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육적 가치가 큰 체육활동을 현채 초등학생들에게 얼마나 많은 시간과 투자가 이뤄지고, 전반적인 실태 및 만족도를 사회·경제적으로 비교적 수준이 높은 서울 강남과 비교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776174
서울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학위논문(석사)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 전공 , 2006. 8
2006
한국어
375.4692 판사항(4)
372.86 판사항(21)
서울
v, 59p. ; 26cm
참고문헌: p. 52-5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적 가치가 큰 체육활동을 현채 초등학생들에게 얼마나 많은 시간과 투자가 이뤄지고, 전반적인 실태 및 만족도를 사회·경제적으로 비교적 수준이 높은 서울 강남과 비교적 ...
본 연구는 교육적 가치가 큰 체육활동을 현채 초등학생들에게 얼마나 많은 시간과 투자가 이뤄지고, 전반적인 실태 및 만족도를 사회·경제적으로 비교적 수준이 높은 서울 강남과 비교적 수준이 낮은 서울 강북지역으로 나누어 알아보고 비교·분석하여 앞으로의 초등학교 학생들의 체육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06년 현재 서울시내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중 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 하였고, 서울 강남 지역은 강남구에 위치한 K초등학교, 서울 강북지역은 도봉구에 위치한 C초등학교와 K초등학교에서 참여 실태 및 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크게 인구·사회학적특성, 참여 실태, 만족도의 문항들로 이뤄졌다.
SPSS 12.0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강남과 강북지역 간 체육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참여 실태를 각각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강남과 강북지역 간 체육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의 평균차이(5점 척도)를 각각 비교하기 위하여 T-test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체육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강남과 강북지역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부모님의 교육수준, 가계의 한 달 수입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체육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 실태와 만족도를 강남과 강북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참여 실태 중 '참가 결정 시 문제가 되었던 점'과 '참가 시 부모님의 반응' 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학생들의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찾아 볼 수 없었다.
강남과 강북 두 지역 모두 학생들의 만족도가 모두 긍정적 결과를 남은 것은 앞으로 균형적이고 효율적인 체육활동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