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수용론에 대한 소고 = A Study on Acceptability of Punitive Dam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711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nitive damages is a legal policy that forces companies to provide compensation much larger than the profits earned by engaging in illegal activities. Corporations, etc. increasingly commit illegal acts intentionally or maliciously to create more revenues despite the expected damage to onsumers. Our recent hot social issues in South Korea, such as the humidifier disinfectant incident or the manipulation of discharged gases called for the stern legal measures. The punitive damages system of British and American laws has been highlighted as an alternative to such stern measures.
      In Korea, there has been an on going controversy over the adoption of punitive damages. Among the legal scholars, the overriding opinion over the system was mostly negative. However, recently the argument that punitive damages should be adopted in specific cases started gaining momentum and in March 11th, 2011, with the revision of the「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punitive damage was first adopted. In addition, punitive damage system was adopted in 「Act on the Protection, etc. of Fixed-Term and Part-Time Workers」,「Act on the Protection, etc. of Temporary Agency Workers」,「Credit Information use and Protection Act」,「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Fair Agency Transactions Act」,「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Fair Transactions in Franchise Business Act」,「Product Liability Act」thereby becoming law in force.
      번역하기

      Punitive damages is a legal policy that forces companies to provide compensation much larger than the profits earned by engaging in illegal activities. Corporations, etc. increasingly commit illegal acts intentionally or maliciously to create more rev...

      Punitive damages is a legal policy that forces companies to provide compensation much larger than the profits earned by engaging in illegal activities. Corporations, etc. increasingly commit illegal acts intentionally or maliciously to create more revenues despite the expected damage to onsumers. Our recent hot social issues in South Korea, such as the humidifier disinfectant incident or the manipulation of discharged gases called for the stern legal measures. The punitive damages system of British and American laws has been highlighted as an alternative to such stern measures.
      In Korea, there has been an on going controversy over the adoption of punitive damages. Among the legal scholars, the overriding opinion over the system was mostly negative. However, recently the argument that punitive damages should be adopted in specific cases started gaining momentum and in March 11th, 2011, with the revision of the「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punitive damage was first adopted. In addition, punitive damage system was adopted in 「Act on the Protection, etc. of Fixed-Term and Part-Time Workers」,「Act on the Protection, etc. of Temporary Agency Workers」,「Credit Information use and Protection Act」,「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Fair Agency Transactions Act」,「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Fair Transactions in Franchise Business Act」,「Product Liability Act」thereby becoming law in for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자본주의사회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악성이 높은 불법행위로 인하여 생명이나 신체에 대한 피해와 경제적ㆍ사회적 약자들에 대해서 행해지는 소위 갑질문화가 만연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시행은 효과적인 억지기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수용과 관련하여 민법에 규율하는 방안과 특별법에서 규율하는 방안으로 나눌 수 있는데, 현재의 입법현황은 특별법 규율방식으로 시행되고 있다. 징벌적 손해배상을 민법에서 규율하는 방안은 실손해의 전보를 내용으로 하는 손해배상법의 기본체계를 변경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반규정으로 수용하기 보다는 특별한 손해배상분야에서 개별적인 특별법으로 수용하여 법위반행위의 유형별로 징벌적 손해배상을 인정하는 현행법의 방법이 바람직 할 것이다.
      우리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경제적 불평등으로 인하여 불공정거래가 만연된 사회적 분위기속에서 2011년 3월 29일「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시작으로 현재 9개의 특별법의 영역에서 제한적인 의미에서나마 징벌적 손해배상제도가 도입되었다. 이는 미국의 성문법상 배액배상제도의 성격이 짙다. 성문법상 배액배상제도도 실손해에 3배를 더한다는 측면에서 제재적 성격이 종래보다 강하게 드러나고 있으며, 또한 피해자가 손해발생 및 가해행위와의 인과관계나 실손해액의 입증이 어려운 경우에 피해자에게 입증의 어려움을 감안하여 적정한 배상을 해줌으로서 보상적 성격도 띠고 있다. 그리고 보통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서는 배심원의 자유재량에 의해 배상액이 결정되나 성립요건이 충족되더라도 피해자가 징벌적 배상청구를 행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해서 우리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성문법상 배액배상제도로서 법률요건이 충족되면 당연히 인정된다. 따라서 우리 현행 특별법들의 모습은 완화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가 우리 법체계에 조화롭게 정착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입법분야와 규정방식, 그리고 적정한 배액 배상액의 정도 등을 지속적으로 모색하여야 하며, 입법론에서 고의ㆍ과실이외에 보호법익에 따라 별도의 요건을 추가하여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번역하기

      현대 자본주의사회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악성이 높은 불법행위로 인하여 생명이나 신체에 대한 피해와 경제적ㆍ사회적 약자들에 대해서 행해지는 소위 갑질문화가 만연되어 있는 ...

      현대 자본주의사회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악성이 높은 불법행위로 인하여 생명이나 신체에 대한 피해와 경제적ㆍ사회적 약자들에 대해서 행해지는 소위 갑질문화가 만연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시행은 효과적인 억지기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수용과 관련하여 민법에 규율하는 방안과 특별법에서 규율하는 방안으로 나눌 수 있는데, 현재의 입법현황은 특별법 규율방식으로 시행되고 있다. 징벌적 손해배상을 민법에서 규율하는 방안은 실손해의 전보를 내용으로 하는 손해배상법의 기본체계를 변경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반규정으로 수용하기 보다는 특별한 손해배상분야에서 개별적인 특별법으로 수용하여 법위반행위의 유형별로 징벌적 손해배상을 인정하는 현행법의 방법이 바람직 할 것이다.
      우리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경제적 불평등으로 인하여 불공정거래가 만연된 사회적 분위기속에서 2011년 3월 29일「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시작으로 현재 9개의 특별법의 영역에서 제한적인 의미에서나마 징벌적 손해배상제도가 도입되었다. 이는 미국의 성문법상 배액배상제도의 성격이 짙다. 성문법상 배액배상제도도 실손해에 3배를 더한다는 측면에서 제재적 성격이 종래보다 강하게 드러나고 있으며, 또한 피해자가 손해발생 및 가해행위와의 인과관계나 실손해액의 입증이 어려운 경우에 피해자에게 입증의 어려움을 감안하여 적정한 배상을 해줌으로서 보상적 성격도 띠고 있다. 그리고 보통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서는 배심원의 자유재량에 의해 배상액이 결정되나 성립요건이 충족되더라도 피해자가 징벌적 배상청구를 행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해서 우리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성문법상 배액배상제도로서 법률요건이 충족되면 당연히 인정된다. 따라서 우리 현행 특별법들의 모습은 완화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가 우리 법체계에 조화롭게 정착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입법분야와 규정방식, 그리고 적정한 배액 배상액의 정도 등을 지속적으로 모색하여야 하며, 입법론에서 고의ㆍ과실이외에 보호법익에 따라 별도의 요건을 추가하여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점인, "현행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소 (74) : 43-86, 2017

      2 김천수, "한국 불법행위법에 관한 최근 입법 논의" 한국민사법학회 57 : 3-39, 2011

      3 엄동섭, "한국 민법상 비재산적 손해의 배상과 징벌적 손해배상" 한국민사법학회 71 : 233-264, 2015

      4 김차동, "하도급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의 법집행상 문제점과 그 실효성 제고방안" 법학연구소 33 (33): 207-231, 2016

      5 황정미, "하도급법 상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고찰" 법학연구원 24 (24): 619-645, 2012

      6 성승제,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상 3배배상제도 검토" 전남대법학연구소 34 (34): 2014

      7 김성천, "징벌적 손해배상제의 법리와 도입가능성(Ⅱ)-소비자법상 징벌적 배상제도 도입에 관한 소고" 한국법제연구원 2007

      8 김상찬,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을 위한 비교법적 고찰" 한국법학회 (35) : 163-185, 2009

      9 김명엽,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과 개선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34) : 63-86, 2016

      10 이점인,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일고찰" 동아대법학연구소 (38) : 2006

      1 이점인, "현행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소 (74) : 43-86, 2017

      2 김천수, "한국 불법행위법에 관한 최근 입법 논의" 한국민사법학회 57 : 3-39, 2011

      3 엄동섭, "한국 민법상 비재산적 손해의 배상과 징벌적 손해배상" 한국민사법학회 71 : 233-264, 2015

      4 김차동, "하도급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의 법집행상 문제점과 그 실효성 제고방안" 법학연구소 33 (33): 207-231, 2016

      5 황정미, "하도급법 상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고찰" 법학연구원 24 (24): 619-645, 2012

      6 성승제,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상 3배배상제도 검토" 전남대법학연구소 34 (34): 2014

      7 김성천, "징벌적 손해배상제의 법리와 도입가능성(Ⅱ)-소비자법상 징벌적 배상제도 도입에 관한 소고" 한국법제연구원 2007

      8 김상찬,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을 위한 비교법적 고찰" 한국법학회 (35) : 163-185, 2009

      9 김명엽,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과 개선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34) : 63-86, 2016

      10 이점인,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일고찰" 동아대법학연구소 (38) : 2006

      11 신영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공정거래법 -제도도입의 타당성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업법학회 24 (24): 427-457, 2010

      12 김태선,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대한 고찰 - 민법개정에 따른 도입논의와 관련하여 -" 한국민사법학회 50 : 235-274, 2010

      13 홍완식,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관한 입법평론" 법학연구소 52 (52): 479-506, 2017

      14 김차동,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법경제학회 13 (13): 365-398, 2016

      15 고상현, "징벌적 손해배상의 수용 가능성 - 민법을 중심으로 -"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 (20): 191-245, 2017

      16 윤정환, "징벌적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한국재산법학회 9 (9): 1992

      17 윤용석, "징벌적 손해배상에 관한 미국의 최근 동향" 한국재산법학회 23 (23): 247-276, 2006

      18 장재옥, "징벌적 손해배상과 법치국가의 원리" 중앙대법학연구원 20 : 1995

      19 최나진, "징벌적 손해배상과 법정손해배상 : 우리나라 민법과 양립가능성" 법학연구소 51 (51): 241-294, 2016

      20 장재옥, "징벌적 손해배상 개념의 수용가능성" 법학연구원 39 (39): 81-115, 2015

      21 전삼현, "징벌적 배상제도의 입법론적 연구" 한국경제연구원 2009

      22 엄동섭, "징벌배상제도의 부작용 방지대책 연구" 법무부 2013

      23 김상중, "지적재산권 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책임 : 손해배상법의 현대적 발전경향의 관점에서" 한국재산법학회 31 (31): 249-290, 2014

      24 이경규, "제조물책임에 있어서 징벌적 손해배상의 과제와 전망 - 미국 Toole 판결의 분석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20 (20): 223-252, 2017

      25 윤석찬, "제조물책임법상의 징벌적 손해배상론" 한국법학원 163 : 6-25, 2017

      26 김범철, "제조물책임법상 징벌적 손해배상"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 (20): 61-97, 2017

      27 김민중, "제조물 책임법의 개정방향에 대한 검토" 동북아법연구소 9 (9): 289-335, 2016

      28 이종구, "전보배상과 징벌적 손해배상 및 3배 배상제도에 관한 연구- 개인정보보호법상의 3배 배상제도의 도입에 즈음하여 -" 한국경영법률학회 26 (26): 447-486, 2015

      29 박희주, "외국의 징벌적 손해배상법제 및 사례 연구" 한국소비자원 2014

      30 김제완, "영국과 캐나다에서의 징벌적 배상 법리의 발전과정과 현황- 우리나라에서의 도입가능성 논의에 부쳐 -" 대한변호사협회 (376) : 101-124, 2007

      31 김재형, "언론과 법의지배" 박영사 2007

      32 최경진, "새로 도입된 법정손해배상에 관한 비판적 검토 - 개인정보보호 관련법에서의 법정손해배상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27 (27): 175-208, 2015

      33 최경진, "법정손해배상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 한미자유무역협정에 따른 민법과의 조화를 중심으로 -" 중앙법학회 13 (13): 203-240, 2011

      34 봉영준, "법정손해배상의 법적 성질" 한국재산법학회 33 (33): 103-128, 2016

      35 박지원, "미국의 징벌적 손해배상에 관한 입법례-징벌적 손해배상 v.배액배상"

      36 김현수, "미국법상 징벌적 손해배상 - 근대법 형성기 법리의 전개와 제한요소를 중심으로 -" 한국재산법학회 29 (29): 325-355, 2012

      37 김태선, "미국 배액배상제도 및 법정손해배상제도의 도입에 관한 소고" 한국민사법학회 66 : 239-275, 2014

      38 정완, "독점규제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에 관한 입법방안 검토" 법학연구소 52 (52): 261-291, 2017

      39 김용중, "대리점법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법학연구소 57 (57): 171-197, 2016

      40 최영홍, "대리점법에 대한 법리적 검토" 한국경제법학회 15 (15): 175-204, 2016

      41 강선희, "대리점 거래에 대한 연구" 중앙법학회 15 (15): 409-442, 2013

      42 고세일, "대륙법에서 징벌적 손해배상 논의- 민법의 관점에서 -" 법조협회 63 (63): 142-190, 2014

      43 홍대식, "공정거래법상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 도입에 대한 비판적 검토" 법학연구소 5 (5): 73-120, 2015

      44 김상중, "계약과 책임(하경효교수정년기념논문집)" 박영사 2017

      45 송동수,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구제방안으로서의 징벌적 손해배상" 한국토지공법학회 67 : 175-200, 2014

      46 송재일, "개인정보보호의 민사법적 쟁점" 한국법학회 (54) : 35-60, 2014

      47 여경수, "개인정보 보호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법정손해배상제도" 영산대학교 법률연구소 12 (12): 2015

      48 박동진, "損害賠償法의 指導原理와 機能" 한국비교사법학회 11 (11): 291-322, 2004

      49 이덕환, "懲罰的 損害賠償制度에 관한 一考察" 법학연구소 24 (24): 565-590,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2-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원법학 -> 가천법학
      외국어명 : Kyungwon Law Review -> Gachon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8 0.638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