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규모 지역’ 에 있어서 지역 정체성의 재현과 지역지의 서술 체재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054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akes notice of rapid increase in publications of regional geography local-scale regions, illuminates the context of such increase in terms of the representation of regional identities, and investigates the actual conditions and narrative format of regional geography of cities and towns in Gyeong-gi province. The author understood that regional geographies published in local-scale regions in Korea are linked with the discourses of regional identities in the intellectual world, the significance of local-scale region as unit space of history, community, and every day life in Korea, and local response to globalization. The author tried to draw some suggestions and significance to recent regional geographies by considering the chorography and eup-ji(邑誌) as classics in regional geographies. This study emphasized the scholarly necessity to take part in discussing regional geographies as a local knowledge,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tween scholars and students of local geography and history.
      번역하기

      This study takes notice of rapid increase in publications of regional geography local-scale regions, illuminates the context of such increase in terms of the representation of regional identities, and investigates the actual conditions and narrative f...

      This study takes notice of rapid increase in publications of regional geography local-scale regions, illuminates the context of such increase in terms of the representation of regional identities, and investigates the actual conditions and narrative format of regional geography of cities and towns in Gyeong-gi province. The author understood that regional geographies published in local-scale regions in Korea are linked with the discourses of regional identities in the intellectual world, the significance of local-scale region as unit space of history, community, and every day life in Korea, and local response to globalization. The author tried to draw some suggestions and significance to recent regional geographies by considering the chorography and eup-ji(邑誌) as classics in regional geographies. This study emphasized the scholarly necessity to take part in discussing regional geographies as a local knowledge,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tween scholars and students of local geography and histo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병조, "포스트모던 시대에 적합한 지역 개념의 모색: 동일성(identity) 개념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42 (42): 582-600, 2007

      2 허홍범, "지역사 연구와 지방지 편찬" 한국역사연구회 (48) : 107-136, 2003

      3 정근식, "지역 전통과 정체성의 문화정치: 장성 황룡 연구" 경인문화사 2004

      4 이희연, "지리학에서의지역연구방법론의 학문적 동향과 발전방향 모색" 33 (33): 557-574, 1998

      5 전종한, "중원문화권의 정체성에 관한 대안적관점 모색" 9 : 7-18, 2007

      6 이훈상, "역사의 신화를 부수는 힘겨운 여정, In 한국사시민강좌 26" 일조각 2000

      7 전종한, "소지역 단위의 지역역사지리학 연구 시론: 부평 지역의 사례" 35 : 1-30, 2009

      8 최재헌, "세계화시대의 지역과 지역정체성에 대한 개념적 이해" 한국도시지리학회 8 (8): 1-18, 2005

      9 장형철, "세계화 시대에 전환하는 지역 문화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한 한 시도" 한국사회역사학회 11 (11): 87-115, 2008

      10 이기봉, "朝鮮時代 全國地理志의 生産物 項目에 대한 檢討"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5 (15): 1-16, 2003

      1 임병조, "포스트모던 시대에 적합한 지역 개념의 모색: 동일성(identity) 개념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42 (42): 582-600, 2007

      2 허홍범, "지역사 연구와 지방지 편찬" 한국역사연구회 (48) : 107-136, 2003

      3 정근식, "지역 전통과 정체성의 문화정치: 장성 황룡 연구" 경인문화사 2004

      4 이희연, "지리학에서의지역연구방법론의 학문적 동향과 발전방향 모색" 33 (33): 557-574, 1998

      5 전종한, "중원문화권의 정체성에 관한 대안적관점 모색" 9 : 7-18, 2007

      6 이훈상, "역사의 신화를 부수는 힘겨운 여정, In 한국사시민강좌 26" 일조각 2000

      7 전종한, "소지역 단위의 지역역사지리학 연구 시론: 부평 지역의 사례" 35 : 1-30, 2009

      8 최재헌, "세계화시대의 지역과 지역정체성에 대한 개념적 이해" 한국도시지리학회 8 (8): 1-18, 2005

      9 장형철, "세계화 시대에 전환하는 지역 문화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한 한 시도" 한국사회역사학회 11 (11): 87-115, 2008

      10 이기봉, "朝鮮時代 全國地理志의 生産物 項目에 대한 檢討"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5 (15): 1-16, 2003

      11 김택규, "《민국여지승람》편찬의 성취를 위하여" 20 (20): 175-180, 1997

      12 Agnew, J., "The dramaturgy of horizons:geographical scale in the ‘Reconstruction of Italy’by the new Italian political parties, 1992-1993" 16 : 99-121, 1997

      13 Gilbert, A., "The New Regional Geography inEnglish and French-Speaking Countries" 12 : 208-228, 1988

      14 Lukermann, "The Concept of Location in ClassicalGeography" 51 (51): 194-210, 1961

      15 Alderman, D., "School names as cultural arenas : thenaming of US public schools after Martin LutherKing, Jr" 23 : 601-626, 2003

      16 Swyngedouw, E., "Scaled geographies: nature,place, and the politics of scale, In Scale and GeographicInquiry" Blackwell 129-153, 2004

      17 Howitt, R., "Scale, , In A Companian to Political Geography" Blackwell 138-157, 2003

      18 Howitt, R., "Scale as relation: musical metaphors ofgeographical scale" 30 : 49-58, 1998

      19 Howitt, R., "Scale and the Other: Levinas andgeography" 33 : 299-313, 2002

      20 Paasi, A., "Region and place: regional identity inquestion" 27 (27): 465-485, 2003

      21 Paasi, A., "Place and region: looking through theprime of scale" 28 (28): 536-546, 2004

      22 Hall, S., "Minimal selves, In Studying Culture" EdwardArnold 134-138, 1993

      23 Whitehead, M., "Love the neighbourhood -rethinking the polotics of scale and Walsall’sstruggle for neighbourhood democracy" 35 : 277-300, 2003

      24 Geertz, C., "Local Knowledge: Further Essays inInterpretive Antropology" Basic Books 1983

      25 Olwig, K. R., "Has ‘geography’ always beenmodern?: choros, (non)representation, performance,and the landscape" 40 : 1843-1861, 2008

      26 Gillings, M., "Chorography, Phenomenology, andthe Antiquarian Tradition" 21 (21): 53-63, 2011

      27 Derrida, J., "Chora L Works" Monacelli Press 1997

      28 Perreault, T., "Changing places: transnationalnetworks, ethnic politics, and communitydevelopment in the Ecuadorian Amazon" 22 : 61-88, 2003

      29 배우성, "18세기 전국지리지 편찬과 지리지 인식의 변화" 22 (22): 142-174, 1996

      30 양보경, "16~17세기 읍지의 편찬 배경과 그 성격" 27 : 51-71,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1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문화역사지리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0.93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