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피톤치드흡입이 폐경기 여성의 기분상태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hytoncide Aroma Inhalation on Mood Stat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enopausal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675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피톤치드흡입이 폐경기 여성의 기분상태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변화를 8주간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이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D, N구의 폐경 후 2년 이하 41명을 목적적 표집하였다. 실험설계는 피톤치드흡입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되는 연구대상자 요인과 사전측정(0week)·중간측정(4week)·사후측정(8week)의 3개 측정시점으로 구성되는 2×3 반복측정에 의한 요인설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으로는 기분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로 설정하였으며 사전측정·중간측정·사후측정 3회 질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one-way ANOVA와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첫째, 폐경기 여성의 피톤치드흡입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긴장, 우울, 피로, 혼돈 요인의 감소 효과와 활력 요인의 증가 효과가 통계적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폐경기 여성의 피톤치드흡입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능감, 정신적 안녕, 안정성, 활력 요인에서 통계적 유의한 증가 추이를 나타내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피톤치드흡입이 폐경기 여성의 기분상태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변화를 8주간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이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D, N구의 폐경 후 2년 이하 41명을...

      본 연구의 목적은 피톤치드흡입이 폐경기 여성의 기분상태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변화를 8주간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이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D, N구의 폐경 후 2년 이하 41명을 목적적 표집하였다. 실험설계는 피톤치드흡입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되는 연구대상자 요인과 사전측정(0week)·중간측정(4week)·사후측정(8week)의 3개 측정시점으로 구성되는 2×3 반복측정에 의한 요인설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으로는 기분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로 설정하였으며 사전측정·중간측정·사후측정 3회 질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one-way ANOVA와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첫째, 폐경기 여성의 피톤치드흡입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긴장, 우울, 피로, 혼돈 요인의 감소 효과와 활력 요인의 증가 효과가 통계적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폐경기 여성의 피톤치드흡입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능감, 정신적 안녕, 안정성, 활력 요인에서 통계적 유의한 증가 추이를 나타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in phytoncide intake in mood stat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nopausal women through an 8-week experiment. For the study, 41 subjects under 2 years after menopause in D and N districts in Seoul were targeted. consisting of three study points: pre-measurement (0week), intermediate (4week), and post-measurement (8week).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mood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set,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ree questionnaires: pre-measurement, intermediate measurement, and post-measurement. As for the analysis method, one-way ANOVA and post verification were performed. Derived result First, the phytoncide inhalation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reducing tension, depression, fatigue, chaos, and increasing vitality among the sub-factors of mood statu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phytoncide inhalation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competence, mental well-being, stability, and vitality among the sub-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in phytoncide intake in mood stat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nopausal women through an 8-week experiment. For the study, 41 subjects under 2 years after menopause in D and N districts in 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in phytoncide intake in mood stat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nopausal women through an 8-week experiment. For the study, 41 subjects under 2 years after menopause in D and N districts in Seoul were targeted. consisting of three study points: pre-measurement (0week), intermediate (4week), and post-measurement (8week).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mood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set,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ree questionnaires: pre-measurement, intermediate measurement, and post-measurement. As for the analysis method, one-way ANOVA and post verification were performed. Derived result First, the phytoncide inhalation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reducing tension, depression, fatigue, chaos, and increasing vitality among the sub-factors of mood statu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phytoncide inhalation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competence, mental well-being, stability, and vitality among the sub-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재원, "피톤치드 아로마 흡입과 운동의 복합요법이 대학생의기분상태, 대학생활 스트레스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633-644, 2016

      2 김정숙, "폐경기 여성의 아로마 마사지에 대한 생리심리적 효과 : 단일피험자연구" 한국미용학회 21 (21): 537-544, 2015

      3 강희숙, "중년여성의 정신심리적 요인에 아로마테라피가 미치는 효과-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757-774, 2017

      4 최희연, "아쿠아로빅스 운동이 폐경기 중년 비만여성의 혈중지질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145-1156, 2015

      5 박수향, "아로마를 이용한 두피, 손 마사지가 폐경기 여성의 우울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용학회 16 (16): 835-844, 2010

      6 P. Grossman,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nd health benefits : A meta-analysis" 57 (57): 35-43, 2004

      7 E. J. Yeun, "Verification on the Profile of Mood States-Brief : Cross-Cultural Analysis" 62 (62): 1173-1180, 2006

      8 M. J. Sung, "The effect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 after exercise participation on obese adolescents" 40 (40): 429-439, 2001

      9 G. C. Dunbar, "The development of SBQOL-A uniquescale for measuring quality of life" 2 : 65-74, 1992

      10 L. S. Cohe, "Risk for new onset of depression during the menopausal transition : The Harvard study of moods and cycles" 63 : 385-390, 2006

      1 최재원, "피톤치드 아로마 흡입과 운동의 복합요법이 대학생의기분상태, 대학생활 스트레스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633-644, 2016

      2 김정숙, "폐경기 여성의 아로마 마사지에 대한 생리심리적 효과 : 단일피험자연구" 한국미용학회 21 (21): 537-544, 2015

      3 강희숙, "중년여성의 정신심리적 요인에 아로마테라피가 미치는 효과-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757-774, 2017

      4 최희연, "아쿠아로빅스 운동이 폐경기 중년 비만여성의 혈중지질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145-1156, 2015

      5 박수향, "아로마를 이용한 두피, 손 마사지가 폐경기 여성의 우울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용학회 16 (16): 835-844, 2010

      6 P. Grossman,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nd health benefits : A meta-analysis" 57 (57): 35-43, 2004

      7 E. J. Yeun, "Verification on the Profile of Mood States-Brief : Cross-Cultural Analysis" 62 (62): 1173-1180, 2006

      8 M. J. Sung, "The effect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 after exercise participation on obese adolescents" 40 (40): 429-439, 2001

      9 G. C. Dunbar, "The development of SBQOL-A uniquescale for measuring quality of life" 2 : 65-74, 1992

      10 L. S. Cohe, "Risk for new onset of depression during the menopausal transition : The Harvard study of moods and cycles" 63 : 385-390, 2006

      11 D. E. Stewart, "Psychological distress during menopause : Association across the reproductive life cycle" 23 (23): 146-154, 1993

      12 C. B. Ballinger, "Psychiatric aspects of the menopause" 156 : 773-, 1990

      13 B. J. Park, "Present and future of forest therapy" 21 (21): 3-5, 2011

      14 P. J. Schmidt, "Menopause-related affective disorders : A justification for further study" 148 : 844-849, 1991

      15 I. M. Biobak, "Maternity and Gynecological Care" Mosbby 1990

      16 M. D. M. Lorr, "Manual for the Profile of Mood State"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 1992

      17 편이숙, "MLD와 Aroma MLD가 폐경기 여성의 스트레스 호르몬,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5 (15): 67-81, 2014

      18 T. Hansen,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Wiley-blackwell 2006

      19 E. H. Shin,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7

      20 K. Keville, "A Complete Guide to the Healing Art" Crossing Press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융합정보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