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색옥수수 포엽과 속대 혼합 추출물의 영양성분, 항산화 활성 물질 함량분석 및 생리활성 평가 = Assessment of Nutritional Components, Antioxidant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Purple Corn Husk and Cob Extra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599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orth of extract husk and cobs of the Seakso 1(EHCS) for the functional food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roximate composition, fatty acids, amino acids, antioxidant active substance contents, anti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orth of extract husk and cobs of the Seakso 1(EHCS) for the functional food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roximate composition, fatty acids, amino acids, antioxidant active substance contents, antioxidant activity, inhibitory activity of the α-amylase and α-glucosidase.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EHCS have represented 6.90% moisture, 7.31% crude ash, 0.52% crude fat and 7.07% crude protein. Among the 17 kinds of amino acids that were analyzed in thd EHCS, the glutamic acid was the highest, with 736.08 mg/100g. The fatty acids detected in the EHCS were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The proportion of the unsaturated fatty acids was 83.33%. We determined the contents of the antioxidant active substance by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99.87 mg/g and 25.02 mg/g, respectivel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HCS were determined using a DPPH and ABTS assay. In the antioxidative activity determination,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95.62% (1,000 μg/mL) and 92.00% (10,000 μg/mL), respectively. The inhibitory activity of α-amylase and α-glucosidase (10 mg/mL) were 95.86% and 76.92%,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HCS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a resource for the bioactive material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명래, "홍조류 에탄올 추출물 및 다양한 용매 분획물의 라디칼 소거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4 (34): 445-451, 2012

      2 송은미, "친환경 및 관행 재배 찰옥수수의 성분 함량과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962-968, 2011

      3 최재근, "종실 안토시아닌 고함유 옥수수 ‘색소2호’" 한국육종학회 49 (49): 289-293, 2017

      4 고경아, "제주산 블루베리와 상동열매의 일반성분, 항산화 및 항증식 활성 비교" 한국응용생명화학회 60 (60): 161-171, 2017

      5 오순자, "제주도 자생 차나무과 식물의 ACE, APN, α-amylase 저해 활성 및 항산화활성에 대한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 23 (23): 406-414, 2010

      6 이보배, "제비꽃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Amylase와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405-409, 2008

      7 김은진, "자생식물과 생약자원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44 (44): 337-342, 2012

      8 이기연, "자색옥수수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리파아제 저해활성 및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의 지방분화 억제효과"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33 (33): 131-139, 2018

      9 안선일, "일부 페놀성 화합물의 항산화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19-24, 2007

      10 안창호, "인삼종자오일의 a-Glucosidase 및 a-Amylase 저해작용" 한국생약학회 47 (47): 24-28, 2016

      1 조명래, "홍조류 에탄올 추출물 및 다양한 용매 분획물의 라디칼 소거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4 (34): 445-451, 2012

      2 송은미, "친환경 및 관행 재배 찰옥수수의 성분 함량과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962-968, 2011

      3 최재근, "종실 안토시아닌 고함유 옥수수 ‘색소2호’" 한국육종학회 49 (49): 289-293, 2017

      4 고경아, "제주산 블루베리와 상동열매의 일반성분, 항산화 및 항증식 활성 비교" 한국응용생명화학회 60 (60): 161-171, 2017

      5 오순자, "제주도 자생 차나무과 식물의 ACE, APN, α-amylase 저해 활성 및 항산화활성에 대한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 23 (23): 406-414, 2010

      6 이보배, "제비꽃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Amylase와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405-409, 2008

      7 김은진, "자생식물과 생약자원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44 (44): 337-342, 2012

      8 이기연, "자색옥수수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리파아제 저해활성 및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의 지방분화 억제효과"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33 (33): 131-139, 2018

      9 안선일, "일부 페놀성 화합물의 항산화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19-24, 2007

      10 안창호, "인삼종자오일의 a-Glucosidase 및 a-Amylase 저해작용" 한국생약학회 47 (47): 24-28, 2016

      11 이승욱, "울릉도산 산채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7 (37): 233-240, 2005

      12 이기연, "옥수수 색소 2호 품종의 일반성분, 유리당, 지방산 및 안토시아닌 색소의 함량"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31 (31): 335-341, 2016

      13 이기연, "옥수수 색소 2호 품종의 알곡과 속대 추출물을 첨가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가 흰쥐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31 (31): 399-405, 2016

      14 박보나,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착즙박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60 (60): 95-100, 2017

      15 이승은, "시판 한약재에 대한 항산화 활성 검정" 한국약용작물학회 10 (10): 171-176, 2002

      16 정명근, "복분자 안토시아닌 분획의 항산화, 항암 및 면역증진 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 20 (20): 259-269, 2012

      17 원지혜, "머루 과피와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돌연변이 활성 분석"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6 (26): 192-199, 2016

      18 이숙영, "동백나무 잎과 꽃 추출물의 항미생물 활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 13 (13): 93-100, 2005

      19 서은종,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4 (44): 89-93, 2012

      20 정해정, "국내산 Black Chokeberry와 Blueberry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생리활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349-1356, 2014

      21 손범영, "국내 육성 주요 옥수수 자식계통 및 교잡종의 종실 성분 특성" 한국작물학회 57 (57): 188-194, 2012

      22 정현채, "고지방식이 비만 유도 마우스에서 자색옥수수 추출물의 항당뇨 및 항염증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30 (30): 696-702, 2017

      23 김용호, "검정콩 안토시아닌의 항산화 및 암세포독성" 한국작물학회 53 (53): 407-412, 2008

      24 조경환, "간세포 독성과 에탄올 대사에서 추출 조건에 따른 다슬기 추출물의 효과"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 (20): 158-166, 2017

      25 Houghton, P. J.,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some Malaysian plants used to treat diabet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Phyllanthus amarus" 107 : 449-455, 2006

      26 Sen, C. K., "The general case for redox control of wound repair" 11 (11): 431-438, 2003

      27 Jia, Z.,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bery and they scavenging effect on superoxide radicals" 64 : 555-559, 1999

      28 Lee, J A.,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nd anti-elastase activities for the extracts of Jeju endemic plants" 13 (13): 249-269, 2011

      29 Pellegrin N.,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99 : 379-389, 1998

      30 Wang, S. Y., "Scavenging capacity of berry crop on superoxide radicals, hydrogen peroxide, hydroxyl radicals, and singlet oxygen" 48 : 5677-5687, 2000

      31 Papa, S., "Reactive oxygen species, mitochondria, apoptosis and aging" 174 : 305-319, 1997

      32 김선림, "Quality Protein Maize 육성계통의 지방산 및 아미노산 특성" 한국작물학회 51 (51): 458-465, 2006

      33 Urquiaga, I., "Plant polyphenol antioxidants and oxidative stress" 33 : 55-64, 2000

      34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sis Chemists 80-, 1990

      35 Yoshio, K, "Obesity and related diseases" koonja publishing company 691-692, 2005

      36 Pascual-Teresa, S., "LC-MS analysis of anthocyanins from purple corn cob" 82 : 1003-1006, 2002

      37 Rhinehart, B. L., "Inhibition of intestinal disaccharidase and suppression of blood glocose by a new α-glucohydrolase inhibitor-MDL 25" 241 : 915-920, 1987

      38 "Health Functional Foo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III(3.3.2)"

      39 "Food standards codex,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II(10-1)"

      40 "Food standards codex,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II(10)"

      41 Wassef, W. N., "Food chemistry" Marcel Dekker, Inc 140-244, 1985

      42 Moon, H. I., "Flavonoid compoun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n the aerial parts of Angelica gigas" 44 : 119-127, 2000

      43 Appleton, J., "Evaliating the bioavailability of isoquercertin" 2 (2): 1-6, 2010

      44 Cha, J. Y., "Effect of hesperetin, a citrus flavonoid, on the liver triacylglycerol content and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 activity in orotic acid-fed rats" 56 : 349-358, 2001

      45 Tsuda, T., "Dietary Cyanidin 3-O-β-D-glucoside-rich purple corn color prevents obesity and ameliorates hyperglycemia in Mice" 133 : 2125-2130, 2003

      46 Rhee, H. I., "Development of high anthocyanin corn cultivar"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on 20-49, 2008

      47 김화영, "Cyanidine-3-glucoside (C3G) 색소의 함유량이 증대된 쌀 신품종(C3GHi)의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한국작물학회 55 (55): 38-46, 2010

      48 최경하, "Cyanidin-3-O-glucoside Ameliorates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Diabetic Mice" 한국생명과학회 27 (27): 32-37, 2017

      49 Hyun, J. W., "Cyanidin and malvidin from Oryza sativa cv. Heugjinjubyeo mediate cytotoxicity against human monocytic leukemia cells by arrest of G2/M phase and induction of apoptosis" 52 : 2213-2217, 2004

      50 Tsuda, T., "Cyanidin 3-O-β-D-glucoside suppresses nitric oxide production during a zymosan treatment in rats" 48 : 305-310, 2002

      51 Li, C. Y., "Corn husk as a potential source of anthocyanins" 56 : 11413-11416, 2008

      52 Hetog, M. G. L., "Content of potentially anticarcinogenic flavonoids of tea infusions, wines and fruit juice" 41 : 1242-1246, 1993

      53 박양호, "Changes of Ascorbic Acid and Nitrate Content in Lettuce by Unbalanced Nutrient Solution" 한국작물학회 51 (51): 107-111, 2006

      54 Nam, S. H.,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arn from twenty one pigmented rice cultivars" 94 : 613-620, 2006

      55 Duan, X. W., "Antioxidant properties of anthocyanin extracted from litchi (Litchi chinenesis Sonn.) fruit pericarp tissues in relation to their role in the pericarp browning" 101 : 1365-1371, 2006

      56 Blois M.A.,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0, 1958

      57 Bang, C. S.,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s from leafy vegetabl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07

      58 Clifford, M. N., "Anthocyanins-nature, occurrence and dietary burden" 80 : 1063-1072, 2000

      59 Wallace, T. C., "Anthocyanins" 6 (6): 620-622, 2015

      60 Abdel-Aal, E. S. M., "Anthocyanin composition in black, blue, pink, purple, and red cereal grains" 54 : 4696-4704, 2006

      61 Singleton, V. L., "Analysis of total phenol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Folin-ciocalteu reagent" 299 : 152-178, 1999

      62 Imura, K., "Amino acid metabolism in patients" 14 : 143-148, 1998

      63 Wickers, A. P., "Ageing and the free radical theory" 128 : 379-391,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ry Of Food Hygiene And Safety -> The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9 0.726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