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순한글로 작성된 송광사판 『초발심자경문언해』의 언해문에 나타나는 한자어를 검토하고, 그 한자음의 출현 양상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한자음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70446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60(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순한글로 작성된 송광사판 『초발심자경문언해』의 언해문에 나타나는 한자어를 검토하고, 그 한자음의 출현 양상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한자음을...
본 연구의 목적은 순한글로 작성된 송광사판 『초발심자경문언해』의 언해문에 나타나는 한자어를 검토하고, 그 한자음의 출현 양상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한자음을 來母와 泥·娘母에서의 ‘ㄹ~ㄴ’ 혼란, 구개음화, 그리고 기타 개별 한자음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언해문에서 來母가 ‘ㄴ’으로 바뀐 것은 대부분 두음 법칙과 ㄹ의 비음화가 적용되었기 때문이며, 泥·娘母는 ‘밥구할 렴(念)’, ‘사렴(思念)’, ‘고로(苦惱)’ 외에는 ‘ㄴ’으로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언해문에서 원문과 달리 구개음화가 적용된 용례가 적은 것은 송광사판의 작성자들이 당시 구개음화가 남부 지역에서만 발생한 것을 의식해 이를 표기에 반영하지 않으려 했기 때문이라 추정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ino-Korean words appearing in the Songgwang Temple edition of Chobalsimjaggyeongmun-eonhae(初發心自警文諺解) and to understand the notation pattern of Sino-Korean.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ino-Korean words appearing in the Songgwang Temple edition of Chobalsimjaggyeongmun-eonhae(初發心自警文諺解) and to understand the notation pattern of Sino-Korean.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Sino-Korean by dividing them into confusion in ‘ㄹ[l]~ㄴ[n]’ notation, palatalization, and other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ason why 來母 was changed to "ㄴ" in eonhae was because of the application of the initial law and nasalization and most of the 泥·娘母 were maintained as "ㄴ". In addition, it was estimated that the reason why there were not many cases of palatalization in eonhae, because the writers were conscious that the palatalization occurred only in the southern region at that time and did not want to reflect it in the not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백인, "「야운자경서」 송광사판 영인" 12·13 : 3-98, 1981
2 성백인, "「계초심학인문·발심수행장·야운자경서 해제」 계초심학인문·발심수행장 송광사판 영인" 10 : 1978
3 伊藤智ゆき, "한국한자음 연구" 역락 2011
4 김완진, "한국어 속의 이른 시기의 중국어 차용어" 3 : 15-22, 1991
5 "한국사데이터베이스"
6 "한국고전종합DB"
7 정우영, "초발심자경문언해" 신구문화사 2005
8 조기영, "초발심자경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5
9 권인한, "중세한국한자음훈집성" 제이앤씨 2005
10 이진호, "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내모 초성 표기 양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3) : 33-62, 1999
1 성백인, "「야운자경서」 송광사판 영인" 12·13 : 3-98, 1981
2 성백인, "「계초심학인문·발심수행장·야운자경서 해제」 계초심학인문·발심수행장 송광사판 영인" 10 : 1978
3 伊藤智ゆき, "한국한자음 연구" 역락 2011
4 김완진, "한국어 속의 이른 시기의 중국어 차용어" 3 : 15-22, 1991
5 "한국사데이터베이스"
6 "한국고전종합DB"
7 정우영, "초발심자경문언해" 신구문화사 2005
8 조기영, "초발심자경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5
9 권인한, "중세한국한자음훈집성" 제이앤씨 2005
10 이진호, "중세국어 한자 학습서의 내모 초성 표기 양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3) : 33-62, 1999
11 이준환, "중세국어 ㅎ말음 체언의 음운론" 구결학회 (24) : 163-199, 2010
12 유근선, "송광사판과 서봉사판 『초발심자경문언해』의 한자음 비교 연구" 한국어문학회 (150) : 89-114, 2020
13 김유범, "국어사와 한자음" 박이정 239-263, 2006
14 안병희, "국어사 자료 연구" 문학과지성사 1992
15 이진호, "국어 음운론 강의" 집문당 2021
16 이준환, "고유어와 한자어 구개음화의 상관성" 국어학회 (49) : 33-68, 2007
17 이명규, "誡初心學人文 등에 대하여-송광사판 언해본을 중심으로" 7 : 5-26, 1984
18 이명규, "發心修行章에 대한 비교 연구-서봉사판을 중심으로" 11 : 35-60, 1986
19 조세용, "漢字語의 改鑄·歸化 現象에 대한 硏究 序說 -後期 中世國語 文獻語를 中心으로-" 24·25 : 447-474, 1985
20 안병희, "壬辰亂 直前 國語史資料에 관한 二三 問題에 대하여" 33 : 81-102, 1972
21 권인한, "中世韓國漢字音의 分析的 硏究" 박문사 2009
22 신성철, "ㄹ 두음법칙의 통시적 고찰" 국어학회 (85) : 151-179, 2018
23 석미향, "『초발심자경문언해』의 음운과 한글구결 연구 : 송광사판 서봉사판의 비교를 통하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4 정우영, "『初發心自警文諺解』 연구-송광사판과 서봉사판의 판본 비교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51) : 175-209, 2008
사회 변화에 따른 부름말의 용법 변화 - 친족관계말의 확대 현상을 중심으로 -
이세보 시조의 의미 지향과 형태적 특징 -현실비판시조를 중심으로-
『沂洛編芳』 소재 용화동범(龍華同泛) 관련 작품의 존재 양상과 그 의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6 | 0.56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3 | 0.99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