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effects that the type of Chinese characters of 『Kangxizidian(康熙字典)』 manufactured under order of Emperor Kangxi(康熙) had on the type of Chinese characters on Korea from the latter part of Joseon(朝鮮) Dy...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effects that the type of Chinese characters of 『Kangxizidian(康熙字典)』 manufactured under order of Emperor Kangxi(康熙) had on the type of Chinese characters on Korea from the latter part of Joseon(朝鮮) Dy...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effects that the type of Chinese characters of 『Kangxizidian(康熙字典)』 manufactured under order of Emperor Kangxi(康熙) had on the type of Chinese characters on Korea from the latter part of Joseon(朝鮮) Dynasty to the present time, and to look for the meanings it has in the studies on history of Chinese characters science and character type science in Korea.
『Kangxizidian』 was introduced to Joseon on the 5th year of King Yeongjo(英祖)' reign(1729), the type of Chinese characters of had great influence on that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at that time.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types of Chinese characters written in 『Hongmoojeongwoon(洪武正韻)』, 『Yeboowoonlaek(禮部韻略)』, 『Saengsaengjabo(生生字譜)』, 『Kyujangjeonwoon(奎章全韻)』, 『Jeonwoonokpien(全韻玉篇)』, etc. which were published after King Yeongjo mostly included the character types of 『Kangxizidian』.
Also, as seen from the fact that Ministry of Education specified that the character types of 『Kangxizidian』 shall be based for the standard of writing for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writing education' which were revised and proposed in 2000, the influence are said to be great until now.
However, the concrete consideration of the effects that 『Kangxizidian』 has had on the type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and studies on its significance has been partially made, and it can be said that the studies thereof has not been made in earnest. This study was intended to make concrete studies on the effects of 『Kangxizidian』 on the types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and the insignificance, supplementing materials not dealt with in existing studies.
The subjects of study by period which were dealt with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is paper, we reinforce data not covered in previous studies. And studies of 『Kangxizidia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characters and the influences of the past. Lastly, I showed the significance of the shape of the 『Kangxizidian』 to the modern Korean character shape of Korea.
참고문헌 (Reference)
1 字典彙編編委會, "龍龕手鑑 字典彙編" 國際文化出版公司 1993
2 김무림, "홍무정운역훈" 신구문화사 2006
3 국립국어연구원, "한자의 자형 조사 2"
4 국립국어연구원, "한자의 자형 조사 1"
5 교육인적자원부,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조정 백서" 2000
6 교육인적자원부,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이렇게 조정하였습니다"
7 김상홍,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 800자 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14 : 2000
8 박형익, "한국의 자전" 한국어학회 (23) : 1-22, 2004
9 강신항, "한국의 예부운략" 국어국문학회 49·50 : 1970
10 심경호, "한국의 韻書와 운서 활용 방식" 고려대 한자한문연구소 5 : 2009
1 字典彙編編委會, "龍龕手鑑 字典彙編" 國際文化出版公司 1993
2 김무림, "홍무정운역훈" 신구문화사 2006
3 국립국어연구원, "한자의 자형 조사 2"
4 국립국어연구원, "한자의 자형 조사 1"
5 교육인적자원부,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조정 백서" 2000
6 교육인적자원부,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이렇게 조정하였습니다"
7 김상홍,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 800자 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14 : 2000
8 박형익, "한국의 자전" 한국어학회 (23) : 1-22, 2004
9 강신항, "한국의 예부운략" 국어국문학회 49·50 : 1970
10 심경호, "한국의 韻書와 운서 활용 방식" 고려대 한자한문연구소 5 : 2009
11 김영화, "한국속자보" 아세아문화사 1986
12 "한국고전종합DB"
13 전일주, "최근세 한국 한자자전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2
14 이승자, "조선조 운서한자음의 전승 양상과 정리 규범" 도서출판 역락 2003
15 "조선왕조실록"
16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17 "일사⋅가람문고 고서저자목록"
18 손보기, "새판 한국의 고활자" 보진재 1983
19 정경일, "규장전운⋅전운옥편" 신구문화사 2008
20 "국립중앙도서관"
21 교육인적자원부, "교과서 편수 자료Ⅱ-1 인문・사회 과학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2
22 교육인적자원부, "교과서 편수 자료Ⅱ-1 인문・사회 과학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7
23 崔世珍, "韻會玉篇"
24 김상홍, "韓國의 漢文敎育用 基礎漢字 變遷 攷" 한국한문교육학회 21 : 2003
25 丁度, "附釋文互注禮部韻略"
26 김두종, "近世朝鮮後期活字印本에 關한 綜合的考察"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4 : 1967
27 崔世珍, "訓蒙字會" 홍문각 1985
28 商務印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菽園雜記" 商務印書館 2005
29 商務印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舊唐書" 商務印書館 2005
30 續修四庫全書編纂委員會, "續修四庫全書, 上" 上 海古籍出版社 1995
31 商務印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禮部志稿" 商務印書館 2005
32 鑄字所, "生生字譜"
33 續修四庫全書編纂委員會, "玉篇" 海古籍出版社 1995
34 장호성, "漢文敎育用 基礎漢字의 문제" 동방한문학회 (29) : 367-410, 2005
35 김영옥, "漢文 敎育用 基礎 漢字 字形 標準化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36 厲兵, "漢字字形硏究" 商務印書館 2007
37 박현규, "洪武正韻의 諸本에 대한 調査硏究" 근역한문학회 8 : 1990
38 박병채, "洪武正韻譯訓의 新硏究"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83
39 박병채, "洪武正韻譯訓"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4
40 申叔舟, "洪武正韻譯訓"
41 商務印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洪武正韻箋" 商務印書館 2005
42 張志雲, "洪武正韻在明代的傳播及其效用" 2006
43 商務印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洪武正韻" 商務印書館 2005
44 樂韶鳳, "洪武正韻"
45 續修四庫全書編纂委員會, "正字通" 海古籍出版社 1995
46 "正字俗字對照表"
47 성원경, "東國正韻과 洪武正韻譯訓音의 比較硏究" 건국대학교학술원 1971
48 崔恒, "東國正韻"
49 申叔舟, "東國正韻" 建國大學校出版部 1972
50 "朝鮮王朝實錄"
51 천혜봉, "朝鮮朝의 乙亥小字體木活字本"御試策"-元나라 銅活字本에 대한 修正論" 서지학회 15 : 1998
52 윤병태, "朝鮮朝活字考 : 대형활자"
53 윤병태, "朝鮮時代活字使用考" 서울대학교 도서관 2 : 1978
54 하영삼, "朝鮮後期民間俗字硏究" 영남중국어문학회 27 : 1996
55 "新編直音禮部玉篇"
56 朝鮮光文會, "新字典" 新文館 1920
57 柳希春, "新增類合"
58 丁度, "排字禮部韻略"
59 正祖命, "御定奎章全韻"
60 商務印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廣韻" 商務印書館 2005
61 전일주, "康熙字典과 韓國 初期 字典 比較 硏究" 한국한문교육학회 26 (26): 357-386, 2006
62 兒島慶治, "康熙字典の規範性-表外漢字字体への使用と日本語教育への影響-" 台灣日本語言文藝硏究學會 (8) : 2007
63 王引之校改, "康熙字典" 上海古籍出版社 1996
64 張玉書, "康熙字典" 商務印書館 1968
65 劉中富, "干祿字書字類硏究" 齊魯書社 2004
66 商務印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干祿字書" 商務印書館 2005
67 劉復, "宋元以來俗字譜" 國立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 1930
68 성원경, "字類註釋연구" 건국대 인문과학연구소 28 : 1996
69 성원경, "字類註釋" 건국대출판부 1974
70 鄭允容, "字類注釋" 建大出版部 1974
71 續修四庫全書編纂委員會, "字彙" 海古籍出版社 1995
72 池錫永, "字典釋要" 永昌書館 1929
73 "奇字彙"
74 顧野王, "大廣益會玉篇" 中華書局 1987
75 김두종, "壬辰亂後의 活字印本-實錄字와 訓鍊都監字" 진단학회 29·30 : 1966
76 商務印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增修互注禮部韻略" 商務印書館 2005
77 강신항, "四聲通解硏究" 신아사 1973
78 商務印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四庫全書" 商務印書館 2005
79 李蘇和, "唐玄度九經字樣硏究" 臺灣國立政治大學 2008
80 陸錫興, "唐代的文字規範和楷體正字的形成" (6) : 1992
81 商務印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史記" 商務印書館 2005
82 熊忠, "古今韻會擧要"
83 "全韻玉篇"
84 商務印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五經文字" 商務印書館 2005
85 商務印書館四庫全書出版工作委員會, "九經字樣" 商務印書館 2005
86 方有國, "中華字典硏究 2輯, 康熙字典曁詞典學國際學術硏討會論文集"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9
87 劉葉秋, "中國字典史略" 中華書局 2003
88 王立軍, "《房山石經》與《龍龕手鑒》字形比較研究" 한국한자연구소 (1) : 231-250, 2009
89 김영옥,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字形 확정 기준 및 字形 수정 양상" 한국한문고전학회 24 (24): 405-429, 2012
90 김영옥,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字形 연구 - 『康熙字典』 자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한문교육학회 (37) : 541-588, 2011
91 강원도교육연구원, "2012-2013년 강원도교육청 인정대상도서 교과별 인정기준-붙임2"
92 전라북도교육청, "2009년 개정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에 따른 인정도서 심사 기준"
93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개정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중학교 검정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志山 金福漢의 파리장서운동과 그 사상적 배경 — 華西學派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조선 후기 宗簿寺 郎廳의 실태 및 운영체계 — 장서각 소장 『宗簿寺郎廳先生案』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2 | 1.058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