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주민과 난민문제의 안보적 대응에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Impact of Population Movement and Security Respon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25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migrants and refugee issues on security. To this end, I have searched for the main concepts of migrants, refugees and security, migrants' problems and security, refugee issues and security, and the realities and security of immigrants and refugees in Korea.
      Population security (immigrant / refugee security) issues are being raised between developed and newly industrialized countries worried by the economic downturn due to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population cliffs that are suffering from resource shortage, poverty and social unrest due to overpopulation. The biggest security threat is illegal immigration and refugee problems. As migration, complexity, and irregularity have increased as well as the frequency and scale of migration in recent years, migrants' management and refugee coping issues have become issues of diplomatic and security issues beyond the country.
      As migration, complexity, and irregularity have increased as well as the frequency and scale of migration in recent years, migrants' management and refugee coping issues have become issues of diplomatic and security issues beyond the country. In recent years in Europe, Britain has declared a brexit (withdrawal from the European Union) because of the economic hardship and the increasing unemployment rate, and opposes immigration policies in France and Spain. After World War II, refugees were "walking voters", symbolizing the superiority of systemic competition in the Cold War era. As the political values of the post-Cold War refugees have decreased, the movement of refugees has been recognized as a major factor for spreading the security anxiety of neighboring countries for various reasons. The Korean government need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cooperating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specially the US) while being self-help. The harmonization of the human rights of migrants and refugees with the security of the host nation is also required.
      In order to solve the emerging security problem,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necessity of multilateral cooperation in the recognition of solidarity and coexistence rather than the zero cross-country competition, and it is effective to respond through cooperation throug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GOs. The multilateral cooperation is a way for South Korea, which is a relative weak country in Northeast Asia, to establish justice and justice in dealing with soft security issues. In particular, migration and refugees are a global humanitarian crisis, and it is hard to find the legitimacy that powerful nations will effectively preempt.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immigrant / refugee security and the relevanc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is concept of security and policy formulation for it should not replace traditional security but should be complemented to realize comprehensive security. If we emphasize the non-traditional security issues that have been dominated by military and political issue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sub-political issues and are referred to as high-level politics, we should emphasize the issues of traditional security such as North Korean provocations or US- In the case of the emergence of an emerging case, the academic and policy interest in the security threats of immigrants and refugees is likely to be pushed back to secondary issues. Therefore, rather than striving for immigrant / refugee security itself, why it is more desirable to identify and analyze why a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 is deeply related to traditional security issues and what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pproach to academical approach and policy is important In short, the problems of migration between LDCs, industrialized nations and emerging industrialized nations, which are expected to increase due to the population security problems of developed and emerging industrial countries concerned about the economic recession due to the lack of resources, lack o...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migrants and refugee issues on security. To this end, I have searched for the main concepts of migrants, refugees and security, migrants' problems and security, refugee issues and security, and the realities an...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migrants and refugee issues on security. To this end, I have searched for the main concepts of migrants, refugees and security, migrants' problems and security, refugee issues and security, and the realities and security of immigrants and refugees in Korea.
      Population security (immigrant / refugee security) issues are being raised between developed and newly industrialized countries worried by the economic downturn due to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population cliffs that are suffering from resource shortage, poverty and social unrest due to overpopulation. The biggest security threat is illegal immigration and refugee problems. As migration, complexity, and irregularity have increased as well as the frequency and scale of migration in recent years, migrants' management and refugee coping issues have become issues of diplomatic and security issues beyond the country.
      As migration, complexity, and irregularity have increased as well as the frequency and scale of migration in recent years, migrants' management and refugee coping issues have become issues of diplomatic and security issues beyond the country. In recent years in Europe, Britain has declared a brexit (withdrawal from the European Union) because of the economic hardship and the increasing unemployment rate, and opposes immigration policies in France and Spain. After World War II, refugees were "walking voters", symbolizing the superiority of systemic competition in the Cold War era. As the political values of the post-Cold War refugees have decreased, the movement of refugees has been recognized as a major factor for spreading the security anxiety of neighboring countries for various reasons. The Korean government need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cooperating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specially the US) while being self-help. The harmonization of the human rights of migrants and refugees with the security of the host nation is also required.
      In order to solve the emerging security problem,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necessity of multilateral cooperation in the recognition of solidarity and coexistence rather than the zero cross-country competition, and it is effective to respond through cooperation throug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GOs. The multilateral cooperation is a way for South Korea, which is a relative weak country in Northeast Asia, to establish justice and justice in dealing with soft security issues. In particular, migration and refugees are a global humanitarian crisis, and it is hard to find the legitimacy that powerful nations will effectively preempt.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immigrant / refugee security and the relevanc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is concept of security and policy formulation for it should not replace traditional security but should be complemented to realize comprehensive security. If we emphasize the non-traditional security issues that have been dominated by military and political issue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sub-political issues and are referred to as high-level politics, we should emphasize the issues of traditional security such as North Korean provocations or US- In the case of the emergence of an emerging case, the academic and policy interest in the security threats of immigrants and refugees is likely to be pushed back to secondary issues. Therefore, rather than striving for immigrant / refugee security itself, why it is more desirable to identify and analyze why a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 is deeply related to traditional security issues and what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pproach to academical approach and policy is important In short, the problems of migration between LDCs, industrialized nations and emerging industrialized nations, which are expected to increase due to the population security problems of developed and emerging industrial countries concerned about the economic recession due to the lack of resources, lack o...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 말하고자하는 주요논지는 저 출산, 고령화현상, 인구감소, 인구절벽을 경험하는 국가에서는 적정규모의 군 병력을 유지하기 힘들고, 경제성장을 위해 이민정책을 유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국가안보에 대한 위협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는 것으로 요약 할 수 있다.이는 인구감소나 잘못된 이민정책은 곧 국가안보의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는 주장이기도하다. 따라서 현대사회에서 전통적인 안보개념의 외연이 어떻게 확장되고, 새롭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중에서도 지금 까지 안보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에서 중요시 하지 않았던 인구이동의 문제가 왜 중요한 화두로 등장하고 있는지, 그리고 인구문제와 안보문제가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지를 관심을 가지고 분석해 보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주민 및 난민문제가 테러와 안보에 미치는 영향과 이주민・난민・안보의 주요개념과 문제점, 그리고 한국에서의 이주민・난민문제의 실상과 안보에 미치는 영향 및 정책적 방안을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오늘날의 안보의 두드러진 변화는 과거 군사력위주의 전통적인 국가안보 개념 에서 벗어나 인간의 생명과 존엄을 중시하는 인간안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일종의 신흥안보개념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이중 이주와 난민 문제 등은 ‘인구안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규정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안보문제는 9.11테러이후 본격적으로 대두되기 시작 하였지만, 인구과잉으로 자원부족이나 빈곤 및 사회불안에 시달리는 저개발 국가들과 인구절벽으로 경제침체를 우려하는 선진국과 신흥 산업국 간에 본격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사항이다. 물론 불법이주민 관리와 난민대처문제는 제2차 세계대전이후에도 유럽의 최대 안보위협으로 꼽히기도 하였지만, 최근에는 이주의 빈도와 규모뿐만 아니라 유동성, 복합성, 비정규성이 과거에 비해 커지면서 국내를 넘어 외교・안보적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이다. 더구나 최근 몇 년간 유럽에서는 경제난과 실업률 증가로 이주민에 대한 반감이 나타나 영국은 브렉시트(Brexit, 유럽연합탈퇴)를 선언하였고, 프랑스, 스페인 등에서도 이민정책에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우리정부 역시 다문화 사회진입으로 인구이동문제가 사회적, 안보적 문제로 대두 될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주민・난민의 인권문제와 안보와의 조화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자조적이면서도 국제사회와 공조하는 포괄적인 접근이 강구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 말하고자하는 주요논지는 저 출산, 고령화현상, 인구감소, 인구절벽을 경험하는 국가에서는 적정규모의 군 병력을 유지하기 힘들고, 경제성장을 위해 이민정책을 유지할 수밖...

      본 연구에서 말하고자하는 주요논지는 저 출산, 고령화현상, 인구감소, 인구절벽을 경험하는 국가에서는 적정규모의 군 병력을 유지하기 힘들고, 경제성장을 위해 이민정책을 유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국가안보에 대한 위협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는 것으로 요약 할 수 있다.이는 인구감소나 잘못된 이민정책은 곧 국가안보의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는 주장이기도하다. 따라서 현대사회에서 전통적인 안보개념의 외연이 어떻게 확장되고, 새롭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중에서도 지금 까지 안보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에서 중요시 하지 않았던 인구이동의 문제가 왜 중요한 화두로 등장하고 있는지, 그리고 인구문제와 안보문제가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지를 관심을 가지고 분석해 보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주민 및 난민문제가 테러와 안보에 미치는 영향과 이주민・난민・안보의 주요개념과 문제점, 그리고 한국에서의 이주민・난민문제의 실상과 안보에 미치는 영향 및 정책적 방안을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오늘날의 안보의 두드러진 변화는 과거 군사력위주의 전통적인 국가안보 개념 에서 벗어나 인간의 생명과 존엄을 중시하는 인간안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일종의 신흥안보개념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이중 이주와 난민 문제 등은 ‘인구안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규정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안보문제는 9.11테러이후 본격적으로 대두되기 시작 하였지만, 인구과잉으로 자원부족이나 빈곤 및 사회불안에 시달리는 저개발 국가들과 인구절벽으로 경제침체를 우려하는 선진국과 신흥 산업국 간에 본격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사항이다. 물론 불법이주민 관리와 난민대처문제는 제2차 세계대전이후에도 유럽의 최대 안보위협으로 꼽히기도 하였지만, 최근에는 이주의 빈도와 규모뿐만 아니라 유동성, 복합성, 비정규성이 과거에 비해 커지면서 국내를 넘어 외교・안보적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이다. 더구나 최근 몇 년간 유럽에서는 경제난과 실업률 증가로 이주민에 대한 반감이 나타나 영국은 브렉시트(Brexit, 유럽연합탈퇴)를 선언하였고, 프랑스, 스페인 등에서도 이민정책에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우리정부 역시 다문화 사회진입으로 인구이동문제가 사회적, 안보적 문제로 대두 될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주민・난민의 인권문제와 안보와의 조화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자조적이면서도 국제사회와 공조하는 포괄적인 접근이 강구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만종, "한국의 난민문제에 대한 국가안보상 대응" 한국테러학회 9 (9): 59-98, 2016

      2 정구현, "한국경제 다시 활력 찾으려면"

      3 이희용, "한국 난민 신청자 3만명 넘었다…인정받은 사람은 767명"

      4 이일, "테러위험론이 2016년 한국의 난민제도에 미치는 영향: 공항난민신청, 탑승전사전확인제도 등을 중심으로"

      5 송영훈, "테러리즘과 난민문제의 안보화: 케냐의 난민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54 (54): 195-230, 2014

      6 하채림, "터키 ‘난민 등 이주민 450만명 거주…시리아인 330만명'"

      7 민병원, "탈냉전기 안보개념의 확대와 네트워크 패러다임"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0 (50): 23-56, 2007

      8 통계청 인구동향과, "총인구, 인구성장률"

      9 신성호, "저출산·초고령 사회와 국방"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8 (58): 1-27, 2015

      10 조정현, "재중 탈북자 문제의 국제인권법적 해결방안: 국제인권조약 이행감독장치를 중심으로" 외교안보연구원 2009

      1 이만종, "한국의 난민문제에 대한 국가안보상 대응" 한국테러학회 9 (9): 59-98, 2016

      2 정구현, "한국경제 다시 활력 찾으려면"

      3 이희용, "한국 난민 신청자 3만명 넘었다…인정받은 사람은 767명"

      4 이일, "테러위험론이 2016년 한국의 난민제도에 미치는 영향: 공항난민신청, 탑승전사전확인제도 등을 중심으로"

      5 송영훈, "테러리즘과 난민문제의 안보화: 케냐의 난민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54 (54): 195-230, 2014

      6 하채림, "터키 ‘난민 등 이주민 450만명 거주…시리아인 330만명'"

      7 민병원, "탈냉전기 안보개념의 확대와 네트워크 패러다임"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0 (50): 23-56, 2007

      8 통계청 인구동향과, "총인구, 인구성장률"

      9 신성호, "저출산·초고령 사회와 국방"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8 (58): 1-27, 2015

      10 조정현, "재중 탈북자 문제의 국제인권법적 해결방안: 국제인권조약 이행감독장치를 중심으로" 외교안보연구원 2009

      11 이신화, "인구, 이주, 난민안보의 ‘복합지정학’ : 지구촌 신흥안보의 위협과 한반도에의 함의" 아세아문제연구소 60 (60): 6-50, 2017

      12 "인간안보"

      13 김영길, "이주민 및 난민 증가와 인간안보: 인구이동(난민, 이주민, 무슬림)이안보에 미치는 영향"

      14 김영길, "이슬람 유입 등 인구이동이 안보에 미치는 영향: 이주민 및 난민 증가와 인간안보"

      15 "유엔, 12년 연속 북한인권결의안채택"

      16 전혜원, "유럽난민사태의 유럽정치에의 함의, in 2015 겨울 주요국제문제분석" 2016

      17 최진우, "유럽 다문화사회의 위기와 유럽통합" 2 (2): 2012

      18 유엔난민기구, "유럽 난민 사태, 그들은 '이주민'인가 '난민'인가"

      19 법무부, "외국인통계월보"

      2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외국의 이민정책 현황 및 시사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1 김상배, "신흥안보와 미래전략" 사회평론아카데미 2016

      22 이근, "신자유주의정책과 국가안보, in 제주국제도시 개발과 해양안보"

      23 PMG 지식엔진연구소, "시사상식사전"

      24 전성훈, "불법체류외국인 2만8천여명 자진출국…올해 12월까지 연장"

      25 고형규, "독일 ‘묻지마난민수용’ 폐기…포용서 통제로 U턴"

      26 최강, "대전환의 시대, 한국의 선택" 클라우드나인 2017

      27 국제연합 난민고등판무관 사무소, "난민관련 국제조약집"

      28 유엔난민기구, "난민과 이주민, 무엇이 다를까요?"

      29 "난민, Daum 한국어사전"

      30 김상순, "김정남 암살과 북한급변사태에 대한 중국의 고민"

      31 박흥순, "국제기구와 인권, 난민, 이주" 도서출판 오름 2015

      32 민경락, "국내입국 탈북자 수 3년간 절반 급감"

      33 김강녕, "국가안보와 북한체제" 신지서원 2006

      34 박형수, "고령화 및 인구감소가 재정에 미치는 영향, in 인구고령화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세연구원 2011

      35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5 Revision"

      36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World Migration Report 2015"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2016

      37 Somerville, Will, "United Kingdom : A Reluctant Country of Immigration" Migration Policy Institute 2009

      38 Baylis, John,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39 Buzan, Barry, "Security: A New Framework for Analysis" Lynne Rienner 1998

      40 "Schengen: Controversial EU Free Movement Deal Explained"

      41 Salehyan, Idean, "Refugees and the Spread of Civil War" 60 (60): 2006

      42 Stedman, Stephen John, "Refugee Manipulation: War, Politics, and the Abuse of Human Suffering" Brookings Institution 2003

      43 Dowty, Alan, "Refugee Flows as Grounds for International Action" 21 (21): 1996

      44 Morgenthau, Hans J., "Politics Among Nations" Alfred A. Knopf 1967

      45 Kymlicka, Will, "Multiculturalism: Success, Failure, and the Future" Migration Policy Institute 2012

      46 Ogawa, Naohiro, "Japan’s Transition from the Demographic Bonus to the Demographic Onus" 1 (1): 2005

      47 OECD, "International Migration Outlook 2016"

      48 "In Ban on Migrants, Trump Supporters See a Promise Kept"

      49 OECD, "Historical Population Data and Projection, 1950~2050"

      50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Global Trends : Forced Displacement in 2015"

      51 "Germany to Abolish Compulsory Military Service"

      52 Murpy, Kara, "France’s New Law : Control Immigration Flows, Court the Highly Skilled" Migration Policy Institute 2006

      53 Tsuneo Akaha, "Crossing National Borders: Human Migration Issues in Northeast Asia" UN University Press 2005

      54 European Commission, "Country responsible for asylum application(Dublin)"

      55 Koopmans, Ruud, "Contested Citizenship: Immigration and Cultural Diversit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5

      56 "Bodies of Dozens of People Wash Ashore in Western Libya"

      57 Population Reference Bureau, "2016 World Population Data Sheet"

      58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이민정책과, "2015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22-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Police Science Journal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8 0.75 1.02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