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the perception of “good Korean language classes” by Korean language teachers abroad and drawing up the concept of “good class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 total of 53 teachers working at Hangul and Sejong...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93407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69-216(4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the perception of “good Korean language classes” by Korean language teachers abroad and drawing up the concept of “good class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 total of 53 teachers working at Hangul and Sejong...
The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the perception of “good Korean language classes” by Korean language teachers abroad and drawing up the concept of “good class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 total of 53 teachers working at Hangul and Sejong Institutes were asked to describe the concepts of good classes through open surveys, and these answers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the language network method using the Textom program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Korean language teachers overse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lear expectations of achievement’ based on the good teaching standards of Meyer (2004),’ in the order of ‘diversity of methods,’ and the preference for this category was not different among institutions. Language network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outside the country value “learners, Korean language, learning, providing, teachers, use, content, goals, understanding, education” communication, Korea, real life, culture, increase, professors, satisfaction, needs, abilities and fun when defining “good classes.” Then, after drawing up the definition of “good Korean language classes” as a content analysis method, Korean language teachers abroad saw “classes with clear expectations of achievement, diversity of methods, a stimulating atmosphere and content clarity” as good classes. Through the language network method, ‘classes that can communicate in Korean, classes that have clear goals, classes that are expected to have the most effect, classes that help to cultivate Korean language skills, classes that provide satisfaction, classes that teach students to use in real life, classes that are taught to use in real life, classes that reflect the needs of learners, classes that are taught to interact with learners, classes that have an interactive role.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국외 한국어 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을 살펴 한국어 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개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글학교와 세종학당에서 근무하는 총 53...
이 연구는 국외 한국어 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을 살펴 한국어 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개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글학교와 세종학당에서 근무하는 총 5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좋은 수업에 대한 개념을 서술하도록 요구하였고, 연구 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이들 답변을 내용 분석 방법과 텍스톰 프로그램을 활용한 언어 네트워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 결과 국외 한국어 교사들은 Meyer(2004)의 좋은 수업 기준을 바탕으로 ‘분명한 성취 기대>방법의 다양성>학습 촉진적인 분위기’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이러한 범주에 대한 선호는 기관별 차이가 없었다. 언어 네트워크 방법을 통해서는 ‘학습자에게 향하는 교사의 역할을 중시하는 수업, 학습자의 요구가 반영되는 수업, 목표 내용이 분명한 수업,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학습하는 수업, 학습 목표에 도달하는 수업, 학습 효과가 기대되는 수업, 최대 효과를 낳는 수업, 학습 내용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수업, 한국어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업, 학습자가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돕는 수업,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있는 수업, 학습자에게 (학습 내용을) 쉽게 이해시키는 수업, 재미있게 전달하는 수업, 만족감을 제공하는 수업, 학습자 수가 증가하는 수업’을 좋은 수업으로 정의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은경,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한 연구주제 기반 네트워크분석" 경북대학교 2019
2 강승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을 기초로 한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 한국국어교육학회 (110) : 121-146, 2017
3 김주훈, "한국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2,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4 조영달, "한국 교실수업의 이해" 집문당 1999
5 김은실, "학위논문 주제어의 동시출현단어 연결망 분석 :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분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6
6 조난심,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7 김주훈,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열린교육학회 11 (11): 43-61, 2003
8 최승현,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I)수학과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9 김은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 동향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2019
10 안수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한국어교재 연구동향 탐색" 국제한국어교육학회 949-951, 2018
1 신은경,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한 연구주제 기반 네트워크분석" 경북대학교 2019
2 강승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을 기초로 한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 한국국어교육학회 (110) : 121-146, 2017
3 김주훈, "한국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2,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4 조영달, "한국 교실수업의 이해" 집문당 1999
5 김은실, "학위논문 주제어의 동시출현단어 연결망 분석 :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분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6
6 조난심,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7 김주훈,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열린교육학회 11 (11): 43-61, 2003
8 최승현,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I)수학과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9 김은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 동향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2019
10 안수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한국어교재 연구동향 탐색" 국제한국어교육학회 949-951, 2018
11 송상헌,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의 좋은 수업 구현을 위한 몇 가지 권고"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2 : 29-49, 2000
12 신재한,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 유형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16): 81-106, 2013
13 송미사, "초등 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초등 영어 수업의 특징"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19, 2013
14 Meyer, Hilbert,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삼우반 2011
15 조규진, "좋은 수업의 조건 탐색 :5G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325-350, 2011
16 한국학교컨설팅연구회, "좋은 수업의 조건 5G" 학지사 2016
17 박혜경, "좋은 수업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4 (14): 95-115, 2010
18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65-187, 2004
19 최섭, "좋은 수업 만들기" 이비락 2018
20 이화진, "제7차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수준별 수업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21 이화숙, "재외동포 대상 한글학교의 현황과 과제"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72) : 116-139, 2018
22 이미경,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137-161, 2014
23 Brown, H. Douglas, "원리에 의한 교수" Pearson Education Korea 2010
24 강병훈,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분석-키워드 네트워크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19
25 김혜진,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부모의 유아교사 역할 및 자질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313-334, 2016
26 김훈희,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국내 ‘예비교사 교육’ 연구동향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1161-1176, 2018
27 김신영,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평생교육 연구 동향 분석" 건국대학교 2019
28 이수상,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49-68, 2014
29 노예영, "스포츠 콘텐스의 사회적 시청 효과 연구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관련 트위터 메시지의 텍스트 및 네트워크 분석" 서울대학교 2019
30 주삼환, "수업 관찰과 분석" 원미사 1998
31 강창숙,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특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9 (19): 19-34, 2011
32 김학준, "빅데이터분석기법 인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관광분야 연구트렌드 분석: 관광연구저널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33 (33): 97-111, 2019
33 안명숙,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문화 핵심단어 및 네트워크 분석" 융복합지식학회 6 (6): 67-76, 2018
34 오미자,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 구성 요인’ 에 대한 교수-학생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27 (27): 1-22, 2019
35 윤소정, "다면적 접근을 통한 대학의 좋은 수업 특성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4 (24): 963-976, 2012
36 장경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동향 연구" 이중언어학회 (67) : 259-283, 2017
37 "국립중앙과학관"
38 서울대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 1995
39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용어사전" 학지사 2004
40 김성호, "교육심리학 용어사전" 학지사 2000
41 이미영,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유형화 연구 -독일어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독일어교육학회 (37) : 261-286, 2015
42 Brophy, J. Teaching, "educational practices series"
43 박명수, "Questionnaires in Second Language Research" 한국문화사 2007
44 백경미, "Hilbert Meyer의 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의 인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7
45 Porter, Andrew C., "Good Teaching: Insights from the Work of the Institute for Research on Teaching" Michigan State Univ. Inst. for Research on Teaching 1987
46 조성우, "Big Data 시대의 기술" KT경제경영연구소 1-8, 2011
47 Zemelman, "Best practice: New standard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America’s schools" Heinemann 1998
한국 한의학의 치유개념에 관한 고찰 - 『東醫寶鑑』과 『東醫壽世保元』을 중심으로 -
중국 방언 화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를 위한 제언 - 음절 말 자음 습득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
Middlemarch: Envisioning Modern Femininity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11-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UMANITIES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9 | 0.49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5 | 0.871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