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도시 교통정책의 개선방향 비교연구 : 서울과 울란바토르의 교통 수요 및 공급 측면을 중심으로 = Improvement of Transportation Policy in Metropolitan Areas : Comparing Transportation Demand and Supply Side in Seoul and Ulaanbaat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941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ims to derive applicable planning elements for traffic congestion in Ulaanbaatar by analyzing traffic status.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traffic congestion in Seoul and Ulaanbaatar comparatively. Ulaanbaatar is home to more than half of Mongolia's population. As the population grows, traffic congestion becomes a major problem in the cities and start to give negative impact on economy and environment. Therefore, it becomes urgent and necessary to solve the traffic congestion problem. In the past, the most efficient way to solve increasing traffic was to scale the roads, perhaps the simplest intuitive solution. However, right after the expansion, traffic congestion occurs again as soon as the surrounding traffic moves to an extended section of the road. Traffic congestion problem cannot be solved solely by the flat expansion of the road. Therefore, the government is asked to implement a new transportation policy to reduce the amount of traffic flowing on the road or to transfer the passengers in the cars to public transportation, which is usually referred to as the 'traffic demand management policy'.
      Solution for the traffic congestion problem and its consequential problems in Ulaanbaatar is proposed in this research. There are various research with different approaches for concent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example, improve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road infrastructure. This study analyzes the demand in traffic management policy of Seoul and Ulaanbaatar in order to derive measures to improve traffic conges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ities are studied in terms of traffic situation and the traffic congestion status. The solution methods mainly described by the references, literature related to traffic congestion such as research institute reports, papers, newspapers, and magazines. Furthermore, local residents and experts in the Mongolian capital are interviewed regarding what should be resolved first in congested roads. One possible way to decrease road congestion is to control number of vehicles in the central area through the toll collection system, which can work with auxiliary highways by charging drivers for entering the city center. In Ulaanbaatar, it is possible and necessary to reform the current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n a similar direction as Seoul. It is also concluded that the most efficient and suitable way to improve traffic congestion in Ulaanbatar is to reduce cars by improving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번역하기

      The study aims to derive applicable planning elements for traffic congestion in Ulaanbaatar by analyzing traffic status.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traffic congestion in Seoul and Ulaanbaatar comparatively. U...

      The study aims to derive applicable planning elements for traffic congestion in Ulaanbaatar by analyzing traffic status.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traffic congestion in Seoul and Ulaanbaatar comparatively. Ulaanbaatar is home to more than half of Mongolia's population. As the population grows, traffic congestion becomes a major problem in the cities and start to give negative impact on economy and environment. Therefore, it becomes urgent and necessary to solve the traffic congestion problem. In the past, the most efficient way to solve increasing traffic was to scale the roads, perhaps the simplest intuitive solution. However, right after the expansion, traffic congestion occurs again as soon as the surrounding traffic moves to an extended section of the road. Traffic congestion problem cannot be solved solely by the flat expansion of the road. Therefore, the government is asked to implement a new transportation policy to reduce the amount of traffic flowing on the road or to transfer the passengers in the cars to public transportation, which is usually referred to as the 'traffic demand management policy'.
      Solution for the traffic congestion problem and its consequential problems in Ulaanbaatar is proposed in this research. There are various research with different approaches for concent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example, improve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road infrastructure. This study analyzes the demand in traffic management policy of Seoul and Ulaanbaatar in order to derive measures to improve traffic conges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ities are studied in terms of traffic situation and the traffic congestion status. The solution methods mainly described by the references, literature related to traffic congestion such as research institute reports, papers, newspapers, and magazines. Furthermore, local residents and experts in the Mongolian capital are interviewed regarding what should be resolved first in congested roads. One possible way to decrease road congestion is to control number of vehicles in the central area through the toll collection system, which can work with auxiliary highways by charging drivers for entering the city center. In Ulaanbaatar, it is possible and necessary to reform the current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n a similar direction as Seoul. It is also concluded that the most efficient and suitable way to improve traffic congestion in Ulaanbatar is to reduce cars by improving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 문제를 해결 및 새로운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교통 현황을 분석하여 적용이 가능한 계획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의 현황 및 원인을 분석하였다. 울란바토르는 몽골 인구의 절반 이상이 살고 있으며, 인구 증가에 따라 교통 혼잡은 도시의 주요 문제가 되었으며 경제와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교통 혼잡 문제 해결이 긴급히 필요하다. 과거에는 증가하는 교통량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도로의 평면적인 확장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교통 혼잡을 회피하기 위한 직관적 해결방법일 뿐이다. 즉, 도로가 확장된 직후에 해당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는 통과속도가 빨라지고 그 결과 통행비용 또한 감소하게 되어 도로확장이 매우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머지않아 주변 교통량이 확장된 도로구간으로 이전 되어 또다시 교통 혼잡이 발생된다. 결국 도로의 평면적인 확장만으로 교통 혼잡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입되는 교통량을 감소시키거나 승용차 이용자를 대중교통으로 이전하는 방향으로 교통정책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이와 같이 교통 혼잡문제에 대해서 교통수요관리 측면의 접근 방법을 ‘교통수요관리 정책’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요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수도권 집중(metropolitan concentration), 자동차 증가(car increase), 대중교통 시설(public transportation system), 도로 인프라(road infrastructure) 등 다양한 차원의 연구결과들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의 교통수요관리 정책을 분석하여 교통수요관리에 초점을 두고 서울과 울란바토르의 교통 현황 분석과 교통 혼잡 현황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울란바토르 교통 혼잡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교통 혼잡과 관련 참고 문헌과 연구기관의 보고서, 논문 및 신문과 잡지 등을 분석한 조사 방법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아울러 문헌에서 나오지 않은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의 현실적은 문제와 도시민들의 생각과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집행 된 정책에 대한 의식을 예측하기 위해서 혼잡이 심각한 도로를 선정하여 지역의 도시민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다.
      교통 혼잡 지역 통행자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주민들의 생각을 파악하여 인터뷰를 진행해 주민들의 의견을 참고해서 문헌에서 분석된 자료와 함께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의 개선 방안과 정책 방향을 시사한다.
      울란바토르는 주간선도로가 도심을 지나가기 때문에 도심으로 진입하는 보조간선도로에 통행료 징수 제도를 통해 도심으로 집중되는 차량을 제어 할 수 있다. 울란바토르의 경우도 서울과 동일한 방향으로 교통 정책을 개선하여 지금의 잘 못 된 교통 체계를 대중교통 중심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 자동차 소유자를 대중교통으로 전환하는 것은 현재 가장 적합한 교통 개선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 문제를 해결 및 새로운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교통 현황을 분석하여 적용이 가능한 계획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울...

      본 연구는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 문제를 해결 및 새로운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교통 현황을 분석하여 적용이 가능한 계획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의 현황 및 원인을 분석하였다. 울란바토르는 몽골 인구의 절반 이상이 살고 있으며, 인구 증가에 따라 교통 혼잡은 도시의 주요 문제가 되었으며 경제와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교통 혼잡 문제 해결이 긴급히 필요하다. 과거에는 증가하는 교통량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도로의 평면적인 확장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교통 혼잡을 회피하기 위한 직관적 해결방법일 뿐이다. 즉, 도로가 확장된 직후에 해당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는 통과속도가 빨라지고 그 결과 통행비용 또한 감소하게 되어 도로확장이 매우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머지않아 주변 교통량이 확장된 도로구간으로 이전 되어 또다시 교통 혼잡이 발생된다. 결국 도로의 평면적인 확장만으로 교통 혼잡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입되는 교통량을 감소시키거나 승용차 이용자를 대중교통으로 이전하는 방향으로 교통정책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이와 같이 교통 혼잡문제에 대해서 교통수요관리 측면의 접근 방법을 ‘교통수요관리 정책’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요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수도권 집중(metropolitan concentration), 자동차 증가(car increase), 대중교통 시설(public transportation system), 도로 인프라(road infrastructure) 등 다양한 차원의 연구결과들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의 교통수요관리 정책을 분석하여 교통수요관리에 초점을 두고 서울과 울란바토르의 교통 현황 분석과 교통 혼잡 현황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울란바토르 교통 혼잡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교통 혼잡과 관련 참고 문헌과 연구기관의 보고서, 논문 및 신문과 잡지 등을 분석한 조사 방법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아울러 문헌에서 나오지 않은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의 현실적은 문제와 도시민들의 생각과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집행 된 정책에 대한 의식을 예측하기 위해서 혼잡이 심각한 도로를 선정하여 지역의 도시민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다.
      교통 혼잡 지역 통행자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주민들의 생각을 파악하여 인터뷰를 진행해 주민들의 의견을 참고해서 문헌에서 분석된 자료와 함께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의 개선 방안과 정책 방향을 시사한다.
      울란바토르는 주간선도로가 도심을 지나가기 때문에 도심으로 진입하는 보조간선도로에 통행료 징수 제도를 통해 도심으로 집중되는 차량을 제어 할 수 있다. 울란바토르의 경우도 서울과 동일한 방향으로 교통 정책을 개선하여 지금의 잘 못 된 교통 체계를 대중교통 중심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 자동차 소유자를 대중교통으로 전환하는 것은 현재 가장 적합한 교통 개선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6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6
      • 1. 연구의 배경 6
      • 2. 연구의 목적 7
      • 제2절 연구의 방법 8
      • 제1장 서론 6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6
      • 1. 연구의 배경 6
      • 2. 연구의 목적 7
      • 제2절 연구의 방법 8
      • 제3절 선행연구 검토 9
      • 제4절 연구의 대상과 구성 틀 12
      • 1. 논문의 연구대상 12
      • 1) 서울 12
      • 2) 울란바토르 13
      • 2. 비교 지표 14
      • 3. 비교분석 방법 15
      • 제2장 배경 및 이론적 논의 17
      • 제1절 도시화와 교통 혼잡 17
      • 제2절 교통의 개념과 교통 혼잡 21
      • 1. 도시 교통 문제 22
      • 2. 교통 혼잡의 심화 추세 23
      • 3. 교통 혼잡비용 24
      • 제3절 교통 수요관리 26
      • 1. 교통수요관리의 의미 26
      • 2. 교통수요관리의 장점 27
      • 3. 주요 접근 방법 27
      • 4. 대체수단 지원 29
      • 제3장 도시교통의 영역별 비교분석 30
      • 제1절 주요 영역비교 30
      • 1. 인구 측면 30
      • 2. 자동차 정책 32
      • 3. 도심 주행 속도 35
      • 4. 주차 시설 및 인프라 38
      • 5. 도로 용량 관리 39
      • 6. 대중교통 정책 41
      • 제2절 분석 및 시사점 45
      • 1. 인구 측면 45
      • 2. 자동차 정책 47
      • 3. 도심 주행 속도 50
      • 4. 주차 시설 및 인프라 51
      • 5 도로 용량 관리 53
      • 6. 대중교통 정책 55
      • 1) 대중교통의 중요성 55
      • 2) 서울의 대중교통 56
      • 3) 울란바토르의 대중교통 56
      • 제4장 결론 59
      • 제1절 요약 59
      • 제2절 정책함의 60
      • 제3절 논문의 한계 및 향후 방향 62
      • 참고문헌 64
      • 부록 67
      • 초록 70
      • Abstract 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