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이주배경 청소년 분류와 관련 정책의 한계점 = 미국 사례와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192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이주배경 청소년 정책은 탈북 청소년정책, 국제결혼가정 자녀로 대변되는 다문화 청소년 정책 등으로 나뉜다. 이는 이주민을 포괄적인 카테고리로 보기 보다는 이주민의 한국 입국 ...

      한국의 이주배경 청소년 정책은 탈북 청소년정책, 국제결혼가정 자녀로 대변되는 다문화 청소년 정책 등으로 나뉜다. 이는 이주민을 포괄적인 카테고리로 보기 보다는 이주민의 한국 입국 시의 ‘법적 지위’ 혹은 ‘정책적 이름’에 따라 ‘결혼이주민,’ ‘탈북자,’ ‘이주노동자 자녀’ 등의 이름으로 상이하게 부르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이렇듯 법적, 정책적 용어로 이들의 신분을 한정지음으로써 이 유형에 들어가지 않는 청소년들은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할지라도 지원 대상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있어 역차별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국경통제 정책과 이주민 통합 정책의 혼동, 중앙 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통합 정책과 지역 사회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정착 지원 서비스가 분리되지 못한 현실에서 찾는다. 이에 미국의 정책을 살펴, 국경통제 정책과 이주민(및 이주배경 청소년) 통합 정책, 그리고 다문화주의 철학이 어떻게 긴장 관계를 이루며 균형을 찾아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uth Korean policies regarding youth with migrant backgrounds can be divided into policies for North Korean refuge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uch as families from international marriage and/or (un) documented migrant workers. Such m...

      South Korean policies regarding youth with migrant backgrounds can be divided into policies for North Korean refuge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uch as families from international marriage and/or (un) documented migrant workers. Such microscopic categorization reveals the South Korean society’s tendency to classify the families who look outside the ‘normative family’ (South Korean parents and their biological child) in detailed manner. In addition, it also shows the tendency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isregarding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by calling migrant youth with the labels crafted by related laws and policies. In other words, South Korean society does not understand that these youth could have shared e×periences of migration. Considering that the label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rth Korean refugee youths,’ are rooted in laws and policies that have the same name, this paper argues that this kind of categorization might generate problems of rendering the people within each category as homogeneous. This homogeneity could lead to the e×clusion of other youth, who might have similar e×periences of difficulty as migrants. Also, this paper argues that this kind of homogeneity could engender ‘reverse discrimination’ since South Korean families and youth who cannot be classified with the labels above would be e×cluded from social services, even though they might have the same difficulties. This paper locates the reasons for this (mis)categorization in the reality that South Korea associates border control policies with social policies for supporting these migrant youths, and equates social policies for migrant youths with multicultural policies. By e×amining the US policies of border control, social policies for migrant youths and multiculturalism, this paper tries to uncover how the US attempts to balance the tensions among the policies. This paper finds that in the US, border control policy and social services for migrant youths are separated, and that the social policies for migrant youths are merely one part of multicultural polic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선행연구 검토
      • 3. 한국 이주배경 청소년 정책의 딜레마
      • 4. 미국 이주배경 청소년 지원 정책의 특징
      • 요약
      • 1. 서론
      • 2. 선행연구 검토
      • 3. 한국 이주배경 청소년 정책의 딜레마
      • 4. 미국 이주배경 청소년 지원 정책의 특징
      • 5. 한국 이주배경 청소년 정책에의 시사점
      • 6.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