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 건설산업 해외 진출을 위한 핵심역량 도출 : 설계 / 시공 역량의 차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re Competencies to increase Global Competitiveness for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 Focusing on discrepancies between construction and design competenc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1582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건설 및 엔지니어링 산업은 1970년대 이후에 국가 경제 발전의 초석을 다진 기간산업으로서 안으로는 산업화의 근간 및 국민 생활의 기본적인 인프라를 구축하고, 밖으로는 해외진출을 통한 외화 획득으로 타산업 및 국가 경제의 글로벌화의 초석을 다졌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IMF와 같은 경제적 위기를 거친 후 건설산업을 둘러싼 환경은 점차 악화되어 현재 건설산업은 근대에 들어 최대의 위기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복지를 중시하는 정치, 사회적인 풍조로 인하여 인프라에 대한 투자 감소, SOC 예산의 감소, 대형 건설 산업에 대한 국민적 반감 등 총체적인 위기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하여 건설 및 엔지니어링 기업들은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기업-중소기업간, 시공-엔지니어링 산업간 해외진출 불균형으로 인하여 건설업계의 성장은 대기업 중심의 발전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건설일감, 시장창출 뿐만 아니라 해외진출에 필요한 실질적인 역량 강화 대안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의 고찰 및 다양한 환경분석을 통하여 국내 건설산업의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한 핵심적인 역량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역량은 크게 건설기술 역량군, 사업관리 역량군, 금융관리 역량군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총 9 개의 해외진출 핵심 역량을 도출하였다. 또한, 해외 진출에 필요한 역량기준 및 항목 분류를 기반으로 하여 실천과제별 중요도를 분석하고, 단기, 중장기 적인 역량강화 분야를 도출하기 위하여 AHP, IPA, GAP 등의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핵심 역량의 분석과정에서는 엔지니어링-시공사별 필요 역량 요소의 차이점을 그 중요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엔지니어링 및 시공사가 해외 진출을 위하여 강화하여야 할 역량요소를 단기 및 중장기 과제로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설계/시공 부분의 단기적 역량강화 요구는 건설관리 및 금융관리 역량 부분에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는 비슷한 방향의 역량강화를 실시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하지만 중장기적 역량강화 부분에서는 엔지니어링 부분은 시공부분과 같은 글로벌 유명기업을 구성하고, 금융적·전략적 기업 공조를 통하여 해외에 진출하는 것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시공 부분은 건설관리, 설계 등의 엔지니어링 부분으로의 업무분야 확장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도출되어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 강화의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해외진출을 위한 핵심역량 요소를 제시하고, 요소의 중요성, 시급성 등을 기준으로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설계 및 시공 역량의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체계적인 역량강화 전략을 수립의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국내 건설 및 엔지니어링 산업은 1970년대 이후에 국가 경제 발전의 초석을 다진 기간산업으로서 안으로는 산업화의 근간 및 국민 생활의 기본적인 인프라를 구축하고, 밖으로는 해외진출을 ...

      국내 건설 및 엔지니어링 산업은 1970년대 이후에 국가 경제 발전의 초석을 다진 기간산업으로서 안으로는 산업화의 근간 및 국민 생활의 기본적인 인프라를 구축하고, 밖으로는 해외진출을 통한 외화 획득으로 타산업 및 국가 경제의 글로벌화의 초석을 다졌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IMF와 같은 경제적 위기를 거친 후 건설산업을 둘러싼 환경은 점차 악화되어 현재 건설산업은 근대에 들어 최대의 위기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복지를 중시하는 정치, 사회적인 풍조로 인하여 인프라에 대한 투자 감소, SOC 예산의 감소, 대형 건설 산업에 대한 국민적 반감 등 총체적인 위기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하여 건설 및 엔지니어링 기업들은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기업-중소기업간, 시공-엔지니어링 산업간 해외진출 불균형으로 인하여 건설업계의 성장은 대기업 중심의 발전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건설일감, 시장창출 뿐만 아니라 해외진출에 필요한 실질적인 역량 강화 대안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의 고찰 및 다양한 환경분석을 통하여 국내 건설산업의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한 핵심적인 역량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역량은 크게 건설기술 역량군, 사업관리 역량군, 금융관리 역량군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총 9 개의 해외진출 핵심 역량을 도출하였다. 또한, 해외 진출에 필요한 역량기준 및 항목 분류를 기반으로 하여 실천과제별 중요도를 분석하고, 단기, 중장기 적인 역량강화 분야를 도출하기 위하여 AHP, IPA, GAP 등의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핵심 역량의 분석과정에서는 엔지니어링-시공사별 필요 역량 요소의 차이점을 그 중요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엔지니어링 및 시공사가 해외 진출을 위하여 강화하여야 할 역량요소를 단기 및 중장기 과제로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설계/시공 부분의 단기적 역량강화 요구는 건설관리 및 금융관리 역량 부분에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는 비슷한 방향의 역량강화를 실시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하지만 중장기적 역량강화 부분에서는 엔지니어링 부분은 시공부분과 같은 글로벌 유명기업을 구성하고, 금융적·전략적 기업 공조를 통하여 해외에 진출하는 것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시공 부분은 건설관리, 설계 등의 엔지니어링 부분으로의 업무분야 확장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도출되어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 강화의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해외진출을 위한 핵심역량 요소를 제시하고, 요소의 중요성, 시급성 등을 기준으로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설계 및 시공 역량의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체계적인 역량강화 전략을 수립의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domestic contractors have dramatically made inroads into international market while the domestic market has gradually shrunk. The number of global contracts awarded by Korean contractors has been steadily growing since 2000 and the accumulated value of orders that domestic companies have received for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has reached $500 billion dollars in 2012. However, the revenue and profit of numerous smaller firms figures relatively disappointing comparison with large construction enterprises. As well as, it is enhanced significantly their revenue structure, making their earnings more stable.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methods for core competencies in order to overcome the currently facing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when working in global markets is to establishes.
      The main process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Analysis the environment with two track that macro like mega trend and micro.
      Macro analysis is the fact that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factors analysis through construction industry aspect on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e. Macro analysis is the status of global construction market focusing on previous studies.
      Second, this study implemented AHP(Analysis Hierarchy Process) and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for deduction the core competencie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or each executives layer.
      Thirdly, this paper suggests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that construction-technology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and financial management to make inroads into oversea markets for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From deduced the following conclusion, core competencies to increase global competitiveness for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discrepancies between construction and design competencies.
      This study would help Korean contractors in conducting their strategic planning in terms of global market attractiveness by applying the core competency and practical tasks. As well as, it suggest the strategies and basic database for systematic core competencies.
      번역하기

      Most domestic contractors have dramatically made inroads into international market while the domestic market has gradually shrunk. The number of global contracts awarded by Korean contractors has been steadily growing since 2000 and the accumulated va...

      Most domestic contractors have dramatically made inroads into international market while the domestic market has gradually shrunk. The number of global contracts awarded by Korean contractors has been steadily growing since 2000 and the accumulated value of orders that domestic companies have received for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has reached $500 billion dollars in 2012. However, the revenue and profit of numerous smaller firms figures relatively disappointing comparison with large construction enterprises. As well as, it is enhanced significantly their revenue structure, making their earnings more stable.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methods for core competencies in order to overcome the currently facing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when working in global markets is to establishes.
      The main process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Analysis the environment with two track that macro like mega trend and micro.
      Macro analysis is the fact that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factors analysis through construction industry aspect on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e. Macro analysis is the status of global construction market focusing on previous studies.
      Second, this study implemented AHP(Analysis Hierarchy Process) and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for deduction the core competencie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or each executives layer.
      Thirdly, this paper suggests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that construction-technology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and financial management to make inroads into oversea markets for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From deduced the following conclusion, core competencies to increase global competitiveness for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discrepancies between construction and design competencies.
      This study would help Korean contractors in conducting their strategic planning in terms of global market attractiveness by applying the core competency and practical tasks. As well as, it suggest the strategies and basic database for systematic core competenc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연구의 개요 = 1
      •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 1.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 3
      • 1.2.1. 연구의 목적 = 3
      • 1.2.2. 연구의 방법 = 4
      • 1. 연구의 개요 = 1
      •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 1.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 3
      • 1.2.1. 연구의 목적 = 3
      • 1.2.2. 연구의 방법 = 4
      • 2. 건설산업 해외 시장진출 연구동향 및 환경분석 = 6
      • 2.1. 선행연구 분석 = 6
      • 2.2. 환경 분석 = 9
      • 2.2.1. 거시적 환경분석 = 9
      • 2.2.2. 미시적 환경분석 = 16
      • 3. 해외시장 진출 핵심역량 모델 개발 및 실천과제 도출 = 29
      • 3.1. 해외시장 진출 핵심역량 프레임워크 = 29
      • 3.2. AHP 분석 = 32
      • 3.2.1. 엔지니어링 분야 AHP 분석 = 35
      • 3.2.2. 시공 분야 AHP 분석 = 36
      • 3.3. IPA 분석 = 38
      • 3.3.1. 엔지니어링 분야 IPA 분석 및 실천과제 도출 = 42
      • 3.3.2. 시공 분야 IPA 분석 및 실천과제 도출 = 45
      • 3.4. 소결 = 49
      • 4. 결론 = 52
      • 참고문헌 = 55
      • 부록 = 58
      • Abstract = 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