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asonal rituals and Sodo (蘇塗) rituals of the Mahan Confederacy (馬韓) are an important part of Korean history despite the fact that records of these ritual practices only appear in Chinese historical texts. However, active archaeological in...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236224
이종철 (전북대학교)
2018
Korean
Mahan Confederacy ; Sodo ; Big Tree Ritual ; Korean totem pole ritual ; ritual ; 마한 ; 소도 ; 입대목 ; 솟대 ; 제의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8-45(3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asonal rituals and Sodo (蘇塗) rituals of the Mahan Confederacy (馬韓) are an important part of Korean history despite the fact that records of these ritual practices only appear in Chinese historical texts. However, active archaeological in...
The seasonal rituals and Sodo (蘇塗) rituals of the Mahan Confederacy (馬韓) are an important part of Korean history despite the fact that records of these ritual practices only appear in Chinese historical texts. However, activ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of the subject have never been undertaken as researchers have been unable to provide a valid archeological basis for these records.
As such, this paper aims to examine, among the many rituals confirmed to have been held in Mahan, Big Tree Rituals (立大木 祭儀) from an archaeological viewpoint. Although the information has been limited and jumps of logic may have occurred, this study has attempted an archeological restoration of the relevant materials based on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records, as well as several hypotheses.
First, this study introduc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onditions associated with Big Tree Rituals. It then presents the historic sites and artifacts that demonstrate a high possibility of connection with Big Tree Rituals and establishes a time scale regarding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se rituals. It is suggested that the Big Tree Rituals took place within the Sodo of the Mahan Confederacy, in particular, deriving from basic rituals conducted with big trees that took place in the Songguk-ri type culture of the Bronze Age. Using archaeological material, this study estimates that Korean totem pole rituals newly appeared in the third century BCE. Such a cultural change may have occurred due to the strong influence of the northern culture and notion of birds. Lastly, this study identifies that Big Tree Rituals and Korean totem pole rituals declined to become folk religion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either disappearing entirely or being barely practiced.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칠, "靈光 水洞鏡으로 본 被葬者의 性格" 역사문화학회 8 (8): 7-43, 2005
2 貴州大學西南少數民族語言文化硏究所, "雷公山苗族" 貴州人民出版社 2008
3 김영희, "호남지방 鳥形土器의 성격" 호남고고학회 44 : 79-107, 2013
4 李鍾旭, "한국고대사의 새로운 체계 —100년 통설에 빼앗긴 역사를 찾아서" 소나무 1999
5 권오영, "한국 고대의 새[鳥] 관념과 제의(祭儀)" 역사비평사 (32) : 1999
6 이종철, "청동기시대 立大木 祭儀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한국고고학회 (96) : 36-65, 2015
7 송화섭, "조선후기 부안의 돌짐대와 석당간" 역사문화학회 15 (15): 265-305, 2012
8 조좌호, "위지동이전의 사료적 가치" 13 : 1979
9 표인주, "영산강 유역 마을의 신앙적 조형물의 특징 -장승, 입석, 솟대, 조탑을 중심으로-" 호남학연구원 (44) : 349-382, 2009
10 이기길, "영광 마전·군동·원당·수동유적, 서해안 고속도로 영광-무안 구간 문화유적 발굴조사" 조선대학교박물관 2003
1 김경칠, "靈光 水洞鏡으로 본 被葬者의 性格" 역사문화학회 8 (8): 7-43, 2005
2 貴州大學西南少數民族語言文化硏究所, "雷公山苗族" 貴州人民出版社 2008
3 김영희, "호남지방 鳥形土器의 성격" 호남고고학회 44 : 79-107, 2013
4 李鍾旭, "한국고대사의 새로운 체계 —100년 통설에 빼앗긴 역사를 찾아서" 소나무 1999
5 권오영, "한국 고대의 새[鳥] 관념과 제의(祭儀)" 역사비평사 (32) : 1999
6 이종철, "청동기시대 立大木 祭儀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한국고고학회 (96) : 36-65, 2015
7 송화섭, "조선후기 부안의 돌짐대와 석당간" 역사문화학회 15 (15): 265-305, 2012
8 조좌호, "위지동이전의 사료적 가치" 13 : 1979
9 표인주, "영산강 유역 마을의 신앙적 조형물의 특징 -장승, 입석, 솟대, 조탑을 중심으로-" 호남학연구원 (44) : 349-382, 2009
10 이기길, "영광 마전·군동·원당·수동유적, 서해안 고속도로 영광-무안 구간 문화유적 발굴조사" 조선대학교박물관 2003
11 폴로스막, N. V., "알타이 초원의 기마인" 주류성 2016
12 이필영, "솟대" 대원사 1990
13 이강래, "삼국지 동이전과 한국고대사" 호남사학회 (25) : 319-343, 2005
14 박원길, "북방민족의 샤마니즘과 제사습속" 국립민속박물관 1998
15 趙現鐘, "북녘의 문화유산" 국립중앙박물관 2006
16 대한문화재연구원, "보령 명천지구 택지개발사업 구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6
17 나혜림, "보령 명천동 유적을 중심으로 본 소도(蘇塗)와 의례공간, In 마한의 소도와의례공간" 백제학회·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대한문화재연구원 2017
18 최광식, "백제의 신화와 제의" 주류성 2006
19 李陽洙, "바람을 부르는 새" 국립광주박물관 2010
20 임영진, "나주지역 마한문화의 발전, In 나주 마한문화의 형성과 발전" 전남대학교박물관 1997
21 김병모, "금관의 비밀 —한국 고대사와 김씨金氏의 원류를 찾아서—" 푸른역사 1998
22 趙現鐘, "광주 신창동유적의 농경제사, In 稻作農耕社會의 祭祀와 儀禮" 국립광주박물관 2014
23 이영문, "고흥의 고인돌" 고흥군·馬韓文化硏究院 2016
24 李榮文, "고흥 한천 지석묘군" 목포대학교박물관·익산지방국토관리청 2007
25 이영철, "고대 취락의 제사, In 호남지역 선사와 고대의 제사" 호남고고학회 2014
26 이재현, "강릉 강문동 136-3번지 일원 유적, In 마한의 소도와 의례공간" 백제학회·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대한문화재연구원 2017
27 趙現鐘, "鳥形木製品과 農耕儀禮" 호남사학회 19 : 571-583, 2002
28 宋華燮, "馬韓 蘇塗의 構造와 機能" 圓光大學校 宗敎問題硏究所 17 : 1992
29 國立中央博物館, "韓國의 靑銅器文化" 汎友社 1992
30 李健茂, "韓國 靑銅儀器의 硏究 —異形銅器를 中心으로—" 韓國考古學會 28 : 1992
31 李宗哲, "韓國 祭祀遺蹟 事例 —靑銅器時代 農耕聚落을 中心으로—, In 稻作農耕社會의 祭祀와 儀禮" 국립광주박물관 2014
32 은화수, "韓國 出土 卜骨에 대한 硏究" 全北大學校 大學院 1999
33 崔完奎, "錦江流域 百濟古墳의 硏究" 崇實大學校大學院 1997
34 金貞培, "蘇塗의 政治史的 意味" 역사학회 79 : 1978
35 趙鎭先, "細形銅劍文化의 硏究" 學硏文化社 2005
36 朴辰一, "粘土帶土器, 그리고 靑銅器時代와 初期鐵器時代" (創刊) : 2007
37 趙現鐘, "祭祀考古學 —선사·고대의 祭祀—, In 호남지역 선사와 고대의 제사" 호남고고학회 2014
38 李陽洙, "神의 거울 銅鏡" 복천박물관 2009
39 崔完奎, "益山 永登洞 遺蹟" 圓光大學校 馬韓·百濟文化硏究所 2000
40 宋華燮, "百濟의 祭儀와 宗敎"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41 趙現鐘, "湖南地方 稻作農耕硏究의 現段階, In 호남고고학의 제문제" 한국고고학회 1997
42 金垠井, "湖南地域의 馬韓 土器 —住居址 出土品을 中心으로—" 全北大學校大學院 2017
43 李健茂, "松菊里類型에 대하여, In 금강, 송국리형문화의 형성과 발전" 호서·호남고고학회 2006
44 李宗哲, "松菊里型文化의 聚落體制와 發展" 全北大學校大學院 2015
45 孫晋泰, "朝鮮民族文化의 硏究" 乙酉文化社 1948
46 李鍾旭, "新羅國家形成史硏究" 一潮閣 1982
47 國立晉州博物館, "固城 東外洞 遺蹟" 國立晉州博物館 2003
48 강경구, "古代의 三朝鮮과 樂浪" 기린원 1991
49 朴順浩, "全北의 솟대考" 한국민속학회 18 : 1985
50 湖南文化財硏究院, "光州 東林洞遺蹟 IV" 2007
51 趙現鐘, "光州 新昌洞遺蹟 —第1次調査槪報—" 韓國考古美術硏究所 4 : 1992
52 韓炳三, "先史時代 農耕文靑銅器에 대하여" 112 : 1971
53 崔盛洛, "亞細亞古文化, 石溪黃龍渾敎授定年紀念論叢" 紀念論叢 刊行委員會 1995
54 국사편찬위원회, "中國正史 朝鮮傳" 신서원 2004
55 李賢惠, "三韓社會形成過程硏究" 一潮閣 1984
56 金元龍, "三國時代의 開始에 關한 一考察" 7 : 1967
57 박노석, "『삼국지』위서 동이전의 정보 출처에 대한 고찰" 전북사학회 (38) : 5-22, 2011
58 宋華燮, "《三國志》 魏志東夷傳의 蘇塗와 浮屠" 한국역사민속학회 4 : 1994
초기 고조선 네트워크의 형성과 비파형동검문화 —기술, 무기, 제사를 중심으로
가마구조로 본 19세기 후반~20세기 옹기가마의 전통과 변화
임당 고총 동물부장 연구 : 조류 부장 양상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9 | 1.49 | 1.2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2 | 1.4 | 2.51 | 0.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