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인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지역애착과 관광정책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tourism impact on life satisfaction with the launch of Gangw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gional attachment amd tourism policy trust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100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향후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주민의 기대감 관점에서 관광영향에 대한 인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관계에서 지역애착과 관광정책 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관광영향 인식, 삶의 만족, 지역애착 및 관광정책 신뢰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강원도 18개 시군 주민들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관광정책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관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강원도 주민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인과관계 분석 이전 단계로서 변수들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사전 분석으로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신뢰도가 모두 0.7이상, 분산추출지수가 모두 0.5 이상으로 나타나 수렴 타당도와 내적 일관성 모두 확인되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모든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가장 핵심적 분석인 인과관계 분석결과 독립변수의 경제적 영향, 사회문화적 영향, 환경적 영향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의 영향력은 경제적 영향(0.112), 사회문화적 영향(0.300), 환경적 영향(0.101)로 강원도 주민들이 관광개발 등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이 사회문화적 영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정책적 의의는 강원특별자치도 제도 자체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이해도 제고, 사회문화적 영향을 고려한 관광정책의 변화 가능성 공감대 형성과 정책 신뢰도 확보, 경제적 영향을 고려한 지역사회에 기반한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지역경제 활성화 노력, 환경적 영향을 고려한 특별자치도 제도 아래에서 환경규제와 관광개발에 대한 담론 형성 및 지역관광 활성화 등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과제는 추후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주민들의 관광영향 인식 관련 기대감이 충족되었는가에 대한 후속연구, 자기보고 방식의 설문조사에 따른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핵심 집단 인터뷰(FGI) 기법, 전문가 토의 등의 보완적 방법의 활용, 횡단적 연구방법 사용에 따른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종단적 데이터의 구축과 분석 활용, 개인 인식에 근거한 분석수준에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분석수준을 지역공동체 또는 지역사회로 확대한 다수준적 접근을 통한 연구 등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향후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주민의 기대감 관점에서 관광영향에 대한 인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관계에서 지역애착과 관광정책 신뢰의 조절효과를...

      본 연구는 향후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주민의 기대감 관점에서 관광영향에 대한 인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관계에서 지역애착과 관광정책 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관광영향 인식, 삶의 만족, 지역애착 및 관광정책 신뢰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강원도 18개 시군 주민들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관광정책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관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강원도 주민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인과관계 분석 이전 단계로서 변수들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사전 분석으로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신뢰도가 모두 0.7이상, 분산추출지수가 모두 0.5 이상으로 나타나 수렴 타당도와 내적 일관성 모두 확인되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모든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가장 핵심적 분석인 인과관계 분석결과 독립변수의 경제적 영향, 사회문화적 영향, 환경적 영향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의 영향력은 경제적 영향(0.112), 사회문화적 영향(0.300), 환경적 영향(0.101)로 강원도 주민들이 관광개발 등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이 사회문화적 영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정책적 의의는 강원특별자치도 제도 자체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이해도 제고, 사회문화적 영향을 고려한 관광정책의 변화 가능성 공감대 형성과 정책 신뢰도 확보, 경제적 영향을 고려한 지역사회에 기반한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지역경제 활성화 노력, 환경적 영향을 고려한 특별자치도 제도 아래에서 환경규제와 관광개발에 대한 담론 형성 및 지역관광 활성화 등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과제는 추후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주민들의 관광영향 인식 관련 기대감이 충족되었는가에 대한 후속연구, 자기보고 방식의 설문조사에 따른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핵심 집단 인터뷰(FGI) 기법, 전문가 토의 등의 보완적 방법의 활용, 횡단적 연구방법 사용에 따른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종단적 데이터의 구축과 분석 활용, 개인 인식에 근거한 분석수준에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분석수준을 지역공동체 또는 지역사회로 확대한 다수준적 접근을 통한 연구 등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7
      • 1. 특별자치도 7
      • 2. 사회교환이론 14
      • 3. 관광영향 인식 19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7
      • 1. 특별자치도 7
      • 2. 사회교환이론 14
      • 3. 관광영향 인식 19
      • 4. 삶의 만족 31
      • 5. 지역애착 41
      • 6. 관광정책 신뢰 50
      • 7. 가설 설정 57
      • Ⅲ. 연구 설계 61
      • 1. 연구모형 61
      • 2. 조사설계 62
      • Ⅳ. 실증분석 71
      • 1. 응답자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기초분석 71
      • 2. 가설검증 92
      • Ⅴ. 결론 100
      • 참고문헌 106
      • <부록: 설문지> 12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오정학, 윤유식, "지역애착심과 관광개발선호, 평가, 만족, 인구학적 특성과 관광개 발 지지, 효과인식의 영향관계: 지역애착심과 관광개발선호, 평가, 만족, 인구학적 특성과관광개발 지지, 효과인식의 영향관계", 관광연구, 24(5): 275-295, 2009

      2 이연택, "관광정책론", 서울: 일신사, 2003

      3 권순, "관광정책론", 서울: 백산출판사, 1998

      4 이연택, "관광정책학", 서울: 백산출판사, 2016

      5 서태양, 손호기, "여가와 관광", 서울:현학사, 2006

      6 Jafari , J., "On domestic tourism", 13 ( 3 ) : 491-496, 1986

      7 Proshansky , H. M., "The city and self-identity", 10 ( 2 ) : 147-169 ., 1978

      8 Homans , G. C., "Social behavior as exchange", 63 ( 6 ) : 597-606 ., 1958

      9 Frazer , J. E., "The development of the larynx", 44 ( 2 ) : 156 ., 1910

      10 신용인, "대한민국 헌법의 기원", 원광법학, 38: 3-30, 2022

      1 오정학, 윤유식, "지역애착심과 관광개발선호, 평가, 만족, 인구학적 특성과 관광개 발 지지, 효과인식의 영향관계: 지역애착심과 관광개발선호, 평가, 만족, 인구학적 특성과관광개발 지지, 효과인식의 영향관계", 관광연구, 24(5): 275-295, 2009

      2 이연택, "관광정책론", 서울: 일신사, 2003

      3 권순, "관광정책론", 서울: 백산출판사, 1998

      4 이연택, "관광정책학", 서울: 백산출판사, 2016

      5 서태양, 손호기, "여가와 관광", 서울:현학사, 2006

      6 Jafari , J., "On domestic tourism", 13 ( 3 ) : 491-496, 1986

      7 Proshansky , H. M., "The city and self-identity", 10 ( 2 ) : 147-169 ., 1978

      8 Homans , G. C., "Social behavior as exchange", 63 ( 6 ) : 597-606 ., 1958

      9 Frazer , J. E., "The development of the larynx", 44 ( 2 ) : 156 ., 1910

      10 신용인, "대한민국 헌법의 기원", 원광법학, 38: 3-30, 2022

      11 김명언, 임성만, "조직에서의 신뢰: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3(2): 1-19, 2000

      12 Diener , E. D. , Emmons , R. A. , Larsen , R. J. , & Griffin , 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 1 ) : 71-75, 1985

      13 Malinowski , B., "Ethnology and the Study of Society", 6 : 208-219 ., 1922

      14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의 기록관리혁신", 2005

      15 서문기, "한국사회의 정부신뢰구조", 한국사회학, 35(5): 119-147, 2001

      16 Kasarda , J. D. , & Janowitz , M., "Community attachment in mass society", 328-339, 1974

      17 문병효, "지방분권과 지방소멸 대응방안", 지방자치법연구, 21: 243-288, 2021

      18 박통희, "한국정부의 신뢰성과 시장경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000

      19 Lankford , S. V. , & Howard , D. R., "Developing a tourism impact attitude scale", 21 ( 1 ) : 121-139 ., 1994

      20 Ap , J., "Residents ' perceptions on tourism impacts", 19 ( 4 ) : 665-690, 1992

      21 Mayer , R. C. , Davis , J. H. , & Schoorman , F. D.,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20 ( 3 ) : 709-734 ., 1995

      22 Sheldon , P. J. , & Var , T., "Resident attitudes to tourism in North Wales", 5 ( 1 ) : 40-47 ., 1984

      23 McMillan , D. W. & Chavis , D. M., "Sense of community : A definition and theory", 14 ( 1 ) : 6-23 ., 1986

      24 Hetherington , M . J., "The political relevance of political trust .", 92 ( 4 ) : 791-808 ., 1998

      25 손호중, 채원호, "정부신뢰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39(3): 87-113, 2005

      26 윤상은, "제주특별자치도 분권 모델의 완성", 월간 공공정책, 143: 20-21, 2017

      27 유종호, "지방정부의 정책신뢰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28 Diener , E. , Inglehart , R. , & Tay , L., "Theory and validity of life satisfaction scales", 112 ( 3 ) : 497-527, 2013

      29 Perdue , R. R. , Long , P. T. , & Allen , L., "Rural resident tourism perceptions and attitudes", 14 ( 3 ) : 420-429 ., 1987

      30 Cohen , E., "The impact of tourism on the physical environment", 5 ( 2 ) : 215-237, 1978

      31 김기헌, 김영춘, "지역 애착도와 삶의 질과의 관계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 어논문지, 8(3): 823-836, 2018

      32 Gursoy , D. , Jurowski , C. , & Uysal , M., "Resident attitudes :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29 ( 1 ) : 79-105 ., 2002

      33 고동완, 김현정, "지역사회 애착과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 관광학연구, 27(3): 97-114, 2003

      34 Woo , E. , Kim , H. , & Uysal , M., "Life satisfaction and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50 : 84-97 ., 2015

      35 Jurowski , C. , & Gursoy , D., "Distance Effects On Residents Attitudes Toward Tourism", 31 ( 2 ) : 296-312, 2004

      36 Andereck , K. L. , Valentine , K. M. , Knopf , R. C. , & Vogt , C . A., "Residents ’ perceptions of community tourism impacts", 32 ( 4 ) : 1056-1076 ., 2005

      37 Deci , E. L. , & Ryan , R. M., "Hedonia , eudaimonia , and well-being : An introduction", 9 ( 1 ) : 1-11 ., 2008

      38 안종윤, "관광정책론-공동정책과 경영정책(보정판)", 박영사, 2000

      39 박통희, "신뢰의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재구성", 한국행정학보, 33(2): 1-17, 1999

      40 배정현, "아시아에서 정부신뢰의 근원: 다수준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41 박흥식, 오경민, "정부신뢰 수준의 측정과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11(3): 113-137, 2002

      42 Tosun , C., "Host perceptions of impacts : A comparative tourism study", 29 ( 1 ) : 231-253 ., 2002

      43 Rousseau , D. M. , & Greller , M. M., "Human resource practices : Administrative contract makers", 33 ( 3 ) : 385-401, 1994

      44 신동일, "제주특별자치도 관광 3법 이양에 따른 과제", 한국관광정책, (33): 57-60, 2008

      45 이성호, "제주특별자치도 성장관리방향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30(3): 149-171, 2017

      46 Michalk ? , G. , & R ? tz , T., "Measurement of tourism-oriented aspects of quality of life", 3 ( 2 ) : 35-50 ., 2010

      47 오창현, "제주특별자치도 이후 제주관광 성과와 과제", 한국관광정책, (28): 80-86, 2007

      48 George , L. K., "Subjective well-being :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2 ( 1 ) : 345-382, 1981

      49 금창호, 박재희, "강원평화특별자치도 설치 당위성과 추진전략", 한국지방행정연구 원 정책연구과제, 1-139, 2019

      50 박상완, "신뢰의 개념 구조 및 교육행정 연구에의 적용", 교육행정학연구, 35(2): 123-160, 2017

      51 McCool , S. F. , & Martin , S. R., "Community attachment and attitudes toward tourism development", 32 ( 3 ) : 29-34, 1994

      52 Pizam , A. , Jafari , J. , & Milman , A., "Influence of tourism on attitudes : US students visiting USSR", 12 ( 1 ) : 47-54 ., 1991

      53 Um , S. , & Crompton , J. L., "Measuring resident 's attachment levels in a host community .", 26 ( 1 ) : 27-29 ., 1987

      54 Rousseau D. M. , Sitkin , S. B. , Burt , R. S. , & Camerer , C., "Not So Different After All :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 23 ( 3 ) : 393-404 ., 1998

      55 윤혜진, "시니어 관광 경험은 삶의 만족에 도움이 될까?", 한국노년학, 36(2): 331-348, 2016

      56 강신천, 한승록, 최명숙, 변호승, 백영균, 박주성, 박정환, 김정겸, 김보경, "유비쿼터스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3판)", 서울: 학지사, 2010

      57 Williams , D. R. , Stewart , W. P. , & Kruger , L. E., "Place-based conservation : advancing social theory and practice", 3-28, 2013

      58 박덕병, 손은호, "관광영향인식이 지역주민의 지지에 미치는 영향", 농촌경제 33 (5): 59-77, 2010

      59 강신겸, "지역사회 애착도가 관광개발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1

      60 김동희, 최영희, 조배행, "지역주민의 특성에 따른 관광영향지각 차이분석", 한국 지역지리학회지, 11(5): 426-439, 2005

      61 하태주, "힐링 관광동기와 관광만족, 행복과 삶의 질 연구",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62 이익수, "지역관광자원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63 윤지현, 이환봉, "지역사회 애착도와 지역민의 관광개발 태도 연구", 관광경영연구, 12(2): 76-102, 2008

      64 김상윤, "강원도형 치유관광의 과제 및 웰니스 상품화 방안",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7): 317-323, 2019

      65 금창호, "새로운 변화, 특별지방자치단체 도입 이슈와 전망", 월간 공공정책, 195: 24-26, 2022

      66 강신겸, 최승담, "관광지 지역주민의 지역사회 애착도 측정척도 개발", 관광학연구, 26(1): 103-117, 2002

      67 Allen , L. R. , Hafer , H. R. , Long , P. T. , & Perdue , R. R., "Rural residents ' attitudes toward recreation and tourism development", 31 ( 4 ) : 27-33 ., 1993

      68 Lankford , S. V., "Attitudes and perceptions toward tourism and rural regional development", 32 ( 3 ) : 35-43 ., 1994

      69 노해득, "관광경험이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70 이정순, "관광활동이 관광여가만족과 웰빙 지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04

      71 고동완, "지역주민의 지각된 관광영향과 지역사회에 대한 태도", 성균관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1998

      72 김민수, 전진호, "축제방문객의 만족도와 지출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관광연구 저널, 27(6): 21-36, 2013

      73 최민석, "오토캠핑장 관광동기가 만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8

      74 고헌환, "제주특별자치도특별법 개정 법률안의 주요내용과 과제", 토지공법연구, 43: 177-197, 2009

      75 송재호, "지방정부의 관광정책 이해집단간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1996

      76 김철회, 최성락, "지역 축제 방문객 지출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관광연 구저널, 25(4): 435-453, 2011

      77 강유미, 곽대영, "레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 영적 웰빙의 매개효과", 관광 연구저널, 24(4): 89-107, 2010

      78 노유지, 조정래, "자원 변수 중심으로 살펴 본 고령인구 삶의 만족 결정요인", 사회 과학연구, 60(2): 475-498, 2021

      79 Ko , D. W. , & Stewart , W. P.,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residents ’ attitudes for tourism development", 23 ( 5 ) : 521-530, 2002

      80 Brayley , R. , & Var , T., "Canadian perceptions of tourism 's influence on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16 ( 4 ) : 578-582, 1989

      81 구철모, 정남호, 이현애, "스마트관광의 경제적 파급효과: 산업연관모델을 활용하 여", 호텔관광연구, 22(2), 1-12, 2020

      82 노윤구, "축제에 대한 지역사회 애착도가 주민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83 김희진,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구도심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인식 연구", 관광레저연 구, 32(10): 45-59, 2020

      84 조태영, "문화관광체험이 고유성 및 관광만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85 김관보, 채경진, 손호중, "지방정부 신뢰의 영향요인 실증 분석: 경기도정을 중심 으로",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12

      86 고계성, "지역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인식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 구, 26(9): 379-396, 2014

      87 고선영, 정근오, "지역관광 빅데이터 정책성과와 과제-제주특별자치도를 사례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2(3): 579-586, 2021

      88 Williams , D. R. , Patterson , M. E. , Roggenbuck , J. W. , & Watson , A. E., "Beyond the commodity metaphor : Examining emotional and symbolic attachment to place", 14 ( 1 ) : 29-46 ., 1992

      89 Lee , T. H., "Influence analysis of community resident support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34 : 37-46 ., 2013

      90 Jorgensen , B. S. , & Stedman , R. C., "Sense of place as an attitude : Lakeshore owners attitudes toward their properties .", 21 ( 3 ) : 233-248 ., 2001

      91 서대경, "관광자의 관광 전(전)과 관광 후(후)의 삶의 질 차이에 관한 연구", 경기대 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92 고동완,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상황적 특성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의 차이", 관광학 연구, 25(1): 63-80, 2001

      93 노형준, "주민의 관광영향인식이 지역정체성, 애착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94 하승수, "제주특별자치도의 경험으로 본 지방행정체제 개편논의의 문제점", 지방자 치법연구, 9(2): 123-143, 2009

      95 박순애, "정부에 대한 이해와 정부 신뢰 관계: 우리나라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행 정학보, 40(2): 73-97, 2006

      96 이보라,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운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97 서용건, 허향진, 양성수, "제주지역의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과 태도에 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23(4): 199-210, 2009

      98 고선영, "코로나 19 전후 제주 지역사회의 관광에 대한 인식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 지역지리학회지, 27(2): 164-178, 2021

      99 Groth , M., "Customers as good soldiers : Examining citizenship behaviors in internet service deliveries", 31 ( 1 ) : 7-27, 2005

      100 Fridgen , J. D., "Dimensions of tourism , the Educational Institute of the American hotel & Motel Association", 5 ( 3 ) : 235-53, 1991

      101 김경보, "제주특별자치도 관광법제 개편방안에 관한 연구: 여행업을 중심으로", 제 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2

      102 김남조, 조광익, "관광의 영향이 지역주민의 태도와 관광개발에 미치는 구조 효과 분석", 관광학연구, 26(2): 31-51, 2002

      103 오정근, "관광경험이 심리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 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104 김현구, 최도림, 이승종, "정부신뢰의 지표체계 개발 및 적용: 외부신뢰와 내부신 뢰의 비교분석", 행정논총, 47(3): 1-24, 2009

      105 한성덕, "삶의 질(노년), 인문사회과학분야 중점연구영역: 제1차년도 연구보고서", 1997

      106 강태우, "지역주민의 지방정부성과와 신뢰 인식이 관광개발 지지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07 Andereck , K. L. , & Vogt , C . A.,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 attitudes toward tourism and tourism development options", 39 ( 1 ) : 27-36 ., 2000

      108 이헌수, "국민의 행정신뢰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공무원에 대한 신뢰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3(2): 37-56, 1999

      109 이지현, 허진하, 정미경, "제주특별자치도의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을 위한 문화원 형 콘텐츠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1): 309-319, 2009

      110 고민규, 김남조,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지각과 주민참여 관계: 어촌체험마을을 중 심으로", 관광연구논총, 20(1): 181-201, 2008

      111 김순열, "강원지역 음식관광 선택속성이 지역애착과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2

      112 하혜수, "우리나라의 지방분권 수준은 왜 낮은가-지방분권가설에 관한 탐색적 연 구", 한국지방행정학보, 17(2): 25-47, 2020

      113 이승현,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자치제 운영에 관한 교육관련 집단의 인식 조사 연 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14 강신겸, 최승담, "지역사회애착도의 구성요인에 관한 개념적 고찰: 관광개발에 대 한 시사점", 사회과학논총, 20: 203-222, 2001

      115 김정숙,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인식과 사회적 특성이 관광개발 유형에 미치는 영 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16 정은미, "저가항공사 고객시민행동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사회교환이론을 중심으 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17 임원선, 장정순, "지역사회 애착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경기 도 의정부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15(2): 101-125, 2015

      118 소재민, 심우석, "공정관광이 지역 애착도와 관광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김제시 를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46(1): 275-295, 2021

      119 구선영, 이충기, "모험관광객의 체험과 Flow, 만족, 심리적 행복감 및 삶의 질간의 구조관계 연구", 관광레저연구, 33(6): 5-23, 2021

      120 박주영,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인식이 관광정책 갈등요인과 정책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121 서은국, 임낭연, 이화령, "한국에서의 Diener 의 삶의 만족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사용 연구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1): 21-47, 2010

      122 박희봉, 이희창,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경제사회적 요인인가? 사회 자본 요인인가?", 한국행정논집, 17(3): 709〜728, 2005

      123 이정민, "숲 체험적 경험을 통한 여가만족과 웰니스 구성요인, 삶의 질 간의 구조적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124 구철모, 신선진, 노희섭, 김성현, "4 차 산업혁명시대의 스마트관광 생태계 고찰- 제주특별자치도 사례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25(6): 1-17, 2018

      125 고계성, 송재호, "관광개발 영향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에 관한 연구: 경남 창원시 마산구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8(1): 37-51, 2015

      126 박애경, "웰니스관광 요인이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자기효능감, 삶의 질에 미치 는 영향",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127 강영애, 유광민, 김남조, "지역주민의 장소애착과 환경인식이 생태관광 영향인식 과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논총, 24(4): 113-136, 2012

      128 김나영, "지역주민의 지역애착도가 관광젠트리피케이션 인식 및 참여의사에 미치 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29 고계성, 현홍준, 김영남, "관광객전용카지노 도입에 대한 관광지 지역주민의 영향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호텔관광연구, 12(3): 29-46, 2010

      130 윤대균, "관광정책과 거버넌스가 관광정책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관광지를 중 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2(10): 375-392, 2020

      131 조성규, 최규환, "테마여행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국내테마여행상품선택속성 차이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8(2): 199-215, 2016

      132 Ramkissoon , H. , Weiler , B. , & Smith , L. D. G., "Place attachment and pro-environmental behaviour in national parks : The development of a conceptual framework", 20 ( 2 ) : 257-276 ., 2012

      133 김광수,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관계: 제주특별자치도는 얼마나 특별한 道일 수 있는가?", 지방자치법연구, 9(3): 3-24, 2009

      134 정승훈, "도시재생 관광개발사업에 대한 지역주민의 정부신뢰, 영향 인식, 지지의 관계 분석", 관광경영연구, 89: 223-245, 2019

      135 표명환, "지방자치법상의 ‘특별자치도’의 의미와 그 문제: 제주특별자치도법을 중심 으로", 공법학연구, 10(4): 139-168, 2009

      136 김종대, 허성호, "2006년 고령화 패널조사에 나타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다차원적 영향 분석.", 한국노인학, 31(2): 407-418, 2011

      137 Ertmer , P. A. , & Newby , T . J., "Behaviorism , cognitivism , constructivism : Comparing critical features from an instructional design perspective", 6 ( 4 ) : 50-72 ., 1993

      138 김미성, 윤유식, "지역주민의 컨벤션센터 파급효과 인식이 개발태도, 지역애착, 지 지도에 미치는 영향", 이벤트컨벤션연구, 42: 217-235, 2021

      139 이은지, "관광객에 대한 지역주민의 정서적 연대가 정부신뢰와 관광개발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40 신석민, 이채완, 이상호, "지방정부 관광정책사업의 순응과정 분석: 제주 그랜드 세일의 참여사업자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43(5): 69-87, 2019

      141 Dyer , P. , Gursoy , D. , Sharma , B. , & Carter , J., "Structural modeling of resident perceptions of tourism and associated development on the Sunshine Coast . Australia", 28 ( 2 ) : 409-422 ., 2007

      142 박민수, 차경수, "부산지역 관광산업 및 관광수요의 특성: 지역산업연관표와 패널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87: 485-506, 2019

      143 정문기, 최희용, "지역사회애착도가 주민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5대 생활권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1(4): 855-878, 2019

      144 송현진, 조윤직, "코로나 19 경험과 정부지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세대 간 차별화된 영향력의 탐색",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4(1): 119-149, 2022

      145 윤설민, 이태희, "테마파크에서의 체험이 감정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 계 체험마케팅 관점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4(2): 289-308, 2012

      146 장병주, "웰빙지향행동, 웰에이징, 여가태도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관광기업 이용 객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14(2): 23-47, 2018

      147 박영식, 임진선, "제주올레길 도보관광 참여 대학생의 체험요인이 삶의 만족과 재 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45(4): 521-538, 2020

      148 장모나, "지역사회 애착도와 관광영향 인식이 친환경 행동의도와 관광개발 지지도 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49 송상섭, 한범수, "지역사회 애착이 내발적 지역관광개발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제주도 주민을 대상으로", 관광학연구, 36(1): 241-261, 2012

      150 김상호, "언론의 객관성에 대한 분석적 고찰: 해석 공동체의 해석틀로서의 객관성 개념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7(3): 5-38, 2007

      151 김중환, "지방화 시대의 지역관광개발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안동시 사례를 중심 으로. 한양대학교", 지방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52 Strzelecka , M. , Boley , B . B. , & Strzelecka , C., "Empowerment and resident support for tourism in rural Central and Eastern Europe ( CEE ) : The case of Pomerania , Poland", 25 ( 4 ) : 554-572 ., 2017

      153 조승호, 허준수,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인과모형 연구: 유형별 사회참여활 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 673-691, 2017

      154 박영아, "도보여행길 개발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과 제주 올레길 개발지지 간의 영 향관계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36(2): 159-178, 2012

      155 Ritchie , B. W. , & Inkari , M., "Host community attitudes toward tourism and cultural tourism development : the case of the Lewes District , Southern England", 8 ( 1 ) : 27-44, 2006

      156 전인철, "농촌지역개발의 공공지원에 대한 주민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 사회 교환이론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57 서재연, 정철, 송상헌, "정부 신뢰도, 복합리조트 개발 영향 인식과 개발 지지도 간 영향관계: 지역 애착도의 조절효과", 호텔관광연구, 23(1): 31-49, 2021

      158 박주영, 오상훈,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인식과 관광 목적지의 사회적 책임 간 영향 관계 연구: 제주지역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2(9): 79-96, 2020

      159 홍성범, "카지노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인식, 공정성, 정책신뢰성이 지역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60 김도영, 김진욱, "힐링관광 참여자의 주의회복과 치유프로그램에 대한 감정이 삶 의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4(4): 161-178, 2015

      161 최진혁, "지방분권의 제 2 도약으로서 대한민국의 자치분권 추진과제에 관한 연구: 문재인정부 출범에 부쳐",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9(3): 55-84, 2017

      162 김상돈, "정치뉴스매체 활용이 정치제도 신뢰에 미치는 영향: 정치결사체 참여와 정책신뢰의 매개효과 분석", 방송통신연구, 113-152, 2006

      163 정은성, 최사라, "해양레저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인식, 공동체 의 식, 개발지지도의 구조적 관계 연구", 관광진흥연구, 9(3): 215-234, 2021

      164 문현철, 한진성, 윤지환, "제주도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인식과 지속적 관광개발 지 지의사 간 관계에서 지역애착도의 조절효과", 관광학연구, 42(10): 93-109, 2018

      165 양덕순, 오누리, "제주특별자치도 성공을 통한 한국 분권모델의 완성: 제주특별자 치도의 공(功)과 과(過), 그리고 미래",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45-165, 2020

      166 나상필, 박정익, "지역애착도에 따른 개최효과인식이 지역민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를 중심으로", 이벤트컨벤션연구, 23: 119-134, 2015

      167 김영국, 최정은, "남북관광교류에 대한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인식, 감정성향과 만 족의 관계-강원도 고성군지역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5(9): 239-259, 2011

      168 박경열, 한혜림, 최승담,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드 배치 전후 중국관광객의 한국 관광 인식 변화 비교: 의미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1(2): 25-43, 2019

      169 이후석,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지각과 관광개발 태도의 관계 분석: 미니시리즈 ‘올 인’ 촬영지 섭지코지를 사례로", 관광학연구, 28(3): 221-238, 2004

      170 손병모, "평창 동계올림픽 관광이미지가 지각된 가치와 지역 애착도에 미치는 영 향: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0(1): 163-183, 2016

      171 강신겸, 정유리, 정성문, "도시관광지 주민의 지역애착도가 관광개발 지지에 미치 는 영향: 광주 근대역사문화마을 양림동을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31(7): 21-38, 2017

      172 조민지, "임업, 거주지역의 소득혼합수준이 시민 자부심으로서의 장소애착심에 미 치는 영향: 서울서베이를 활용하여", 지역연구, 32(3): 3-15, 2016

      173 임기성, "지역 주민의 지역사회 애착과 관광영향 인식이 관광개발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울산 일산유원지를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9(1): 43-63, 2013

      174 김준우, 최연화, 송학준, "복합리조트 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영향 인식, 장소애착 심, 개발인식 및 개발지지도간 영향 관계에 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7(8): 281-296, 2018

      175 문창현, "생태관광개발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경제적ㆍ사회문화적ㆍ환경적 측면의 지역주민 의식수준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15(1): 71-94, 2007

      176 윤동환, 한승훈, "지역주민의 지역애착이 관광개발 태도와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광역시 어등산 관광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4(9): 21-35, 2020

      177 김태진, "지방자치단체의 관광정책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신뢰가 수용에 미치는 영 향: 제주지역의 관광사업체를 대상으로",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78 류지호, 신문기, 박경옥, "지역 주민의 지역사회 애착과 관광개발에 대한태도 연구: 개인혜택, 관광객 수용, 지역사회만족 인식의 조절 효과", 관광레저연구, 27(1): 43-62, 2015

      179 백림정, 한진수, "힐링 관광에서의 고객체험이 주관적 행복감, 심 리적 행복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 로", 호텔경영학연구, 26(3): 1-17, 2017

      180 송방혁, "사회적 신뢰, 외국인 방문객에 대한 관광영향인식 및 출입국정책 수용성 간 관계에 대한 연구: 제주도민을 대상으로",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22

      181 박청인, "국립공원 취락지구 주민의 귀속감이 공원 관리에 미치는 영향의 탐색적 연구: 계룡산 국립공원 취락지구의 사례연구", 국토계획, 35(1): 129-138, 2000

      182 정승훈, "정치적 임파워먼트가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영향 인식, 정부 신뢰, 개발 지지에 미치는 영향: 제주도를 사례로", 관광연구저널, 33(8): 47-64, 2019

      183 김태훈, "지역관광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관광정책요인, 지역관 광환경요인, 지역거버넌스 요인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84 최승담, 하동원, "광역관광개발에서 관광개발 자원의존 특성이 지방정부간 협력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간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29(5): 75-90, 2015

      185 김미주, 김영미, 김성섭, "카지노 개발 이전의 기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인식, 장소애착심, 카지노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의사 간의 관계", 관광학연구, 34(5): 307-330, 2010

      186 유은정, 한석호, "지역관광이 주민의 삶의 질과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지지에 미치 는 영향: 관광영향인식과 상향식 파급이론의 통합적 접근", 한국관광학회 국제학술 발표대회집, 685-691, 2022

      187 강유진, 신동주, "지역주민의 애착도가 관광개발영향인식, 혜택,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폐특법 대상지인 강원도 남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관광연구, 31(1): 113-129, 2016

      188 김나영, 김진강, 김수진, "관광형 도시재생사업에 있어서 지역주민의 지역애착도 가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관광 젠트리피케이션 인식의 매개효과", Tourism Research, 45(3): 51-75, 2020

      189 가정혜, 위주연, "지역주민의 관광지재생에 대한 인식이 관광지이미지 및 지역애 착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지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96: 429-453, 2020

      190 강인원, "관광교류협력사업과 연계지역의 관광발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금강산 관광사업과 강원도 고성군의 발전 방안을 중심으로",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4): 55-73, 2006

      191 오민재, 이후석, "지역애착과 관광영향인식이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 지지여부에 미치는 영향: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28(12): 5-16, 2014

      192 정승환, "사회교환이론과 사회적 자본을 통한 온라인 환경에서의 사회적 지식공유 에 대한 논의: 게임이론과 행위자기반모형을 적용하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7

      193 김현지, 하종철, "세계중요농업유산기반의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애착도, 관광영향인식, 관광개발참여 및 관광개발지지 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관광레 저연구, 34(3): 183-205, 2022

      194 김주연, 이상호, "축제방문객에 의한 축제품질과 진정성 지각이 축제신뢰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안리어방축제와 낙동강구포나루축제를 중심으로", 관광연 구저널, 33(11): 5-18,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