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國 銅畵磁器의 科學技術的 硏究 = (A) Scientific study of Korean copper-red ceram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4538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traditional Korean copper-red ware has been continuously made since the Goryeo dynasty, the difficulty producing the red color from glaze with pure copper only resulted in a relatively smaller number of this kind remaining until now, compared...

      Although traditional Korean copper-red ware has been continuously made since the Goryeo dynasty, the difficulty producing the red color from glaze with pure copper only resulted in a relatively smaller number of this kind remaining until now, compared to other kinds of ceramic. For this reason, previous studies on the copper pigment of the traditional Korean copper-red ware were made using the name "Jinsa," which had been used since the Japanese rule of Korea for traditional Korean copper-red ware, rather than in the form of scientific analy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pigments of traditional Korean copper-red ware pigment in a scientific analysis method rather than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ceramics, focusing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ese Jun ware and copper-red modern whiteware.
      In this regard, this essay aims to examin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copper-red ware by means of analysis of chemical properties of bodies, glazes, and pigments and microstructure of four pieces of Goryeo copper-red celadon, two pieces of Joseon copper-red whiteware, three pieces of Chinese Jun ware, three reproductions of copper-red ware, and seven pieces of copper-red modern whiteware, totaling 19 pieces, in order to compare and investigate connections and differences of raw materials and agents of the pigment, composition of glaze, and forming conditions of raw materials used for Chinese Jun ware and reproduction of copper-red ware.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that traditional Korean copper-red ware was colored with pigments using pure copper, while Chinese Jun ware was made using bronze, a copper-tin alloy or an agent mixing glaze with tin to diffuse copper pigment evenly, instead of pure copper pigment. Meanwhile,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materials of copper-red modern whiteware, other than copper and tin, modern pigments such as zircon, cadmium, selenium, and barium as an agent were added for the purpose of easier coloring. In particular, as a factor to determine color tone of the copper pigment, composition, forming conditions, and cooling speed were found to have a close connection, along with the copper pigment and the agent.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microstructure of copper-red ware glaze it can be known that traditional Korean copper-red ware is consisted of small and large crystallizations and there is a scarlet red layer. In particular, the red layer in the sherds of the G-3 Goryeo copper-red celadon which is adorned with copper and the J-2 Joseon copper-red whiteware are extremely widely dispersed, showing a large characteristic in comparison to other copper adornment techniques.
      Chinese Jun ware glaze has a remarkable lower melting fusion temperature in comparison to traditional Korean copper-red ware glaze, so it is much thicker the surface of the glazing, but is comparatively cleaner. In particular, among Jun wares the stoneware sherds of sample number CJ-3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supersaturated SiO2 element in the glazing becomes crystallized into cristobalite during firing in high temperatures.
      The copper-red wares produced today have varied color pigment materials and dispersing agent, color-forming supplements and double glaze coating method through which varied looks can be observed which could not be observed in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Jun wares. In particular, sample number ML-2 produced by Lee, Se-yong shows a piece of work formed by copper pigment in the whiteware sherds, resulting in comparatively large copper particles in the red layer. However the process of the copper pigment becoming volatile and forming into particles in the red layer which are extremely small is a large characteristic.
      In conclusion, traditional Korean copper-red ware evinced a color-forming principle which enabled it to have very creative and unique red color without having used dispersing agent or color-forming supplement that is normally used in Chinese Jun wares or modern copper-red wares; thereby the paper found how original and unique the traditional Korean copper-red ware's color-forming technique w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전통 동화자기는 고려시대부터 꾸준히 제작되어 왔지만, 순수한 구리만을 사용하여 유약 내에서 적색으로 발색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제작 기법이었기 때문에 현존하는 완성품도 다...

      한국 전통 동화자기는 고려시대부터 꾸준히 제작되어 왔지만, 순수한 구리만을 사용하여 유약 내에서 적색으로 발색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제작 기법이었기 때문에 현존하는 완성품도 다른 도자기에 비해 적은 편에 속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그동안 한국 전통 동화자기의 구리 안료에 대한 연구는 과학적인 분석보다는 일제 강점기 시절부터 관습적으로 사용되어 오던“辰砂”라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되어 오고 있었다. 따라서 한국 전통 동화자기 안료에 대한 연구는 도자사적인 접근보다는 과학적 분석 방법으로 접근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고려 동화청자 4편, 조선 동화백자 2편, 중국 균 동화자기 3편, 현대에 재현한 동화자기 3편, 현대에 제작한 동화자기 7편 총 19편의 태토, 유약 및 안료의 화학 성분 분석과 더불어 미세 구조 관찰을 통해 한국 전통 동화자기 도편의 전반적인 특징을 연구하여 균 동화자기나 현대에 제작된 동화자기 도편에서 사용된 안료의 원재료와 보조제, 유약 조성 성분, 그리고 소성 분위기의 연관성과 차이점을 비교,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 전통 동화자기는 순수한 구리만을 사용한 안료를 사용하여 발색하였지만, 균 동화자기는 순수한 구리 안료 대신 구리와 주석의 합금인 산화청동을 사용하거나 유약 내에 주석을 섞어 구리 안료를 고르게 분산시키는 보조제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현대에 제작한 동화자기들은 구리와 주석 성분 이외에 현대 발색 재료인 지르콘, 카드뮴, 셀레늄, 그리고 발색 보조제인 산화바륨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안료의 색조를 결정하는 요소로는 안료와 보조제 성분과 더불어 유약의 조성 성분, 그리고 소성 분위기도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화자기 유약의 미세 구조 관찰에서 한국 전통 동화자기는 크고 작은 결정들과 함께 붉은 적색층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특히 동채로 채회한 동화청자 중 G-3과 동화백자인 J-2 도편의 적색층은 다른 동화 기법에 비해 매우 넓게 분산되어 있는 것이 큰 특징이었다.
      중국 균 동화자기 유약은 한국 전통 동화자기에 비해 용융제 성분이 현저하게 낮아 유약 두께도 매우 두꺼운 편임에도 불구하고 유약 면은 비교적 깨끗한 편이었다. 특히 균 동화자기 중 CJ-3 도편에서는 유약 내 과포화된 SiO2 성분이 고온에서 소성되면서 크리스토발라이트로 결정화된 것이 특징이었다.
      현대에 제작한 동화자기에서는 다양한 발색 재료와 분산제, 보조제, 그리고 이중 시유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 전통 동화자기와 중국 균 동화자기에서 관찰되지 않았던 다양한 상들이 관찰되었다. 특히 이세용 선생이 제작한 ML-2 도편에서는 구리로 채회하여 생성된 적색층의 입자는 비교적 큰 편이었지만, 단지 구리 안료가 휘발되어 생긴 적색층의 안료 입자는 매우 작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국 전통 동화자기는 중국이나 현대에 제작된 동화자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구리 안료 분산제나 발색 보조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매우 창의적이고 나름대로 개성적인 적색을 만들어 낼 수 있었던 발색 원리를 밝혀 한국 전통 동화자기가 얼마나 독창적이면서도 한국 고유의 발색 기법이었는가를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 II. 동화자기의 역사 = 7
      • 가. 중국 동화자기의 역사 = 7
      • 나. 한국 동화자기의 역사 = 15
      • 1. 고려 동화청자 = 15
      • I. 서론 = 1
      • II. 동화자기의 역사 = 7
      • 가. 중국 동화자기의 역사 = 7
      • 나. 한국 동화자기의 역사 = 15
      • 1. 고려 동화청자 = 15
      • 2. 조선 동화백자 = 23
      • III. 중국 동화자기의 제작 기술과 분석 연구 = 32
      • 가. 구리 안료의 제작 기술 = 32
      • 나. 동화자기 유약의 분석 연구 = 37
      • IV. 시료 = 42
      • 가. 분석 도편과 가시적 특징 = 42
      • 나. 법천사 = 51
      • 다. 유천리 가마 = 52
      • 라. 사당리 가마 = 54
      • V. 실험 = 57
      • 가. 화학 성분 분석 = 57
      • 1. 태토 = 57
      • 2. 유약 = 57
      • 3. 안료 = 58
      • 나. 미세 구조 = 59
      • 1. 광학현미경 관찰 = 59
      • 2. 전자현미경 관찰 = 59
      • VI. 결과 및 고찰 = 60
      • 가. 태토 = 60
      • 1. 화학 성분 = 60
      • 2. 미세 구조 = 69
      • 나. 유약과 안료 = 80
      • 1. 미세 구조 = 80
      • 2. 유약의 화학 성분 = 146
      • 3. 안료의 화학 성분 = 156
      • 4. 안료의 극미소 분석 = 171
      • VII. 결론 = 211
      • Ⅷ. 참고문헌 = 216
      • 국문요약 = 227
      • ABSTRACT = 22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