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 히고, 그릿(GRIT)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98310
포천 :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 임상 및 상담심리 , 2025. 2
2024
한국어
경기도
82 ; 26 cm
지도교수: 홍승현
I804:41065-20000084459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 히고, 그릿(GRIT)과 ...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 히고, 그릿(GRIT)과 긍정심리자본이 대인관계 능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 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는 만 18세에서 28세의 성인 남녀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능력, 삶의 만족도, 그릿, 긍정심리자본에 대 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 능력, 삶의 만족도, 그릿, 긍정심리 자본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서 그릿과 긍정심리자본이 매개변인으로의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대인관계 능력은 그릿과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그 릿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대인관계 능력은 긍정심리자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긍정심리자본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서 그릿과 긍정심리자본이 순차 매개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대인관계 능력 이 그릿과 긍정심리자본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쳐 삶의 만족도에 이어지 는 순차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대인관계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들은 청소년이나 대학 생의 학업 연관성과 연계되어 연구되어 온 경향이 있다. 하지만 삶의 만족 도는 다양한 요인들로 충족될 수 있으며 초기 성인기의 대인관계 능력이 그릿과 긍정심리자본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연구가 시도될 필요가 있다. 삶의 만족도가 낮은 초기 성인기 내담자들의 상담 과정에서 이들의 그릿과 긍정심리자본을 개입 지점으로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대인관계 문제는 일반적으로 흔하게 겪을 수 있는 상담 문제로 알 려져 있다. 하지만 대인관계 능력은 사람의 성격적인 특성으로 교육이나 학습을 통해 쉽게 발전시키기가 어려워 관련된 변인들을 찾는 것이 중요하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 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 정에서 그릿과 긍정심리자본이라는 매개 변인을 확인함으로써, 상담 현장 에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키워드 :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능력, 삶의 만족도, 그릿, 긍정심리자본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