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는 정부와 민간부문의 공공외교를 통해 자국에 우호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대외정책을 뒷받침한다. 독립 초기에는 정부가 중심이 된 경제 부문공공외교에 집중하였으나 점차 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90302
2025
-
싱가포르 ; 탈단극체제 ; 규칙기반 질서 ; 아세안 중심성 ; 샹그릴라 대화 ; 싱가포르국제기금회 ; 외국간섭배제법 ; 대안적 담론 ; Singapore ; Post-Unipolar World ; rules-based order ; ASEAN Centrality ; Shangri-la Dialogue ; SIF ; FICA ; alternative narrative
학술저널
92-101(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싱가포르는 정부와 민간부문의 공공외교를 통해 자국에 우호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대외정책을 뒷받침한다. 독립 초기에는 정부가 중심이 된 경제 부문공공외교에 집중하였으나 점차 민...
싱가포르는 정부와 민간부문의 공공외교를 통해 자국에 우호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대외정책을 뒷받침한다. 독립 초기에는 정부가 중심이 된 경제 부문공공외교에 집중하였으나 점차 민간부문의 역할이 확대되었고 분야도 중립적인 국가 이미지 확산과 지역 내 협력 활동 등으로 다양화하였다.
탈(脫)단극체제가 형성되어 감에 따라 싱가포르의 공공외교는 강대국 사이의 경쟁에 휘말리지 않고 자국의 주권과 영향력을 유지하는 데에 방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규칙기반 질서’를 강력히 옹호하고 ‘아세안(ASEAN) 중심성’과 같은 원칙을 강조하며 국제기구와 지역 기구 및 개방 경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샹그릴라 대화와 같은 국제 안보 포럼을 적극 활용하고 싱가포르 국제기금회(SIF) 등을 통해 국가 간 문화 및 지식 교류도 증진한다. 한편, 외국이 공공외교를 통해 자국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견제하고자 ‘외국간섭 배제법’을 제정하고, 자체 미디어 능력을 강화하여 대안적 담론을 확산시키는 노력도 병행한다.
한마디로 탈단극체제 하에서의 싱가포르의 공공외교는 강대국 중심의 내러티브에 대응하여 자국과 지역협력체의 목소리를 분명하게 발신하고, 강대국의 부당한 영향력 확대 시도에 적극 대응하며, 유사 입장국과의 긴밀한 연계 활동을 통해 중립적인 활동 공간을 확대해 나가는 데 초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gapore’s public diplomacy, shaped by both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aims to enhance its international image and support foreign policy goals. Initially focused on economic issues, it has gradually expanded to include promoting neutra...
Singapore’s public diplomacy, shaped by both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aims to enhance its international image and support foreign policy goals. Initially focused on economic issues, it has gradually expanded to include promoting neutrality and regional cooperation.
In a post-unipolar world, Singapore seeks to protect its sovereignty while avoiding great power rivalries. It champions a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emphasizes ASEAN Centrality, and supports regional and global institutions. Active in global security forums like the Shangri-La Dialogue and fostering cultural exchange through the Singapore International Foundation(SIF), Singapore also enacted the Foreign Interference Countermeasures Act(FICA) to limit external influence in domestic affairs, while strengthening its media to offer alternative narratives.
Ultimately, Singapore’s Public Diplomacy strategy in a Post-Unipolar World is to assert its voice, counter dominant power narratives, resist undue influence, and preserve strategic autonomy through collaboration with like-minded nations.
한국 르네상스의 길 -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기반 공공외교로 국가 신뢰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