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및 2015 개정 기본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평가 관련 핵심어를 비교 분석하여 기본 교육과정 평가 방안의 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37139
2023
-
379
KCI등재
학술저널
1-31(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및 2015 개정 기본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평가 관련 핵심어를 비교 분석하여 기본 교육과정 평가 방안의 개...
이 연구는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및 2015 개정 기본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평가 관련 핵심어를 비교 분석하여 기본 교육과정 평가 방안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료 수집 및 핵심어 사전 정제 단계, 핵심어 추출 단계, 의미 연결망 분석 및 시각화 단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핵심어 빈도 추출과 의미 연결망 및 중심성 분석을 위해 R프로그램과 Textom, UCINET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평가 관련 핵심어 빈도 분석과 의미 연결망 분석에서 ‘학생’, ‘활용’과 같은 공통된 핵심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에서는 ‘작품’, ‘다루지 않음’, ‘분수’ 등 구체적인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대한 핵심어가 나타났다. 셋째, 기본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에서는 ‘강점’, ‘일반화 평가’ 등의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핵심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개정되는 기본 교육과정의 평가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keywords related to assessment in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and explore the directions of improving basic curriculum as...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keywords related to assessment in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and explore the directions of improving basic curriculum assessment plan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n analysis at the stage of collecting data and refining keywords in the dictionary, the stage of extracting keywords, and the stage of analyzing and visualizing semantic networks. The R program, Textom, and UCINET were used to extract keyword frequency and analyze semantic networks and centralit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 and “utilization” were common keywords related to assessment in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two curriculum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requency and semantic network analyses; secondly,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contained keywords related to the specific achievement and assessment criteria such as “work” “not covered,” and “fraction”; and finally,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Basic Curriculum contained keywords fit for the individual educational need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such as “strength” and “generalization assess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the evaluation plans of the Basic Curriculum to be revised in the fu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의미 연결망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평가 내용 비교 분석: 국어, 수학과를 중심으로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 실시한 학교 차원 AAC 지원의 성공 요인과 후속지원에 대한 교사 인식
특수교육대상자의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에 대한 학부모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