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진로성숙도, 창의성의 구조관계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92587

      • 저자
      • 발행사항

        공주 :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공주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 2016. 2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기타서명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Career Maturity and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형태사항

        [ⅴ], 75장. : 삽도, 챠트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어윤경
        참고문헌(49-64장) 수록

      • 소장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창의성은 사회의 빠른 변화와 짧아진 지식의 주기에 따라 능동적으로 자신의 지식과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21세기 인재의 핵심역량이다. 이에 정부는 자기주도적인 진로역량개발을 통해 청...

      창의성은 사회의 빠른 변화와 짧아진 지식의 주기에 따라 능동적으로 자신의 지식과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21세기 인재의 핵심역량이다. 이에 정부는 자기주도적인 진로역량개발을 통해 청소년들의 창의성 향상을 기반으로 한 창의인재육성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한 학교 진로교육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 진로성숙도, 창의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조절학습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가 매개변수로 작용하는가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진로교육의 방안으로 자기조절학습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은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은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는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가 이를 매개하는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진로교육과정을 어느 정도 이수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전국 중학교 3학년 292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 진로성숙도, 창의성 검사를 자기보고형 검사지를 통해 검사하였다. 검사에 앞서 진로교육 전문가 및 중학교 교사의 문항검토를 통해 일부 문항의 수정·삭제를 실시하여 충남 A학교 학생 49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정한 척도를 활용하여 서울 B학교, 충남 C학교, 광주 D학교, 경북 E학교를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AMOS 21.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부스트래핑방법을 활용하여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은 진로성숙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은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은 진로성숙도를 부분매개하여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자기조절학습이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진로성숙도의 향상이 학생들의 창의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의 향상은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켜 학생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진로교육 방안으로 자기조절학습은 적합하며,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법의 개발 및 적용은 학생들의 창의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Career Maturity and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ddition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the re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Career Maturity and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ddition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the relationship that exist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Creativity.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and investigated.
      1. How does the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ffect their career maturity?
      2. How does the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ffect their creativity?
      3. How does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ffect their creativity?
      4. Does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nd creativity?

      To address these questions, Self-regulated learning scale, Career maturity scale and Creativity scale were revised based on prior researches, experts' reviews, and a pilot test with 49 third 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2 students of 4 middle schools. They were asked to answer revised questionnaires. SPSS 21.0 and AMOS 21.0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Boostrapping Mediation Analysis was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Third,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has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Lastly,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 regulated learning and creativity. This study suggested career education applying self-regulated learning for improving creativ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6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6
      • Ⅱ. 이론적 배경 8
      • 1.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8
      • 가. 자기조절학습의 개념 8
      • 나.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 11
      • 2. 진로성숙(Career Maturity) 15
      • 3. 창의성(Creativity) 18
      • 4. 자기조절학습, 진로성숙도, 창의성과의 관계 19
      • 가. 자기조절학습과 진로성숙 19
      • 나. 자기조절학습과 창의성 24
      • 다. 진로성숙과 창의성 25
      • Ⅲ. 연구 가설 27
      • Ⅳ. 연구 방법 29
      • 1. 연구 대상 29
      • 2. 측정 도구 30
      • 3. 연구 절차 및 자료분석 36
      • Ⅴ. 연구 결과 37
      • 1. 기술통계 및 모형 기초분석 37
      • 2. 자기조절학습, 진로성숙도, 창의성 간의 구조분석 42
      • Ⅵ. 논의 및 결론 45
      • 참고문헌 49
      • ABSTRACT 65
      • 부록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