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업나눔을 적용한 단위학교 수업협의 사례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88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존의 수업 개선 프로그램과 달리 수업자의 성찰을 돕는 방향으로 동료교사들과 공동체성을 구축하고 단위학교에 수업협의 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수업코칭 기반 수...

      본 연구는 기존의 수업 개선 프로그램과 달리 수업자의 성찰을 돕는 방향으로 동료교사들과 공동체성을 구축하고 단위학교에 수업협의 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수업코칭 기반 수업나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수업코칭 기반 수업나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8개 학교에 실행해보고, 그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수업협의문화 변화를 추동하는 영향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단위학교 적용의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과 질적 자료 분석을 통해 수업나눔 프로그램의 의미와 한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수업나눔의 의미는 개인적 측면으로 수업의 본질 추구, 수업에 대한 폭넓은 이해, 교사의 자존감 회복, 수업에 대한 자신감 증가 등이 나타났고, 관계적 측면으로 격려와 지지의 공동체 경험, 학생과의 관계와 일상의 삶으로 확대, 마음의 연결됨을 경험, 존재로의 만남 경험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계로는 시간부족, 강제성, 직면 단계의 어려움, 여전히 부담스런 수업공개가 두드러졌다. 수업나눔을 통한 수업협의문화를 추동하게 하는 영향요인 도출 결과 자발성, 관계, 시간, 학교분위기, 관리자 마인드, 교육청의 지원 등이 있었다. 첫째, 자발성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는 집단에 비해 휠씬 수업나눔에 대한 만족도와 필요성이 높았고, 수업나눔 적용 수준이 높았다. 둘째, 충분한 시간이 확보된 학교가 그렇지 않은 학교에 비해 수업나눔 적용이 원활하였다. 셋째, 교사들이 충분한 관계성이 형성된 학교가 그렇지 않은 학교에 비해 수업나눔 적용이 촉진되었다. 넷째, 외부촉진자와 내부촉진자의 선순환 역할이 중요했다. 외부촉진자인 수업코치와 단위학교 내에 수업협의 문화 변화를 선도하는 사람 혹은 그룹인 내부촉진자가 있을 때 좀 더 수업나눔이 잘 정착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단위학교 기반의 수업나눔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8개학교를 대상으로 비교적 장기간 실행해보고 이에 대한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의 수업협의문화 변화 양상과 요인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suggests an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based on a 'instructional coaching'. This program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programs to improve class in a way that it helps a teacher consider his or her class, building up a community with ...

      The study suggests an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based on a 'instructional coaching'. This program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programs to improve class in a way that it helps a teacher consider his or her class, building up a community with other teachers and changing the customary class criticism at schools. The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based on a coaching of teaching and apply that at 8 schools, and to compare the processes at schools to find factors of changing school culture, then to consider how to conduct the program at schools.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e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were able to be found by surveying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First, in terms of advantages of the instructional sharing, a teacher can seek the essence of class, understand the class better, build self-esteem, get self-confidence in class.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relation, a teacher can benefit from a encouraging and supporting community, have out-of-classroom fellowship with students, have open hearts each other, and have personal and informal fellowship with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limited time, unwillingness, tendency of avoiding objectively facing oneself as a teacher, negative feeling on showing one’s class to others. The promoting factors of the discussion-on-class-culture throughout the instructional sharing are one’s willingness, relation, time, school environment, the philosophy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he assistance from an education off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instructional sharing program based on unit schools and to implement them for a long time in 8 schools. Based on this, it is worthwhile to examine the change and factors of school culture that teachers percei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단위학교 기반 수업나눔 프로그램
      • 1. 수업코칭의 개념
      • 2. 수업나눔과 단위학교 수업나눔 프로세스
      • 요약
      • Ⅰ. 서론
      • Ⅱ. 단위학교 기반 수업나눔 프로그램
      • 1. 수업코칭의 개념
      • 2. 수업나눔과 단위학교 수업나눔 프로세스
      •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 1. 연구 대상
      • 2.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1. (연구문제1) 수업나눔 모델학교에 수업나눔 프로그램을 실행한 결과
      • 2. (연구문제2) 수업나눔을 통한 수업협의문화를 추동하게 하는 영향요인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수, "형식적인 ‘수업협의회’를 성찰중심의 ‘수업나눔회’로 바꾸자" 18 : 30-42, 2015

      2 윤석주, "혁신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혁신 경험에 대한 질적 탐구: 학년공동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9 (29): 177-199, 2016

      3 이희경, "코칭입문" 교보문고 2005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아카데미프레스 2012

      5 홍의숙, "중소기업 리더 코칭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관련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6 김효수, "수업코칭을 통한 학교 문화 변화 사례 연구-S중학교를 중심으로" 1 (1): 47-74, 2016

      7 이규철, "수업코칭, 수업친구와 수업나눔" 맘에드림 2016

      8 이은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에 대한 개념적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3 (33): 105-135, 2017

      9 이재덕, "수업컨설팅을 위한 코칭 기법의 특징과 활용 방안"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307-332, 2008

      10 전상훈, "수업지도성, 분산적 지도성, 학교풍토가 교사전문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9-50, 2016

      1 김효수, "형식적인 ‘수업협의회’를 성찰중심의 ‘수업나눔회’로 바꾸자" 18 : 30-42, 2015

      2 윤석주, "혁신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혁신 경험에 대한 질적 탐구: 학년공동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9 (29): 177-199, 2016

      3 이희경, "코칭입문" 교보문고 2005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아카데미프레스 2012

      5 홍의숙, "중소기업 리더 코칭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관련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6 김효수, "수업코칭을 통한 학교 문화 변화 사례 연구-S중학교를 중심으로" 1 (1): 47-74, 2016

      7 이규철, "수업코칭, 수업친구와 수업나눔" 맘에드림 2016

      8 이은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에 대한 개념적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3 (33): 105-135, 2017

      9 이재덕, "수업컨설팅을 위한 코칭 기법의 특징과 활용 방안"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307-332, 2008

      10 전상훈, "수업지도성, 분산적 지도성, 학교풍토가 교사전문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9-50, 2016

      11 김병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학습공동체 사례 연구-초등학교 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50) : 7-34, 2014

      12 이재남, "수업예술론" 미래희망 2011

      13 한대동, "수업과 교사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학교혁신 사례연구: 한국과 일본의 시범학교 비교" 한국비교교육학회 18 (18): 141-169, 2008

      14 김소현,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코칭 사례 분석 - 국어과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3) : 37-78, 2015

      15 김효수, "성찰중심의 사회과 수업코칭에 관한 실행연구" 18 : 25-39, 2015

      16 김효수, "새로운 수업협의회를 제안한다"

      17 박나실, "내부로부터의 학교 변화: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의 형성 및 발달에 관한 사례"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91-114, 2015

      18 김소현, "국어과 교사 전문성 신장 연구의 방향 검토 -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배달말학회 (47) : 165-200, 2010

      19 Hoy, W. K, "교육행정: 이론, 연구,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2007

      20 선우진, "교사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연구의 긍정적인 측면과 한계점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17 (17): 189-203, 2014

      21 조윤정, "교사학습공동체 기반 연수에 관한 질적 연구: 교과연수년 직무연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33-65, 2015

      22 홍미화, "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 읽는 초등 사회과 수업"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23 신을진, "교사의 성장을 돕는 수업코칭" 에듀니티 2015

      24 김태현, "교사, 수업 속에서 나를 만나다" 좋은교사 2012

      25 서경혜, "교사 학습에 대한 공동체적 접근"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61-191, 2013

      26 김소현, "관계 중심 수업 코칭의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277-303, 2013

      27 Veenman, S., "The coaching of teachers : Results of five training studies" 7 : 385-417, 2001

      28 Showers, B., "Teachers coaching teachers" 42 (42): 43-48, 1985

      29 Bullough, Jr. R. V.,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s : catalysts for teacher and school change" 13 (13): 153-171, 1997

      30 Sulman, L. S., "Knowledge and teacher: Foundation of the new reform" 57 : 1-21, 1998

      31 Knight, J., "Instructional coaching: a focus on practice" 5 : 100-112, 2012

      32 Robbins, P., "How to plan and implement a peer coaching program" ASCD 1991

      33 Knight, J., "Coaching approaches and perspectives" Corwin Press 2009

      34 김효수, "'배움의 공동체' 학교의 사회과 수업 실천 사례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