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생존율의 증가로 암생존자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을 위해 간호학생이 갖추어야 할 지식과 실무능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환자 안전 및 감염위험 등의 이유로 임상실습 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957502
서울 :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2021
한국어
간호교육 ; 간호학생 ; 애플리케이션 ; 자기효능감 ; 상호작용 ; Education ; Nursing Student ; Self-efficacy ; Interaction
610.73
서울
vii,169 ; 26 cm
지도교수: 서은영
I804:11032-00000016764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암생존율의 증가로 암생존자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을 위해 간호학생이 갖추어야 할 지식과 실무능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환자 안전 및 감염위험 등의 이유로 임상실습 기...
암생존율의 증가로 암생존자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을 위해 간호학생이 갖추어야 할 지식과 실무능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환자 안전 및 감염위험 등의 이유로 임상실습 기간 동안 학생들은 암 치료를 받는 환자를 직접 간호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로 인해 간호학생이 임상실습에서 암생존자들을 위한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간호학생은 미래의 간호사이므로 간호학생이 암생존자를 위한 건강증진의 지식과 실무능력을 갖추도록 교육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용 암생존자 건강증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개발된 앱에 대한 사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간호학생을 위한 교육용 암생존자 건강증진 애플리케이션은 성인학습이론, 자기효능감이론, 입체적 간호 시뮬레이션 개념 틀을 기반으로 하고 게임요소(gamification)를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은 ADDIE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수행, 평가의 단계를 거쳐 개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간호학생 및 간호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암생존자 건강증진에 대한 문헌고찰 및 가이드라인을 조사하여 간호학생 교육용 암생존자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설계단계에서는 성인학습이론, 자기효능감이론과 게이미피케이션의 요소 를 토대로 학습을 증진시키고 효과를 높이기 위한 규칙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앱의 각 단계별 흐름도와 기능별 흐름도를 작성하고, 설계자와의 미팅을 통해 안드로이드 폰에서 실행 가능한 앱을 개발하였다. 수행, 평가 단계에서는 전문가 5인에게 Mobile App Rating Scale (MARS) 도구를 적용하여 앱을 평가하도록 하였고, 간호학생 20인에게 User Vers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uMARS) 도구를 적용하여 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5점 만점에 전문가 평가는 3.66점, 사용자 평가는 3.97점을 기록하였다. 전문가의 앱에 대한 사용의견으로는 교육적 측면에서 학생들이 대상자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고, 앱을 경험함으로써 환자 간호에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사용자인 간호학생의 사용의견에는 3학년 학생의 경우 임상실습 전에 케이스 분석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으며, 4학년 학생들은 증상관리와 퀴즈 문제를 푸는 것이 학습에 도움이 되고, 임상실습을 간접적으로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좋았다고 하였다. 학생들은 암생존자 건강증진을 위해 필요한 투약, 식이, 운동, 스트레스관리, 증상관리, 건강검진에 대한 지식을 숙지 할 수 있었고, 증상관리를 위한 환자와의 대화 방식을 통해 환자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체험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또한 [도전 퀴즈]를 통해 문제를 풀면서 앞서 앱 사용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전문가 및 사용자의 사용성 평가에서 제시된 각 항목에 기술적, 내용적, 미적, 게임 요소 관련 사항을 추가로 수정,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앱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간호학생 교육용 암생존자 건강증진 애플리케이션은 코로나 뉴노멀 시대에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매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간호 실습 교육의 보조적 매체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앱과 유사한 다양한 환자 사례를 개발할 수 있게 되면 간호학생이 환자 간호에 대한 체험의 폭이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health promotion application on cancer survivorship (CS-App) as an educational content for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theories of gamification and self-efficacy. The necessity to educate nursing students about the ...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health promotion application on cancer survivorship (CS-App) as an educational content for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theories of gamification and self-efficacy. The necessity to educate nursing students about the long-term and multifaceted cancer survivorship brought the CS-App development come true.
CS-App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analysis, literature reviews and opinions from clinical experts became the basis of CS-App development. The total period of development was from May 1st to August 20th, 2020. CS-App consisted of medication, symptom management, diet, exercise, stress management, and regular checkups for cancer survivors. It is designed for nursing students to learn how to take tailered care for cancer survivors on the given domains, as well as repetitive and regular health management for cancer survivors.
The CS-App was developed with three different levels of difficulties and complexity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ree-dimensional (3D)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This app uses the Mobile App Rating Scale (MARS) and user version of the Mobile App Rating Scale (uMARS) tool to evaluate users and experts. Overall scores for users and experts ranged from 3.66 to 3.97.
This CS-App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and user-friendly educational method to increase knowledge and self-efficacy performing cancer survivorship care for nursing student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