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다수성 국내쌀 품종의 분쇄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per-Yield Korean Rice Cultivar depending on Milling Con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99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초다수성 가공용 품종인 보람찬 및 한마음 품종의 수분 함량, 수분결합도, 아밀로오즈 함량, 손상전분, 입도 분포 및 호화특성을 분석하였다. 국내 초다수성 품종의 습식 및 건식분쇄에 의한...

      초다수성 가공용 품종인 보람찬 및 한마음 품종의 수분 함량, 수분결합도, 아밀로오즈 함량, 손상전분, 입도 분포 및 호화특성을 분석하였다. 국내 초다수성 품종의 습식 및 건식분쇄에 의한 쌀가루의 수분 함량은 보람찬 및 한마음의 경우, 각각 14.79, 13.56 및 7.98, 7.14%를 나타냈다. 수분결합도의 경우, 보람찬 및 한마음 시료는 습식과 건식분쇄에 의해서 각각 236.67, 231.35% 및 275.83, 279.73%를 나타내어 건식분쇄에 의해 수분결합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습식분쇄된 초다수성 쌀가루의 수분결합력은 대조구로 사용된 일반미의 수분결합력과 비교 시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식분쇄에 의한 호품, 보람찬 및 한마음 품종의 아밀로오즈 함량은 각각 19.12, 19.55 및 19.59%를 나타내었다. 손상전분의 경우, 보람찬 및 한마음 시료의 경우 습식과 건식분쇄에 의해 12.51, 10.69 및 14.98, 15.22%를 나타내어 습식분쇄에 비해 건식분쇄했을 경우 전분손상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습식분쇄된 초다수성 쌀가루의 손상전분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건식분쇄 시에는 손상전분 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초다수성 품종의 분쇄방법에 따른 입도 분포의 경우, 최빈값은 습식에 비해 건식으로 분쇄할 경우 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다수성 품종인 보람찬, 한마음을 습식 및 건식분쇄한 쌀가루의 최고 점도는 각각 2,300, 2,319 및 3,352, 3,022 cP를 나타내었다. 최고점도 및 최종점도의 경우 습식분쇄한 초다수성 쌀가루 시료는 대조구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Setback의 경우, 초다수성 품종 중 건식분쇄한 보람찬 쌀가루의 경우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구와 비교했을 경우 초다수성 쌀가루의 setback 값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high-yield Korean rice cultivar cv. Boramchan and Hanmaeum, and rice cultivar for use in staple cv. Hopum were prepared and investigated for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Water content, water holding capacity, amylose content, damaged starch ...

      A high-yield Korean rice cultivar cv. Boramchan and Hanmaeum, and rice cultivar for use in staple cv. Hopum were prepared and investigated for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Water content, water holding capacity, amylose content, damaged starch content, particle size, and pasting properties of the rice flours were measured. Moisture content of the Boramchan and Hanmaeum, made under wet and dry milling conditions, were as follows: wet conditions (14.79% and 13.56% respectively) and dry conditions (7.98% and 7.14% respectively). Water holding capacity of the Boramchan and Hanmaeum made by wet milling condition was 236.67% and 231.35%, respectively. Water holding capacity of the samples made by dry milling condition showed a higher score compared with other samples. The amylose content of Hopum, Boramchan, and Hanmaeum made by dry milling condition were 19.12%, 19.55% and 19.59%, respectively. Damaged starch contents of the samples made by wet milling showed a lower score. Final viscosity of Hopum, Boramchan, and Hanmaeum made by wet milling condition was 2,604, 3,052, and 2,917 cp,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per-yield Korean rice flour made by wet milling condition tends to show a lower water holding capacity, damaged starch contents and particle size, as compared to controls. However, a setback of the super-yield Korean rice flour was a higher score as compared to the controls, regardless of the milling condi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나영, "초다수성 쌀가루를 이용한 쿠키용 냉동반죽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63-69, 2015

      2 김래영, "제분방법 및 수침시간을 달리한 멥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076-1083, 2009

      3 박종대, "쌀가루 제분방법 및 입자크기에 따른 백설기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230-234, 2005

      4 이나영, "시중 유통되는 쌀가루의 전분 및 호화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257-262, 2012

      5 이승현, "수침과 입자크기를 달리한 쌀가루와 쌀 만주제조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427-434, 2009

      6 김완수, "수침과 건조조건을 달리하여 만든 찹쌀가루와 멥쌀가루의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908-918, 2007

      7 이미경, "수분-열처리에 의해 제조한 멥쌀가루의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147-157, 2006

      8 이영택, "분무수세한 쌀로 제분한 쌀가루의 저장중 특성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915-920, 2007

      9 이나영, "국내 쌀품종의 전분 및 품질 특성" 한국작물학회 58 (58): 226-231, 2013

      10 김은미, "건식과 습식 제분조건에 따른 멥쌀가루의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6 (26): 727-736, 2010

      1 이나영, "초다수성 쌀가루를 이용한 쿠키용 냉동반죽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2 (22): 63-69, 2015

      2 김래영, "제분방법 및 수침시간을 달리한 멥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076-1083, 2009

      3 박종대, "쌀가루 제분방법 및 입자크기에 따른 백설기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230-234, 2005

      4 이나영, "시중 유통되는 쌀가루의 전분 및 호화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257-262, 2012

      5 이승현, "수침과 입자크기를 달리한 쌀가루와 쌀 만주제조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427-434, 2009

      6 김완수, "수침과 건조조건을 달리하여 만든 찹쌀가루와 멥쌀가루의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3 (23): 908-918, 2007

      7 이미경, "수분-열처리에 의해 제조한 멥쌀가루의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147-157, 2006

      8 이영택, "분무수세한 쌀로 제분한 쌀가루의 저장중 특성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915-920, 2007

      9 이나영, "국내 쌀품종의 전분 및 품질 특성" 한국작물학회 58 (58): 226-231, 2013

      10 김은미, "건식과 습식 제분조건에 따른 멥쌀가루의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6 (26): 727-736, 2010

      11 이영택, "건식, 습식 및 반습식 쌀가루에 의한 쌀빵의 특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886-890, 2006

      12 전현일, "건식 및 습식제분 흑미 쌀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900-907, 2008

      13 Medcalf DF, "Wheat starches.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42 : 558-568, 1965

      14 Kum JS, "The effect of the varieties and particle size on the properties of rice flour" 31 : 1542-1548, 1999

      15 Kim YK, "Status and prospects of rice varieties for processing" 9 : 3-12, 2010

      16 Kim YK, "Status and prospects of development of rice varieties" 9 : 75-85, 2010

      17 Kim HU, "Properties of rice flour prepared with roll mill and pin mill after tempering" 6 : 313-318, 1999

      18 Gibson TS, "Procedure to measure amylose in cereal starches and flours with concanavalian" 25 : 111-119, 1997

      19 Kim M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flours as influenced by soaking time of rice" 9 : 210-214, 1993

      20 Kim BK,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affected by steeping conditions" 28 : 1026-1032, 1996

      21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22 Moon HP, "Food crisis and the importance of rice" 9 : 39-48, 2010

      23 Kum JS, "Expansion of rice consumption by rice processing technology through innovation" 9 : 49-59, 2010

      24 Chiang PY, "Effect of soaking on wet-millig of rice" 35 : 85-94, 2002

      25 Chen JJ, "Effect of milling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xy rice in Taiwan" 76 : 796-799, 1999

      26 Kum JS, "Effect of different milling methods on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of rice flours" 25 : 541-545, 1993

      27 Kum JS, "Effect of amylose content on quality of rice bread" 30 : 590-595, 1998

      28 Kang MY, "Comparison of some characteristics relevant to rice bread made from eight varieties of endosperm mutants between brown and milled rice" 32 : 82-89, 2000

      29 Shin M, "Activation of the rice processing industry" 9 : 16-37, 2010

      30 Williams PC, "A rapid colorimetric method for estimating the amylose content of starches and flours" 47 : 411-421, 197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6 1.10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