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와 몽골어 사이의 동원어(同源語)에 대한 기초적 연구 = 대응하는 어휘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283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have extracted some Korean words which correspond to Mongolian words within the framework of cognation, and identified some facts of historical phonology. In chpater 2, I have examined the methods of etymology. In 2.1., I have presente...

      In this paper I have extracted some Korean words which correspond to Mongolian words within the framework of cognation, and identified some facts of historical phonology. In chpater 2, I have examined the methods of etymology. In 2.1., I have presented phonological·semantic criteria, and in 2.2., I have distinguished the cognate words with the loanwords. In chapter 3, I presented cognate words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language, which are based on Ramstedt(1949) and Poppe(1950). Recently many scholars talking mainly about loanwords, but if the words which have been presented in <table 2> could correspond each other, Korean and Mongolian language could also be discussed from an etymological point of view.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머리말
      • 2. 어원 연구의 방법
      • 3. 한국어와 몽골어 사이의 동원어(同源語)
      • 4. 맺음말
      • Abstract
      • 1. 머리말
      • 2. 어원 연구의 방법
      • 3. 한국어와 몽골어 사이의 동원어(同源語)
      • 4.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Polivanov, E. D., "한국어와 알타이제어의 친족관계" 한국어학회 24 : 355-378, 2004

      2 최기호, "한국어와 몽골어의 관계 연구" 상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 : 5-29, 1993

      3 김기선, "한국어와 몽골어에 나타난 말(馬)" 한국몽골학회 (17) : 71-92, 2004

      4 고광모, "한국어 어원연구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5

      5 김무림, "한국어 어원사전" 지식과교양 2015

      6 김방한, "한국어 어원 연구를 위하여"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5 : 9-33, 1980

      7 최기호, "최기호 교수와 어원을 찾아 떠나는 세계 문화여행-아시아편" 박문사 2009

      8 강영봉, "제주어와 중세 몽골어의 비교 연구"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 : 1-16, 1999

      9 박원길, "제주습속 중 몽골적인 요소" 제주학회 28 : 215-246, 2005

      10 권성훈, "제주방언 속의 몽골어 차용어" 동악어문학회 (70) : 53-68, 2017

      1 Polivanov, E. D., "한국어와 알타이제어의 친족관계" 한국어학회 24 : 355-378, 2004

      2 최기호, "한국어와 몽골어의 관계 연구" 상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 : 5-29, 1993

      3 김기선, "한국어와 몽골어에 나타난 말(馬)" 한국몽골학회 (17) : 71-92, 2004

      4 고광모, "한국어 어원연구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5

      5 김무림, "한국어 어원사전" 지식과교양 2015

      6 김방한, "한국어 어원 연구를 위하여"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5 : 9-33, 1980

      7 최기호, "최기호 교수와 어원을 찾아 떠나는 세계 문화여행-아시아편" 박문사 2009

      8 강영봉, "제주어와 중세 몽골어의 비교 연구"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 : 1-16, 1999

      9 박원길, "제주습속 중 몽골적인 요소" 제주학회 28 : 215-246, 2005

      10 권성훈, "제주방언 속의 몽골어 차용어" 동악어문학회 (70) : 53-68, 2017

      11 배영환, "제주방언 속의 몽골 차용어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중앙어문학회 68 : 1-30, 2016

      12 송상조, "제주말 큰사전" 한국문화사 2007

      13 임도희, "제주도 지명의 일연구 - 중세몽골어와의 蓋然性을 중심으로 -" 영주어문학회 33 : 23-43, 2016

      14 오창명, "제주도 오롬 이름의 종합적 연구" 제주대학교출판부 2007

      15 문덕찬, "제주 지명어의 형태·음운론적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6

      16 이병근, "어휘사" 태학사 2004

      17 김주원, "알타이언어의 새로운 연구 방향에 대하여" 한글학회 (282) : 343-367, 2008

      18 김기선, "설렁탕. 수라상의 어원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2 (12): 17-22, 1996

      19 최기호, "몽골어와 한국어의 기초어휘 연구" 상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5 : 91-111, 1996

      20 고경재, "모음추이의 국어사적 검토와 국어교육적 의미" 고려대학교 2017

      21 곽충구, "동북방언에 잔존한 만주퉁구스어와 몽골어 차용어" 국어학회 (84) : 3-32, 2017

      22 한국관광공사, "대한민국 구석구석"

      23 김무림, "국어의 역사" 한국문화사 2004

      24 홍윤표, "국어 어원 연구에 대한 관견" 한국어학회 39 : 131-158, 2008

      25 고경재, "국어 모음추이의 시기와 원인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어학회 75 : 45-74, 2017

      26 김일우, "고려후기 濟州?몽골의 만남과 제주사회의 변화" 고려사학회 (15) : 2-74, 2003

      27 김유범, "고려시대 음운과 고려가요" 구결학회 (40) : 5-27, 2018

      28 姜信沆, "鷄林類事「高麗方言」硏究" 成均館大學校出版部 1980

      29 李基文, "高麗史의 蒙古語單語들에 대한 再檢討" 32 : 55-83, 1993

      30 Pelliot, P., "高麗史에 실려 있는 蒙古語" 白山學會 4 : 227-243, 1968

      31 白鳥庫吉, "高麗史に見えたる蒙古語の解釋" 東洋文庫 18 (18): 149-244, 1929

      32 金芳漢, "韓國語의 系統" 民音社 1983

      33 姜憲圭, "韓國語 語源硏究史" 集文堂 1988

      34 李基文, "韓國語 語源 硏究의 回顧와 前望" 47 (47): 49-97, 2008

      35 劉昌惇, "語彙史硏究" 宣明文化社 1971

      36 제주방언연구회, "濟州語辭典" 1995

      37 玄平孝, "濟州島方言硏究-資料篇" 정연사 1962

      38 金炯秀, "滿洲語·蒙古語 比較語彙辭典" 螢雪出版社 1994

      39 Ramstedt, G. J., "歷代韓國文法大系 第2部 第5冊" 博而精出版社 1928

      40 李基文, "新訂版 國語史槪說" 태학사 1998

      41 小倉進平, "小倉進平博士著作集(四)" 京都大學國文學會 1934

      42 李基文, "國語語彙史硏究" 東亞出版社 1991

      43 김유범, "國語流音의 音韻史的硏究" 고려대학교 1995

      44 金亮鎭, "中世國語‘이어긔, 그어긔, 뎌어긔’에 대하여" 진단학회 92 : 269-291, 2001

      45 황선엽, "‘명아주’(藜)의 어휘사" 국어학회 (55) : 213-239, 2009

      46 황선엽, "‘강아지풀(莠)’의 어휘사" 한국어학회 45 : 421-446, 2009

      47 Ramstedt, G. J., "Studies in Korean Etymology" Suomalais-ugrilainen seura 1949

      48 Poppe, N., "Review of Ramstedt(1949)" Harvard-Yenching Institute 13 : 568-581, 1949

      49 Lessing, F. D., "Mongolian-English Dictiona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0

      50 Lee, K-M., "Mongolian loan words in Middle Korean" Otto Harrassowitz 1964

      51 Jespersen, O., "Language-Its Nature, Development and Origin" George Allen&Unwin LTE 1954

      52 Poppe, N., "Introduction to Altaic Linguistics" Otto Harrassowitz 1965

      53 Bynon, T., "Historical 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54 Skeat, W. W.,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Clarendon Press 1884

      55 Ramstedt, G. J., "Additional Korean Etymologies" Suomalais-ugrilainen seura 1954

      56 김주원, "14 세기 모음추이가설에 대한 검토"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4) : 53-74,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5 1.64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