 역량평가 안내"

      20 곽건휘, "강하게 균형을 이룬 조직문화, 인적자원개발의 효과성과 조직성과 사이의 관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9 (19): 11-22, 2019

      21 Couger, J. D., "What motivates DP Professionals" 24 (24): 116-123, 1978

      22 Thornton G. C., Ⅲ, "Validity of assessment centers for personnel selection" 19 (19): 167-187, 2009

      23 Jin, "The role of assesment centers i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case of the Korean government" 29 (29): 1588-1608, 2018

      24 Jackson, D. J., "The psychology of assessment centers" Routledge 2012

      25 Hoffmann, T., "The meaning of competency" 23 (23): 275-285, 1999

      26 Kim, S.,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state government IT employee turnover intentions" 41 (41): 257-279, 2012

      27 Macan, T. H., "The effects of applicants' reactions to cognitive ability tests and an assessment center" 47 (47): 715-738, 1994

      28 Flanagan. J. C., "The critical technique" 51 (51): 327-359, 1954

      29 Woehr, D. J., "The consturct-related validity of assessment center ratings: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role of methodological factors" 29 : 231-258, 2003

      30 Boyatizsis, R. E.,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John Wiley&Sons 1982

      31 Vanilandingham, J., "The Venefits of Assessment Centers" 165 (165): 87-89, 2012

      32 McClelland, D.,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intelligence" 28 : 1-14, 1973

      33 Caldwell, C., "Ten classic assessment center errors: challenges to selection validity" 32 (32): 73-88, 2003

      34 박환수, "SW기술자 역량인정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2014

      35 Chesebrough, P. H., "Planning a Career Path information Systems" 34 (34): 6-13, 1983

      36 Shih, S. P., "Learning demand and job autonomy of IT personnel: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27 (27): 2301-2307, 2011

      37 Waldron, B., "Introduction to Assessment Centers" 1994

      38 이혜정, "IT전문인력의 커리어 가치관: 이직의도의 Q방법론 분석" 28 : 93-114, 2014

      39 오이복, "IT인력의 직무소진 영향요인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10 (10): 175-200, 2011

      40 정보기술‧사업관리 ISC, "ITSQF 기반 표준직무 설명회 발표 자료집"

      41 이현식, "ICT 실무능력 평가 모델(TOPCIT)의 확산사례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1-12, 2018

      42 International Task Force on Assessment Center Guidelines, "Guidelines and Ethical Considerations for Assessment Center Operations" 17 (17): 243-253, 2009

      43 Fargo, L., "German psychological warfare" Putnam’s Sons 1942

      44 Bray, D. W., "Formative years in business: A long-term AT&T study of managerial lives" John Wiley&Sons 1974

      45 Allen, M. W., "Factors impacting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f IT employee" 45 (45): 556-563, 2008

      46 Rothwell, W. J., "Effective Succession Planning: Ensuring Leadership Continuity and Building Talent from Within" AMACOM 2005

      47 Scott, C., "Competencies: A Brief Overview of Department and Application to Public & Private Sectors"

      48 Eurich, T. L., "Assessment centers: Current practices in the nited States" 24 (24): 387-407, 2009

      49 Thornton G. C., Ⅲ, "Assessment center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for prediction, diagnosis, and development" Lawrence Erlbaum 2006

      50 Thornton G. C., Ⅲ, "Assessment centers and managerial performance" Academic Press 1982

      51 Chen, H. C., "Assessment center: A critical mechanism for assessing HRD effectiveness and accountability" 8 (8): 247-264, 2006

      52 천장현, "Assessment Center의 효과성 증진방안 모색" 474-503, 2014

      53 Joiner, D. A., "Assessment Centers: What’s New?" 31 : 179-185, 2002

      54 Howard, A., "An assessment of assessment centers" 17 (17): 115-134, 1974

      55 Spychalski, A. C., "A Survey of assessment center practices in organizations in the United States" 50 : 71-90, 1997

      56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2018년도 적용 SW기술자 평균 임금 공표"

      57 정보기술‧사업관리 ISC, "2018 ITSQF 기업활용 사례집"

      58 기획재정부, "2009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6 0.78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