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사상사에서 중화주의의 형성과 맥락 = The Origins and Context of the Sino-centric Tradition in the Korean Political Though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83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이 글은 선악의 문제를 떠나서 한국사상사의 중요한 인자를 이루고 있는 중화사상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었고 이어져내려 왔는가를 살펴보고자 쓴 것이다. [2] 역사적으로 보면 ...

      [1] 이 글은 선악의 문제를 떠나서 한국사상사의 중요한 인자를 이루고 있는 중화사상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었고 이어져내려 왔는가를 살펴보고자 쓴 것이다.
      [2] 역사적으로 보면 중화사상은 중국의 유구한 역사와 정치(精緻)한 문명, 그리고 주변 국가를 압도하는 국력에 대한 한국인의 경도에서 비롯되었다. 신라시대의 중화인식은 국제관계의 측면이 강하고, 고려시대의 그것은 화하문명에 대한 숭모의 뜻이 있고, 조선 개국에 담긴 중화는 이성계의 주변부 인식과 관련이 있으며, 조선중기의 그것에는 임진왜란 이후의 재조지은(再造之恩)의 의미가 강하다.
      [3] 한국사상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는 중화사상은 부끄럽지만 덮어둘 수만은 없는 백내장(白內障)이었으며 계층이나 시대를 초월하는 한국의 적층(積層)문화였다. 한국사상사에서의 중화주의나 사대의 문제는 김부식(金富軾)이나 화서(華西)학파에 한정된 일이 아니었다. 중화는 사대의 중핵(core)이었고 사대는 중화의 과육(果肉)이었다. 한국사에서 개명 문화의 시기 이전에 중화주의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정치인이나 지식인은 많지 않았다.
      [4] 중화사상이 한국사상사를 관통하고 있는 한 줄기였음에는 틀림이 없지만 마치 그것이 한국 사상이 주류였다든가 기본 가치였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역사에는 도전과 응전이 있었듯이 중화주의가 있었고 그에 도전하는 반중화나 탈중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한국사에서의 중화의 뿌리를 찾는 노력에 못지않게 탈중화의 맥락에 대한 천착이 이어지지 않는다면 이 글은 균형 잡힌 작업이 아니다. 그러므로 탈중화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This article was written to depict the origins and context of the Sino-centric tradition in the Korean political thoughts, regardless it was stain or not. [2] Historically speaking, Sino-centrism in Korea have originated from the respect for an...

      [1] This article was written to depict the origins and context of the Sino-centric tradition in the Korean political thoughts, regardless it was stain or not.
      [2] Historically speaking, Sino-centrism in Korea have originated from the respect for and devotion to the long history, graceful civilization, and dominant power over neighboring states. In Silla age, inclination to China(Tang) was forced by international dynamics, in Goryu age, her intelligentsias were envious to Chinese literary culture, and at the foundation of Chosun Dynasty was based on the inferiority complex of Lee Sung-gye(Taejo) as a marginal man and borderland garrison. In the middle age of Chosun Dynasty Confucian scholars were thankful and felt heavy burden to China(Myung) for their military assistance to rebuild the state during the war with Japan(1592-1598).
      [2] Sino-centrism in Korea, even though shameful, was an important requisite in traditional society. It was, as to say, a kind of cataract, which can not be hidden, and an accumulated heritage regardless of class and age. It was not only misconception of Kim Boo-shik or Hwa-suh(Lee Hang-ro) School. The Sino-centrism was core of vassal state and vassal state was fruit of Sino-centrism. In the Korean history before the 19th Enlightenment age, there were few politicians and scholars free from Sino-centric bondage.
      [3] But even if it is true that the Sino-centrism was a stem that constituted the Korean political thought, it does not mean that it was main stream or basic value of Korean thought. As there were challenge and response, there were persistent resistance against Sino-centrism. Therefore there were no following deep and considerate research on anti/ or De-sino-centrism, this article is not relevant one. So I frankly confess that this article is neither perfect nor complete one but a half of it, until I finish my counter part artic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왜 중화주의를 논의해야 하는가?
      • Ⅱ. 원죄(原罪): 나당연합과 삼국전쟁
      • Ⅲ. 당송(唐宋) 문화의 황홀감: 고려시대의 중화 인식
      • Ⅳ. 이성계(李成桂)의 업장(業障) : 변방 무사의 유기(遺棄) 불안
      • 국문요약
      • Ⅰ. 서론: 왜 중화주의를 논의해야 하는가?
      • Ⅱ. 원죄(原罪): 나당연합과 삼국전쟁
      • Ⅲ. 당송(唐宋) 문화의 황홀감: 고려시대의 중화 인식
      • Ⅳ. 이성계(李成桂)의 업장(業障) : 변방 무사의 유기(遺棄) 불안
      • Ⅴ. 조선 주자학의 그늘: 재조지은(再造之恩)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복룡, "한국정치사상사" 지식산업사 2011

      2 朴忠錫, "한국정치사상사" 삼영사 1982

      3 김규성, "한국인물사 (4)" 양우당 1983

      4 이병도, "한국사: 고대편" 을유문화사 1980

      5 신복룡, "하멜표류기" 집문당 2005

      6 류근호, "조선조 대외사상의 흐름"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7 권선홍, "조선왕조의 대중국관계: 사대 문제의 재조명" 2004

      8 이경찬, "조선 효종조의 북벌운동" 한국정신문 화연구원 5 : 1988

      9 정호훈, "윤휴의 정치이념과 부국강병책" 민족문화 추진회 26 : 2003

      10 우인수, "우암의 생애와 산림활동" 한남대학교 충청학연구소 2 : 2001

      1 신복룡, "한국정치사상사" 지식산업사 2011

      2 朴忠錫, "한국정치사상사" 삼영사 1982

      3 김규성, "한국인물사 (4)" 양우당 1983

      4 이병도, "한국사: 고대편" 을유문화사 1980

      5 신복룡, "하멜표류기" 집문당 2005

      6 류근호, "조선조 대외사상의 흐름"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7 권선홍, "조선왕조의 대중국관계: 사대 문제의 재조명" 2004

      8 이경찬, "조선 효종조의 북벌운동" 한국정신문 화연구원 5 : 1988

      9 정호훈, "윤휴의 정치이념과 부국강병책" 민족문화 추진회 26 : 2003

      10 우인수, "우암의 생애와 산림활동" 한남대학교 충청학연구소 2 : 2001

      11 이재석, "서희와 고려의 고구려 계승의식" 학연문화사 1999

      12 "龍飛 御天歌"

      13 "高麗圖經"

      14 "高麗史"

      15 레드야드, G., "韓國史의 事大主義"

      16 "退溪集"

      17 "貞觀政要"

      18 "莊子"

      19 "荀子"

      20 "芝峰類說"

      21 "肅宗實錄"

      22 "白湖全書"

      23 "燃黎室記述"

      24 "漢書"

      25 "東文選"

      26 "東國李相國全集"

      27 "春秋"

      28 "星湖僿說"

      29 "新唐書"

      30 이선아, "尹鑴의 정치사상 연구" 전북대학교 2001

      31 "宋書拾遺"

      32 "宋子大全"

      33 양기선, "孤雲 최치원 연구" 한불문화출판 1995

      34 "孟子"

      35 "太祖實錄"

      36 "史 記"

      37 "佔畢齋集"

      38 "仁祖實錄"

      39 "三峰集"

      40 "三國遺事"

      41 "三國志"

      42 "三國史記"

      43 Clyde, Paul H., "The Far East: A History of the Impact of West on East Asia" Prentice‑Hall 1950

      44 Lowie, Robert H., "Primitive Society" Boni and Liveright 1921

      45 Bacon, F., "Novum Organum" Encyclopaedia Britannica, Inc 1980

      46 Weems, "Hulbert’s History of Korea, Vol. I" Hillary House 1962

      47 Morgan, Lewis H., "Ancient Society" Charles H. Kerr & Co 1877

      48 Toynbee, A. J., "A Study of History, Vol. 1" Oxford University Press 1973

      49 지두환, "63인의 역사학자가쓴 한국사 인물 열전(2)" 돌베개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KCI등재후보
      2014-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정치사상사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9-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1 1.83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