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가는 일반적으로 지역별, 유형별 분류방법으로 정립하고 있다. 강원도 지방은 영동지방의 민가와 영서지방의 민가가 서로 다르고 삼척을 중심으로 북쪽과 남쪽이 다르기 때문에 많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959995
[]: 삼척대학교, 2002
학위논문(석사) -- 三陟大學校 産業大學院 , 建築工學科 , 2002
2002
한국어
549.000
대한민국
vii, 42 p..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민가는 일반적으로 지역별, 유형별 분류방법으로 정립하고 있다. 강원도 지방은 영동지방의 민가와 영서지방의 민가가 서로 다르고 삼척을 중심으로 북쪽과 남쪽이 다르기 때문에 많은...
한국민가는 일반적으로 지역별, 유형별 분류방법으로 정립하고 있다. 강원도 지방은 영동지방의 민가와 영서지방의 민가가 서로 다르고 삼척을 중심으로 북쪽과 남쪽이 다르기 때문에 많은 민속학자가 민가에 대하여 각자의 시각에서 이론을 전개하고 또 추정도 많이 하는 지역이다.
본 연구의 조사지역 민가를 답사 정리한 결과로는, 지역마다 별 다른 특색은 보이지 않았고, 조사 지역의 모든 민가가 일자의 구들구성 전자집과 두렁집 으로만 축조 되었는데, 이런 이유는 조사 지역이 산간지역인 관계로 인하여 도적이나 짐승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보호 본능으로 인하여 폐쇄적 형태인 일자의 구들 구성집과 두렁집 으로만 축조했다고 판단되어 진다.
구들구성의 전자집은 주로 삼척지방 북쪽에 분포되어 있으면 취침공간 부분이 구들로 구성되고 나란히 정지와 붕당 그리고 마구와 고방이나 방앗간이 있다.
특히 一자의 구들구성 전자집은 산간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므로 자연지형에 순응하고 오수의 흐름을 중시한 배치방법을 선택하여 자연과의 조화를 민가 여러 부분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두렁집의 특성은 내향, 보호적 주거공간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영서와 영동의 서로 다른 주거문화를 혼합 절충한 주거형식이며, 일반적으로 너와집으로 알려져 있으나 원래의 명칭은 두렁집으로 칸수에 따라 아홉칸 두렁집과 여칸 두렁집으로 분류하고 그 의미는 둘레, 둘레를 돌아가며 주위에 실들이 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fork house, generally, is separated a way of classification through regionally and typically. Kang Won province is the region where forklorists practice their theories and assumptions according to their own views because Young Dong district and...
Korean fork house, generally, is separated a way of classification through regionally and typically. Kang Won province is the region where forklorists practice their theories and assumptions according to their own views because Young Dong district and Young Seo district' fork house is different, also North and South has an own way the centering around Samchuck.
The results of the study after researching the fork house. There is no any particular feature in the each region. Most of fork houses in the research area were constructed the -shaped Gudul in 田-shaped Jip and DuRung Jip. The reason of the constructing of the closed -shaped GuDul in 田-shaped Jip is the instinct of protection from wild animals and burglars.
The 田-shaped Jip of the Gudul was mainly distributed on the north of Samcheok district. The sleeping area in the house was constructed with GuDul along with a kitchen, a BongDang( unfloored area between two rooms), Magu(harness) and a mill.
Especially, 田-shaped Jip with Gudul can be found at the remote mountain villages where adopted nature features and chose the best way th flow the sewage. Those are the facts that people who were lived in tried to harmonize with the nature and fork houses in many aspects.
Distinctive quality of DuRung Jip was the accepting the form of the introverting and protecting habitation. Also DuRung Jip was the house which was combined and developed the Young Seo and Young Dong distircts' fork houses.
Generally, through known as the Newha-Jip, originally it was called DuRung Jip which was separated from nine-Kan Durung Jip and Yea-kan DuRung Jip, which mean Girth. The reason of having the name of Durung Jip was rooms were built around th girth.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