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케이팝(K-pop)에 나타난 모달 인터체인지(modal interchange) 활용 사례 연구 : 2015년~2019년 차트 상위권 곡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3620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70 판사항(6)

      • DDC

        78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77장 : 삽화, 도표, 악보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한경훈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케이팝(K-Pop)은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음악 이상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콘텐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대의 변화와 흐름에 따라 케이팝은 발전을 거듭해왔다. 하지만 세계적인 관심과 케이팝의 발전 속도에 비해 케이팝은 여전히 문화적인 측면과 사회적인 요소로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최근 케이팝 음악의 흐름을 조명해보고 케이팝의 음악적 흐름에 대응하는 변화와 그 음악에 활용된 모달 인터체인지(Modal Interchange)기법에 대해 다룬다. 실제 케이팝 연주에 모달 인터체인지 기법은 다양한 기법으로 빈번히 사용되고 있었으며 화성적으로 음악에 각각의 색채감을 부여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200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케이팝음악의 흐름을 정리하고 음악이 발전하게 된 요인들을 다각도에서 다루고 있으며 모달 인터체인지의 상위개념인 조성음악과 선법 음악을 연구하고 선법음악의 한 기법인 모달 인터체인지를 정의한다.
      2015년부터 2019년 11월 최근까지 모달 인터체인지가 케이팝 음악 안에서 활용되는 사례를 연간 가온 차트 1위부터 15위까지 총 75곡을 선정하여 케이팝에 나타난 모달 인터체인지를 연도별, 순위별로 분류하여, 서브도미넌트 마이너, 토닉 마이너, 모달 인터체인지 화성진행이 활용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모달 인터체인지의 활용 방법 중 서브 도미넌트를 활용한 방법, 토닉 마이너를 활용한 방법의 다양한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선정된 곡 중에서 33곡 이상의 모달 인터체인지 기법이 케이팝 안에서 활용되었다. 2010년대 이후의 케이팝에서 다양한 화성적 기법의 사용이 있었으며 그 중에서 모달 인터체인지를 활용한 기법은 최근으로 올수록 사용 빈도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케이팝에서 모달 인터체인지를 활용한 곡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케이팝이 화성적인 견지에서 보았을 때 음악적으로 발전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실례이다. 본 논문은 케이팝의 음악적 가치에 대한 고찰 뿐 아니라 변화하는 케이팝의 음악적 흐름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재의 케이팝 음악이 더 이상 시각적인 요소로만 강조된 음악이 아닌 케이팝 음악 자체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며, 케이팝을 연구하는 연구자들과 케이팝 신(Scene)의 연주자,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나아가 케이팝 음악의 다양한 질적 연구에 기여 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현재 케이팝(K-Pop)은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음악 이상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콘텐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대의 변화와 흐름에 따라 케이팝은 발전을 거듭해왔다. 하지만 세계...

      현재 케이팝(K-Pop)은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음악 이상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콘텐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대의 변화와 흐름에 따라 케이팝은 발전을 거듭해왔다. 하지만 세계적인 관심과 케이팝의 발전 속도에 비해 케이팝은 여전히 문화적인 측면과 사회적인 요소로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최근 케이팝 음악의 흐름을 조명해보고 케이팝의 음악적 흐름에 대응하는 변화와 그 음악에 활용된 모달 인터체인지(Modal Interchange)기법에 대해 다룬다. 실제 케이팝 연주에 모달 인터체인지 기법은 다양한 기법으로 빈번히 사용되고 있었으며 화성적으로 음악에 각각의 색채감을 부여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200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케이팝음악의 흐름을 정리하고 음악이 발전하게 된 요인들을 다각도에서 다루고 있으며 모달 인터체인지의 상위개념인 조성음악과 선법 음악을 연구하고 선법음악의 한 기법인 모달 인터체인지를 정의한다.
      2015년부터 2019년 11월 최근까지 모달 인터체인지가 케이팝 음악 안에서 활용되는 사례를 연간 가온 차트 1위부터 15위까지 총 75곡을 선정하여 케이팝에 나타난 모달 인터체인지를 연도별, 순위별로 분류하여, 서브도미넌트 마이너, 토닉 마이너, 모달 인터체인지 화성진행이 활용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모달 인터체인지의 활용 방법 중 서브 도미넌트를 활용한 방법, 토닉 마이너를 활용한 방법의 다양한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선정된 곡 중에서 33곡 이상의 모달 인터체인지 기법이 케이팝 안에서 활용되었다. 2010년대 이후의 케이팝에서 다양한 화성적 기법의 사용이 있었으며 그 중에서 모달 인터체인지를 활용한 기법은 최근으로 올수록 사용 빈도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케이팝에서 모달 인터체인지를 활용한 곡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케이팝이 화성적인 견지에서 보았을 때 음악적으로 발전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실례이다. 본 논문은 케이팝의 음악적 가치에 대한 고찰 뿐 아니라 변화하는 케이팝의 음악적 흐름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재의 케이팝 음악이 더 이상 시각적인 요소로만 강조된 음악이 아닌 케이팝 음악 자체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며, 케이팝을 연구하는 연구자들과 케이팝 신(Scene)의 연주자,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나아가 케이팝 음악의 다양한 질적 연구에 기여 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범위 및 방법 3
      • 3. 선행연구 및 검토 4
      • Ⅱ.최근 케이팝의 흐름 6 1. 케이팝의 정의6 2. 최근 케이팝의 흐름 9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범위 및 방법 3
      • 3. 선행연구 및 검토 4
      • Ⅱ.최근 케이팝의 흐름 6 1. 케이팝의 정의6 2. 최근 케이팝의 흐름 9
      • 3. 케이팝 음악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13 1) 2010년대 두드러진 화성적 변화 13
      • Ⅲ. 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 17
      • 1. 조성 음악의 특성 17
      • 2. 선법 음악의 특성 17
      • 1) 선법의 종류 22
      • 2) 선법 화성 23
      • (1) 전조 (Modulation) 23
      • (2) 페달 포인트(Pedal Point) 24
      • (3) 계류 화음(Sus Chord)와 3도가 없는 화음 25
      • (4) 모달 인터체인지(Modal Interchange) 25
      • (5) 선법의 감정적 특성(Modal Emotional Quality) 25
      • 3. 분석을 위한 모달 인터체인지 28
      • 1) 토닉 마이너(Tonic Minor) 코드를 활용한 모달 인터체인지) 34
      • 2) 서브도미넌트 마이너(Sub-Dominant Minor)코드를 활용한 모달 인터체인지) 35
      • 3) 모달 인터체인지 화성 진행 (Modal Interchange Chord Progression) 35
      • (1) IIm7b5 V I의 진행 36
      • (2) IV IVm I의 진행 36
      • (3) bVIM7 bIIM7 I의 진행 37
      • (4) bVI bVII 의 진행 37
      • (5) IIm7(b5) bIIM7 I의 진행 38
      • (6) IVm bVII7 I의 진행 38
      • IV. 작품분석 40
      • 1. 분석방법 40
      • 1) 토닉 마이너를 활용한 모달 인터체인지 40
      • 2) 서브도미넌트 마이너를 활용한 모달 인터체인지 40
      • 3) 모달 인터체인지 화성 진행 40
      • 2. 작품분석 41
      • 1) 최근 2019년부터 2015년까지 곡 75곡 41
      • (1) 2015~2019 연간가온차트 1-5위 작품분석 48
      • (2) 2015~2019 연간가온차트 6-10위 작품분석 56
      • (3) 2015~2019 연간가온차트 11-15위 작품분석 65
      • V. 논의 및 결론 71
      • 참고문헌 73
      • Abstract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