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아시아 금쟁류(琴箏類) 악기의 현 고정방식유형과 ‘부들’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64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금쟁류(琴箏類) 현악기인 가야금(伽倻琴)과 거문고(玄琴)는 명주실 현(絃)을 공명통 끝부분에 고정시킬 때 무명 재질의 끈이 이용되는데 이를 ‘부들(染尾)’이라 한다. 지금까지 국...

      한국의 금쟁류(琴箏類) 현악기인 가야금(伽倻琴)과 거문고(玄琴)는 명주실 현(絃)을 공명통 끝부분에 고정시킬 때 무명 재질의 끈이 이용되는데 이를 ‘부들(染尾)’이라 한다. 지금까지 국악기에 관한 기술(記述) 및 연구에서 현악기의 공명통이나 현의 재질, 현의 수, 가야금의 양이두, 악기의 문양 등에 비해 ‘부들’의 존재는 주목받은 적이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야금, 거문고 등, 한국에 연원을 둔 현악기는 물론 아쟁, 대쟁 등의 쟁류악기가 본래의 형태와는 달리 한국에서 전승되는 동안 부들을 이용해 줄을 매는 방법으로 변화하고, 심지어 부들을 이용해 줄을 맨 칠현금의 존재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들을 이용한 줄매기 방식’이 동북아시아 금쟁류 악기의 연원과 계통을 구분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부들의 개념과 역사적 연원, 문헌 및 실제 악기에서의 용례를 조사, 정리하였다. 먼저 한국 문헌에서 ‘부들’의 용례를 조사하여 ‘부들’이 한국의 금쟁류 악기에 사용되는 고유어임을 정리하였다. 또 10세기 이전 악기유물과 도상자료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금쟁류악기의 현 고정 방법을 유형화하면 ①고슬형(古瑟形), ②쟁형(箏形), ③ 칠현악기형(七絃樂器形), ④칠현금형(七絃琴形), ⑤ 신라금형(新羅琴形), ⑥ 화금형(和琴形)이 있다. 한편, 한국에는 연원이 각기 다른 여러 가지 현악기가 조선시대까지 전승되었는데 이를 앞의 유형별 분류에 따라 정리하면 ①쟁형(箏形), ②칠현금형(七絃琴形), ③신라금형(新羅琴形), ‘④거문고 형’의 구분이 가능하다. 쟁형에 속하는 아쟁과 대쟁은 본래 명주실 현을 현미 부분에 있는 현침과 구멍을 이용에 줄을 걸고 복판과 배판 사이의 음공에 줄을 거는 형태였으나 한국에서 전승되는 동안 부들을 이용해 줄을 거는 방법으로 변화되었고, 슬은 고슬형에서 변화되어 쟁형의 범주에 속하게 되었다. 칠현금형은 중국 전래의 ‘금’ 외에 이례적이긴 하나 칠현금에서 벗어나 거문고나 산조가야금과 같이 변형된 예도 있다. 신라금형은 큰 변화없이 전승되었고, 동아시아의 금쟁류 악기와 성격이 다른 거문고형에는 거문고 외에 산조가야금이 포함된다. 현악기의 줄매기 방식이 시대와 지역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고, 상호 영향관계를 보이며 변화하였는데, 이 중에서 부들을 이용해 줄을 고정하는 방법은 한국 전래의 특징적인 것으로, 유형별로는 ‘양이두를 이용해 부들을 거는 신라금형’과 ‘봉미 끝에 구멍을 뚫어 봉미를 감싸듯 줄을 거는 거문고형’으로 분류된다. 이를 근거로 일본 화금(和琴)의 줄매기 방식이 ‘한국 전래의 현악기, 신라금의 영향’으로 추정한 일본학자 엔도 도오루(遠藤撤)의 견해는 신라금이 아니라 거문고에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를 통해 고대 한국과 일본의 현악기에 반영된 음악문화 상호 교류 양상을 새롭게 접근해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zithers are geomungo and gayageum. The geomungo and the gayageum share many characteristics of Asian zithers and at the same time, particular constructions are found. Revealed from ancient relic instruments and iconograp...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zithers are geomungo and gayageum. The geomungo and the gayageum share many characteristics of Asian zithers and at the same time, particular constructions are found. Revealed from ancient relic instruments and iconography, Chinese qin, se, and guzheng, Japanese wagon and koto, and Korean geomungo and gayageum are similar in terms of long wooden box like shape. At the same time, strings of all these are stretched from each end of the instrument, and the pitches are produced by tension of strings which are supported by the bridge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many changes including the numbers of the strings, tying method, shapes of bridges, and playing techniques have occurred since its birth throughout several centuries. It is quite certain that similar zithers have settled in each region with its own regional, ethnic, and national identity and its own names. Many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origins, history and process of change of Northeast zithers based on enormous materials of China and Japan. In Korea, few meaningful relic which seem to related to the musical instrument, but different from geomungo and gayageum, were found since the 1990s. These findings need scrutiny with archeological perspectives and at the same time, interest on similar studies of China and Japan has been increased. Especially several papers of scholars from Korea, China and Japan on ancient zither have presented at diverse occasions including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Asian Music sponsored by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2005, the conference “Master U-reuk, His Life and Culture of Dae Gaya” sponsored by Kyemyung University in 2006, and The 1st Northeast Asia International Conference in 2008 held in Seoul.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if the relic proves own indigenous form of zithers” “if the origin of the instrument is its own” “in what degree these instruments have been influenced by foreign culture” on each zither from each nation. However, not many scholars have focused on comparative studies on construction and structure among zithers with organological perspectives. In comparison of stringed instruments, following matters should be discussed:1) the size of the instrument; 2) construction of the body of the instrument; 3) the shape of the body; 4) material, lengths, and tension of the strings;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strings, tying device, existence of bridges, mobility of the bridges; 6) location of body and the instrument; 7) construction techniques; 8) changes of shapes according to time, region, migration and settlement; 9) the social and cultural function of the instrument; 10) gender of the players; 11) dress of the players; 12) relationship with other instruments. Previous studies have touched upon some of these, but it needs more scrutiny to examine the existence of an ancient zither, diffusion process and cultural migration. In this paper, I compare string tying devices and methods of Chinese qin, se, chu, guzheng, Korean gayageum and geomungo, and Japanese wagon and koto. The general tying method of Asian zithers tying the strings using the holes on each end of the body. The head part with holes of regular distances are similar, but tying methods of tail part are all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gion and nation. Some of the examples are as follows:1) using the holes of the body without additional device; 2) using the string post of the head or the tail found in Chinese se and chu; 3) using special tying device (yangyidu) of the body found in gayageum; 4) using pegs in the tail, found in Japanese ancient wagon. Tying method to increase tension of the strings are also different. Gayageum and some of the ancient wagons used the cotton cords. It is called as “budeul” in Korea. The name “budeul” is a pure Korean word. Some historical documents Chinese characters ‘夫乭’, ‘夫道乙’ ‘夫月’ have borrowed for proper Korean pronunciation. Another name in Sino-Korean is “Yeommi염미(染尾) (dyed tail)” because it usually has dyed with red or blue color. Budeul is quite unique device found among Asian zithers. This is not found in qin, se, chu, guzheng, and koto. Only hint of budeul is found in ancient wagon, the instrument is currently used in Japanese shrine. It is also called “ashitso ‘아시즈오(葦津緖)’ in Japanese. A Japanese professor Endodetsu suggested “one of the tying methods of yamato koto is ashitso tying method, maybe it has adapted from the shiragi koto (silla geum) of Korean peninsula” and asked a response from Korean scholars. To answer his request, in this paper, I will trace the history of tying method using budeul and its function in Korean gayageum and geomung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연구동기와 목적
      • Ⅱ. ‘부들’의 명칭과 용례
      • Ⅲ. 금쟁류 악기의 현 고정방법 유형과 한국 사례 비교
      • Ⅳ. 결론
      • 〈국문요약〉
      • Ⅰ. 서론-연구동기와 목적
      • Ⅱ. ‘부들’의 명칭과 용례
      • Ⅲ. 금쟁류 악기의 현 고정방법 유형과 한국 사례 비교
      • Ⅳ. 결론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56-57, 2000

      2 "한국민족대백과사전 in: 가야금 항목"

      3 경북대학교 박물관, "우리악기 보고듣기"

      4 쥬네비에브 두르농(Gnenviéve Dournon), "악기학(Organology)" 세계음악학회 (2) : 199-243, 2000

      5 엔도 도오루(遠藤撤), "신라금과 일본고대의 현악기, in: 악성 우륵의 생애와 대가야의 문화"

      6 山口修, "동아시아에 있어서 지더형 악기의 비교-일본 고토의 (箏) 관점에 기하여"

      7 송혜진, "동북아시아 금쟁류(琴箏類) 악기의 현 고정방식 유형에 관한 연구" 국립국악원 2010

      8 "기해 진연의궤 권29a4- 玄琴 항목의 ‘夫月 十二介’"

      9 송혜진, "금(琴), in: 한국악기" 90-92,

      10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

      1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56-57, 2000

      2 "한국민족대백과사전 in: 가야금 항목"

      3 경북대학교 박물관, "우리악기 보고듣기"

      4 쥬네비에브 두르농(Gnenviéve Dournon), "악기학(Organology)" 세계음악학회 (2) : 199-243, 2000

      5 엔도 도오루(遠藤撤), "신라금과 일본고대의 현악기, in: 악성 우륵의 생애와 대가야의 문화"

      6 山口修, "동아시아에 있어서 지더형 악기의 비교-일본 고토의 (箏) 관점에 기하여"

      7 송혜진, "동북아시아 금쟁류(琴箏類) 악기의 현 고정방식 유형에 관한 연구" 국립국악원 2010

      8 "기해 진연의궤 권29a4- 玄琴 항목의 ‘夫月 十二介’"

      9 송혜진, "금(琴), in: 한국악기" 90-92,

      10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

      11 "갑자 진연의궤 권2. 13b.8 및 14,a3 의 거문고 가야금 항목"

      12 朱宰根, "韓國 古代 遺蹟 出土 絃樂器의 音樂考古學的 硏究" 國立國樂院 2005

      13 資料集, "韓國 古代 絃樂器 硏究" 韓國傳統音樂學會 3 : 101-146, 2002

      14 金英云, "長川 1號墳 五絃 樂器에 대한 再考察, in: 韶巖權五聖博士華甲記念音樂學論叢"

      15 "造大箏之制 如瑟同 旦體小隅府烏木無花, in: 악학궤범" 10a1-,

      16 李晉源, "玄琴과 臥箜篌, in: 韶巖權五聖博士華甲記念音樂學論叢"

      17 "櫛形には 葦津緖のつけ方を示すかすな絃痕もって, in 正倉院の 樂器"

      18 "樂學軌範 in: 금(琴) 도해"

      19 山田光洋, "樂器の 考古學" 同成社 117-151, 1998

      20 遠藤撤, "新羅琴と日本古代の弦樂器, in: 樂聖 于勒의 生涯와 大伽倻의 文化"

      21 林謙三, "新羅琴(伽倻琴)의 生成" 서울대학교음악대학부설 東洋音樂硏究所 6 : 1984

      22 朱宰根, "大田 月平洞 遺蹟 出土 羊耳頭 考察" 韓國傳統樂學會 791-813, 2005

      23 金英云, "伽倻琴의 由來와 構造" 國立國樂院 7 : 3-29, 1997

      24 項陽, "中國弓弦樂器的歷史軌跡之分析" 國立國樂院 133-174, 2005

      25 李晉源, "中國 古代 絃樂器와 伽倻琴, in: 仙華金靜子敎授華甲記念 音樂學 論文集"

      26 "‘尾端に奇異た緖止めを 差し込んでいる點は ともにく民族的特色を 發揮してぃゐ in 正倉院の 樂器" 日本經濟新聞社 2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6 0.8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