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매화시(梅花詩)의 전개와 특징 = Developments and Characteristics of Plum Blossom Poetry in Joseo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074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매화는 추운 겨울을 견디며 꽃망울을 터트리는 생태적 특성이 성리학적 사유와 결합하여 ‘생생지리(生生之理)’를 가장 잘 구현한 식물로 인식되었다. 조선시대에 매화는 사대부로부터 이...

      매화는 추운 겨울을 견디며 꽃망울을 터트리는 생태적 특성이 성리학적 사유와 결합하여 ‘생생지리(生生之理)’를 가장 잘 구현한 식물로 인식되었다. 조선시대에 매화는 사대부로부터 이처럼 각별한 의미를 부여받으며 지속적으로 시창작의 소재가 되어 왔다. 이 글은 조선시대의 매화시 창작을 전기ㆍ중기ㆍ후기의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본 것이다. 조선 전기 매화시를 많이 남긴 작가로는 서거정(徐居正)ㆍ김시습(金時習)ㆍ김안로(金安老)가 주목된다. 이 중 김시습의 매화시에는 세속과 타협하기를 거부하며 고독하게 자아를 지키고자 한 方外人의 모습이 투영되어 있으며, 김안로의 매화시는 유희적 성격을 지닌것이 특징적이다. 조선 중기에는 이황(李滉) 및 그 제자들의 매화시와 김수증(金壽增)ㆍ金昌協ㆍ김창흡(金昌翕) 안동(安東) 일문(一門)의 매화시 창작이 주목된다. 심학(心學)을 깊이 있게 탐구하며 인간 내면의 수양을 강조한 이황은 많은 매화시를 남기고, 제자들과도 즐겨 매화시를 화답했다. 이황은 매화와 묻고 답하는 형식의 매화문답시(梅花問答詩)를 창안했는데, 내면의 청진(淸眞)을 되새기며 출처의 의리를 자문자답 하는 내용의 매화문답시는 후대 문인들에게 널리 계승되었다. 김수증ㆍ김창협ㆍ김창흡은 살벌한 정쟁에 심각한 회의를 느끼고 진은(眞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많은 매화시를 창작하였다. 이들의 매화시에는 소옹(邵雍)의 상수학(象數學)적 영향이 두드러져 보인다. 조선후기 18세기 중후반에는 시사(詩社) 집단의 매화시 창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빙등조빈연(?燈照賓筵)’이라 이름 붙인 노론 계열 문사들의 매화시, 경화세족과 서얼 시인이 함께 한 매사(梅社) 동인의 매화시, 그리고 이덕무(李德懋) 일파의 납매시(蠟梅詩) 창작 등은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경향이었다. 19세기에는 신위(申緯), 정학연(丁學淵), 조병현(趙秉鉉), 이학규(李學逵) 등이 각기 수십 수에 달하는 많은 매화시를 남겼다. 이중 신위와 정학연은 축윤명(祝允明)의 「매화백영(梅花百詠)」을 수용하여 수십 수에 달하는 매화연작시를 짓고 있음이 특징적인 현상이다. 조선시대의 매화시를 관통하는 가장 강력한 의미는 『주역』과 관련한 역리(易理) 상징으로 여겨진다. 조선의 사대부가 지속적으로 매화시를 창작한 저변에는 동지를 맞이해 일양(一陽)이 처음 싹트는 부괘(復卦)를 떠올리며 거기에서 생생지리(生生之理)를 사유하며 천도의 어김없는 순환을 체인하는 성리학적 사유가 그 저변에 깔려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lum blossom is regarded as the tree embodying most fully the principle of continuously giving life in the Neo-Confucian tradition, because it begins to flower in the cold winter. For this symbolic signification, the plum blossom became one of the...

      The plum blossom is regarded as the tree embodying most fully the principle of continuously giving life in the Neo-Confucian tradition, because it begins to flower in the cold winter. For this symbolic signification, the plum blossom became one of the most beloved subjects of Neo-Confucian literati`s poetry in Joseon Korea. In this paper, I divide the history of plum blossom poetry in Joseon Korea into three time periods and discuss some representative poets and their salient features in each period. In the early period, Seo Geo-jeong, Kim Si-seup and Kim An-ro produced notable poems on the subject of plum blossom. The image of an outsider rejecting the hoi polloi and leading a cloistered life was expressed in Kim`s Si-seup`s and playfulness was fully exploited in Kim An-ro`s. In the middle period, Yi Hwang, his disciples, and an Andong Kim family (Su-jeung, Chang-hyeop, and Chang-heup) are noteworthy. Yi Hwang, who studied deeply the learning of mind-and-heart and emphasized the self-cultivation of inner life, not just composed many poems on the plum blossom but also enjoyed poem giving-and-taking with his disciples. In fact, Yi invented a new style of ``plum-blossom conversation poetry`` by composing a poem repeating a pattern of poet`s questioning and replying to his imagined interlocutor plum blossom: about the meaning of pureness and truthfulness and the principles of advancing toward/retreating away from government service. This style attracted many readers and influenced several later poets, to a great extent. Kim Su-jeung, Chang-hyeop, and Chang-heup felt doubts seriously about the political life and factional strives of Joseon court and searched for ways of becoming the true hermit. In so doing, they composed many poems on the plum, where we can see some influences of Shao Yong`s numerological cosmology. In the late period, we can see developments of poetry societies and their collective works of plum blossom poetry especially in the late 18th century: for example, Noron (the Elder faction) literati`s poem entitled "Bingdeung jobin yeon" (A winter night feast for poets), a Seoulite plum society`s poems, and Yi Deok-mu`s and his friends` poems on the plum blossoming in the spring month of the lunar calendar. All these exhibited a new trend that emerged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Korea. In the 19th century, Sin Wi, Jeong Hak-yeon, Jo Byeong-hyeon, and Yi Hak-gyu created respectively scores of poems on the plum blossom. In particular, adopting the style of Ju Yunming`s "Meihua baiyong" (One hundred songs of the plum blossom), Sin and Jeong wrote several serial poems on the plum blossom. The most strong and consistent meaning of plum blossom poetry in Joseon Korea can be seen as coming from the symbolic signification of the hexagram Fu (returing) in I Ching. The underlying reason why such many Korean Neo- Confucian literati did persistently write poems on the subject of plum blossom might be that the blossoming of plum in the winter solstice offered them some moments to reflect on nature`s principle of continuously giving life and thereby encouraged them to realize Heaven`s way in accordance with their Neo- Confucianis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