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백효, "論語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 금장태, "화서학파의 철학과 시대인식" 태학사 2001
3 오영섭, "화서학파의 사상과 민족운동" 국학자료원 1999
4 이향배, "화서 이항로의 시에 나타난 道義思想" 화서학회 Ⅱ : 2006
5 황하준, "화서 이항로 한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6 崔益鉉, "한국문집총간 325~326집"
7 柳重敎, "한국문집총간 323~324집"
8 金平默, "한국문집총간 319~320집"
9 李恒老, "한국문집총간 304~305집"
10 李滉, "한국문집총간 29~31집"
1 성백효, "論語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 금장태, "화서학파의 철학과 시대인식" 태학사 2001
3 오영섭, "화서학파의 사상과 민족운동" 국학자료원 1999
4 이향배, "화서 이항로의 시에 나타난 道義思想" 화서학회 Ⅱ : 2006
5 황하준, "화서 이항로 한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6 崔益鉉, "한국문집총간 325~326집"
7 柳重敎, "한국문집총간 323~324집"
8 金平默, "한국문집총간 319~320집"
9 李恒老, "한국문집총간 304~305집"
10 李滉, "한국문집총간 29~31집"
11 趙寅永, "한국문집총간 299집"
12 金昌協, "한국문집총간 161~162집"
13 宋時烈, "한국문집총간 108~116집"
14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15 朱熹, "주자대전 1~13" 한국학술정보 2010
16 박성순, "조선후기 화서 이항로의 위정척사사상" 경인문화사 2003
17 정우진, "양평 벽계리에 설정된 곡중경(曲中景)의 지향성과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의 벽원(蘗園) 경영" 한국전통조경학회 34 (34): 78-97, 2016
18 권오영, "김평묵의 斥邪論과 聯名儒疏" 일지사 55 : 1989
19 성백효, "詩經集傳上⋅下" 전통문화연구회
20 홍우흠, "華西 李恒老의 山水詩 試探"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171-199, 2004
21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經書" 아세아문화사 1990
22 朱熹, "朱子語類大全"
23 徐師曾, "文體明辨序說" 人民文學出版社 1998
24 이화형, "崔滋의 新意와 用事에 대한 再考"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367-390, 2004
25 성백효, "小學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6 성백효, "孟子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7 성백효, "大學⋅中庸集註" 전통문화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