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농촌경관유형의 분류를 위한 새로운 분석의 틀을 설정하고 각 유형별 대표경관요소를 파악함으로써 농촌경관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34557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5-64(1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농촌경관유형의 분류를 위한 새로운 분석의 틀을 설정하고 각 유형별 대표경관요소를 파악함으로써 농촌경관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
본 연구는 농촌경관유형의 분류를 위한 새로운 분석의 틀을 설정하고 각 유형별 대표경관요소를 파악함으로써 농촌경관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농촌경관유형 분석의 틀은 3개 대분류, 9개 중분류, 71개 경관요소로 세분류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5년 동안 농촌어메니티 100선에 선정된 500개의 농촌경관사진을 분석하였다. 대분류에서는 자연경관, 생활경관과 생산경관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으며 첫 해에 비하여 마지막 해에는 자연 경관이 감소하였고 생산경관은 약간 증가하였으며 생활경관은 상대적으로 대폭 증가하였다. 중분류에서는 자연경관은 수경관, 생산경관은 경작지경관, 생활경관은 역사문화경관이 대표적인 경관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분류에서 대표경관요소는 산림경관은 숲, 수경관은 하천, 지형경관은 기암괴석과 특이지형, 경작지경관은 논, 생산시설경관은 저수지, 주거경관 은 마을, 가로경관은 담장, 역사문화경관은 노거수였다. 조망거리를 분석하면 근경이 과반수 정도로 가장 많았고 중경, 원경 순이었으며 자연경관에서는 원경, 생산경관에서는 근경, 생활경관에서는 중경이 타 경관유형에 비해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계절별로는 여름이 가장 많았고 가을, 봄, 겨울 순으로 모든 경관유형에서 여름이 가장 높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regarding the efficient use and preservation of rural landscape resources by establishing a new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classification of rural landscape types and identifying representative landsca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regarding the efficient use and preservation of rural landscape resources by establishing a new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classification of rural landscape types and identifying representative landscape elements for each type. The framework of rural landscape type analysis was subdivided into 3 major classifications, 9 subclassifications, and 71 landscape elements. Based on this, 500 rural landscape photos selected for rural amenity 100 for 5 years were analyzed. In the major classification, natural, living, and production landscapes appeared in similar ratios. It was found that natural landscapes decreased, production landscapes increased slightly, and living landscap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natural landscape, the water landscape, in the production landscape, the cultivated landscape, and in the living landscap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were recognized as representative landscapes. Representative landscape elements are forests in forest landscapes, rivers in water landscapes, oddly-shaped rocks and stones and, unusual terrain in topographical landscapes, paddy fields in cultivated land landscapes, reservoirs in production facility landscapes, villages in residential landscapes, fences in street landscapes, and large old trees in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s. Analysis by viewing distance found, the close-range views to be the most common at about half, followed by mid-range views and distant-views. Of natural landscapes, distant views made up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whereas in production and living landscapes, close-range views and mid-range views, respectively, were relatively high proportion compared to other landscape types. By season, summer was the most common in all landscape types, followed by autumn, spring, and wint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반영운, "전문가 델파이 설문 조사를 통한 농촌경관 유형분류 및 평가지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 14 (14): 53-61, 2008
2 박창석,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총자원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 (37): 21-35, 2002
3 조순재, "농촌어메니티 자원분석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93-105, 2006
4 김상범, "농촌경관계획을 위한 공간별 주요경관요소에 관한 연구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2 (12): 13-18, 2006
5 주신하, "농촌경관계획수립 기준 정립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14 (14): 69-76, 2008
6 이동근,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경관자원 분류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1 (11): 2005
7 안명준, "농촌 어메니티 경관의 평가 체계 개발과 적용-『2007 농촌 어메니티 100선』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4 (14): 77-84, 2008
8 김대식, "그린투어리즘 및 공공서비스 기반의 지속가능한 농촌도로노선의 최적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11 (11): 1-8, 2005
9 Seung, J., "Visual Landscape Assessment Model Development for Agricultural Production Landscapes" Kyung-Hee University 2010
10 Song, H., "The effect of lifestyle on the preference for rural amenity resources and participation in rural tourism activity" 13 (13): 85-106, 2006
1 반영운, "전문가 델파이 설문 조사를 통한 농촌경관 유형분류 및 평가지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 14 (14): 53-61, 2008
2 박창석,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총자원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 (37): 21-35, 2002
3 조순재, "농촌어메니티 자원분석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93-105, 2006
4 김상범, "농촌경관계획을 위한 공간별 주요경관요소에 관한 연구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2 (12): 13-18, 2006
5 주신하, "농촌경관계획수립 기준 정립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14 (14): 69-76, 2008
6 이동근,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경관자원 분류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1 (11): 2005
7 안명준, "농촌 어메니티 경관의 평가 체계 개발과 적용-『2007 농촌 어메니티 100선』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4 (14): 77-84, 2008
8 김대식, "그린투어리즘 및 공공서비스 기반의 지속가능한 농촌도로노선의 최적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11 (11): 1-8, 2005
9 Seung, J., "Visual Landscape Assessment Model Development for Agricultural Production Landscapes" Kyung-Hee University 2010
10 Song, H., "The effect of lifestyle on the preference for rural amenity resources and participation in rural tourism activity" 13 (13): 85-106, 2006
11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The Development of Rural Landscape Preservation and"
12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Landscape Design Guidelin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3
13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Rural Amenity Resource Use Cas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4
14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Rural Multi-Functionalit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15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nual for Rural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8
1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Guidelines for Establishing a Rural Landscape Plan"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4
17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Guidelines for Establishing a Rural Landscape Plan"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9
18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Guidelines for Conservation of Traditional Rural Landscap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3
19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Finding of Rural Amenity Resources(RAR) and Development of Site-Applied RAR Planning Techniques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Mode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4
20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Create a Rural Landscape You Want to Visi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5
21 Shinohara, O., "Basics and Practice of Landscape Planning" Daewoo publishing 1999
22 Kang, Y., "A Study on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Rural Landscape in Korea –Focus on Impact of Rural Development Project on Landscape since the 1950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23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A Study on the System Improvement Plan through Empirical Research on Rural Landscape" Presidential Commission on Architecture Policy 2012
24 Rural Research Institute, "A Study on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Rural Landscape for Enhancing Amenity" Korea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2005
25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A Study on the Planning Guideline of Spatial Resources for Rural Amenity Conserv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7
26 Rural Research Institute,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Support Methods of Rural Landscape" Korea Rural Community and Agriculture Corporation 2007
27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A Study on the Guidelines of Rural Landscape Management for Rural Amenit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28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A Study Developed the Evaluation Indices of Rural Landscap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9
29 Suh, J., "A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of Landscape Control Planning in Rural Settlement Area" 2 (2): 79-90, 1996
IPA 분석을 통한 중국 계림(桂林)의 관광이미지 지각 특성
신‧구 주거지역 도시녹지의 유형별 평가 연구 1) – 중국 장시성 난창시 도시재생지역을 중심으로 –
쇠퇴항만 재생사업 분석을 통한 수변공간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도시재생공원의 이용특성 분석 – 마포문화비축기지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9-03-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Journal of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 휴양및경관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6-03-1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휴양및경관연구 -> Journal of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4-04-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논문집 -> 휴양및경관연구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4 | 0.407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