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에서 임차인의 해지통고기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ermination Notification Period of the Tenant in the Commercial Building Rental Protection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26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tection of tenants' status has been strengthened recently by the continuous revision of the Commercial Building Rental Protection Act, but the number of counseling and mediation applications for conflicts between real-world tenants and renters is increasing now. This study was review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ive period of annulment notification in the Commercial Building Rental Protection Act and the period of notice period and the terms of termination in the Foreign Rental Act and the Housing Rental Protection Act.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notice in the Act that the tenant's contract is terminated at the end date before the termination of the contract is regarded as the right to form a legal effect upon notification by either party. In addition, the Act does not specify the period of notice of termination of the tenant, so the status of the tenant facing termination of the contract may fall into a status of performance delay, and there may be disputes over the effect of termination. Therefore, the lease contract of the commercial building should give the tenant a longer time to notify the termination than the current minimum one month, and the revision of the legal regul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ensure that the lease contract is stable by specifying the period of notice of termination and date of effect of the tenant.
      번역하기

      The protection of tenants' status has been strengthened recently by the continuous revision of the Commercial Building Rental Protection Act, but the number of counseling and mediation applications for conflicts between real-world tenants and renters ...

      The protection of tenants' status has been strengthened recently by the continuous revision of the Commercial Building Rental Protection Act, but the number of counseling and mediation applications for conflicts between real-world tenants and renters is increasing now. This study was review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ive period of annulment notification in the Commercial Building Rental Protection Act and the period of notice period and the terms of termination in the Foreign Rental Act and the Housing Rental Protection Act.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notice in the Act that the tenant's contract is terminated at the end date before the termination of the contract is regarded as the right to form a legal effect upon notification by either party. In addition, the Act does not specify the period of notice of termination of the tenant, so the status of the tenant facing termination of the contract may fall into a status of performance delay, and there may be disputes over the effect of termination. Therefore, the lease contract of the commercial building should give the tenant a longer time to notify the termination than the current minimum one month, and the revision of the legal regul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ensure that the lease contract is stable by specifying the period of notice of termination and date of effect of the tena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지속적인 개정으로 임차인의 지위 보호는 강화되었지만, 실제 상가 임대인과 임차인의 분쟁에 관한 상담 및 조정신청 건수는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외국의 임대차 관련 법률과 우리의 민법 및 주택임대차보호법의 해지 조건 및 통고 기간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상 해지통고 효력 발생기간과 차이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상 임차인의 계약종료 전 종료일에 해지하겠다는 통고는 당사자 일방의 통지로 법률효과가 성립되는 형성권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상 임차인의 해지통고 기간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계약 종료를 앞둔 임대인의 지위가 이행지체 상태로 빠질 수 있고, 해지의 효력을 두고 다툼의 소지가 있다.
      따라서 상가건물 임대차 계약에서는 임대인의 해지통고 기간을 현재의 최소 1개월 전보다 더 긴 시간적 여유를 주어야 하고, 또한 임차인의 해지통지 기간 및 효력 발생일도 명문화 해 상가임대차 계약이 안정을 추구하도록 법률 규정의 개정을 강력하게 검토해 보아야 한다.
      번역하기

      최근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지속적인 개정으로 임차인의 지위 보호는 강화되었지만, 실제 상가 임대인과 임차인의 분쟁에 관한 상담 및 조정신청 건수는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

      최근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지속적인 개정으로 임차인의 지위 보호는 강화되었지만, 실제 상가 임대인과 임차인의 분쟁에 관한 상담 및 조정신청 건수는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외국의 임대차 관련 법률과 우리의 민법 및 주택임대차보호법의 해지 조건 및 통고 기간의 형태를 분석하여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상 해지통고 효력 발생기간과 차이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상 임차인의 계약종료 전 종료일에 해지하겠다는 통고는 당사자 일방의 통지로 법률효과가 성립되는 형성권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상 임차인의 해지통고 기간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계약 종료를 앞둔 임대인의 지위가 이행지체 상태로 빠질 수 있고, 해지의 효력을 두고 다툼의 소지가 있다.
      따라서 상가건물 임대차 계약에서는 임대인의 해지통고 기간을 현재의 최소 1개월 전보다 더 긴 시간적 여유를 주어야 하고, 또한 임차인의 해지통지 기간 및 효력 발생일도 명문화 해 상가임대차 계약이 안정을 추구하도록 법률 규정의 개정을 강력하게 검토해 보아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희, "프랑스법상 주택임대차에 관한 연구 -2014년에 개정된 1989년법의 내용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6 (26): 27-84, 2015

      2 지원림, "차임 연체로 인한 상가건물 임대차계약의 즉시해지" 한국민사법학회 70 : 349-376, 2015

      3 이종덕, "임대차계약의 해지와 곤궁한 주택임차인의 보호 필요성 ― 독일민법 제574조의 항변권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6 (26): 149-179, 2018

      4 박신욱, "임대차계약의 해지에 대한 이의 - 독일의 임차인 이의제도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사법학회 21 (21): 475-512, 2014

      5 장민, "상가임대차의 갱신요구기간 경과 후 권리금 회수기회의 보호 - 대법원 2019. 5. 16. 선고 2017다225312, 225329 판결 -" 법학연구소 35 (35): 23-45, 2019

      6 서영천, "상가권리금의 결정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9

      7 서영천, "사례와 판례로 알아보는 임대차보호법-주인이 나가래요"

      8 신봉근, "부동산임대차계약에서의 신의칙위반법리" 한국비교사법학회 21 (21): 1463-1490, 2014

      9 장건, "미등기건물의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경영학회 (19) : 203-216, 2019

      10 김은경, "독일 보험계약법상 일부해제 및 일부해지의 법리"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18 (18): 353-384, 2010

      1 이은희, "프랑스법상 주택임대차에 관한 연구 -2014년에 개정된 1989년법의 내용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6 (26): 27-84, 2015

      2 지원림, "차임 연체로 인한 상가건물 임대차계약의 즉시해지" 한국민사법학회 70 : 349-376, 2015

      3 이종덕, "임대차계약의 해지와 곤궁한 주택임차인의 보호 필요성 ― 독일민법 제574조의 항변권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6 (26): 149-179, 2018

      4 박신욱, "임대차계약의 해지에 대한 이의 - 독일의 임차인 이의제도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사법학회 21 (21): 475-512, 2014

      5 장민, "상가임대차의 갱신요구기간 경과 후 권리금 회수기회의 보호 - 대법원 2019. 5. 16. 선고 2017다225312, 225329 판결 -" 법학연구소 35 (35): 23-45, 2019

      6 서영천, "상가권리금의 결정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9

      7 서영천, "사례와 판례로 알아보는 임대차보호법-주인이 나가래요"

      8 신봉근, "부동산임대차계약에서의 신의칙위반법리" 한국비교사법학회 21 (21): 1463-1490, 2014

      9 장건, "미등기건물의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경영학회 (19) : 203-216, 2019

      10 김은경, "독일 보험계약법상 일부해제 및 일부해지의 법리"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18 (18): 353-384, 2010

      11 이동수, "독일 민법에서의 주택 임대인의해지권 제한에 대한 고찰" 한국비교사법학회 25 (25): 1437-1494, 2018

      12 김형선, "독일 민법상 주택임대차와 상가임대차"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10) : 239-262, 2015

      13 정재진, "공인중개사법 쪼개기"

      14 김서기,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제9조 제2항 법정임대차관계 고찰" 법학연구소 20 (20): 433-460,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4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