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인의 난청 및 음악 감상 실태와 만족도 조사 = A study on a survey of hearing loss in the elderly and the status and satisfaction of their listening to mus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541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의 난청 및 음악 감상 실태와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강원도 소재 노인기관 및 종교기관을 이용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이다. 설...

      본 연구는 노인의 난청 및 음악 감상 실태와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강원도 소재 노인기관 및 종교기관을 이용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이다. 설문지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보청기 착용 여부, 과거와 현재의 음악 활동 및 경험, 음악 감상 실태와 만족도, 그리고 노인성 난청을 위한 청각장애평가지수(KESHH)로 구성되었으며, 총 121부의 유효한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 결과, 첫째, 청력 손실을 인지하는 사람 중 실제 보청기를 착용하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청력 검사, 보청기에 대한 인식 개선, 적응 및 재활 프로그램, 자가 모니터링 등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음악치료 임상 환경에서는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는 노인에게도 청력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함을 강조한다. 둘째, 보청기 착용자와 미착용자 간의 차이 분석 시 난청 수준의 하위요인인 사회적인 영향에서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은 개인의 성격, 사회적 기술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좌우되므로 보청기 착용 여부가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심리·정서적인 영향, 대인관계의 영향, 보청기에 대한 견해, 음악 감상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심리·정서적, 대인관계, 보청기에 대한 견해에서는 개인의 특성과 신체적, 정서적 측면을 고려한 훈련 및 중재 활동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음악 감상 만족도에서는 보청기의 음질이나 소리 전달 방식이 음악 감상 경험을 완전히 만족시키지 못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의미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 보청기 착용자 중 70.6%가 음악 감상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더 나은 청각 환경을 위한 지원 및 중재 활동이 충분한 지 살펴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난청 수준의 하위 요인은 음악 감상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난청 과 음악 감상 만족도의 관계가 복합적이며, 과거와 현재의 음악 활동 및 훈련 참여 여부, 개인 성향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면밀한 확인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노인 대상 임상에서 과거 음악 경험 정보 수집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노인의 난청 및 음악 감상 실태와 만족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난청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및 정책적 지원 방안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음악을 활용한 중재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earing loss and music listening status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older adults aged 65 years and older who use senior centers and religious institutions in Seoul and Ga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earing loss and music listening status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older adults aged 65 years and older who use senior centers and religious institutions in Seoul and Gangwon Provinc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ring aid use, past and present musical activities and experiences, music listening practices and satisfaction, and the Korean Evaluation Scale for Hearing Handicap (KESHH), and a total of 121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first, that among those who were aware of hearing loss, a low proportion actually wore hearing aids. This suggests the need for hearing screening, increased awareness of hearing aids, adaptation and rehabilitation programs, and self-monitoring, and highlights the need for music therapy clinical settings to recognize that older adults who do not wear hearing aids may have hearing problems. Second,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hearing aid wearers and non-wear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impact as a subfactor of hearing loss level. This suggests that social interactions are influenced by many factors, including an individual's personality and social skills, so the impact of hearing aid use may be relatively small.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emotional impact, interpersonal impact, views on hearing aids, and satisfaction with music listening. The psycho-emotional, interpersonal, and hearing aid views suggest the need for training and intervention activities that take into accou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nd emotional aspects, while the music listening satisfaction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sound quality of the hearing aid or the way it delivers sound may not fully satisfy the music listening experience. However, in this study, 70.6% of hearing aid wearers had a need to listen to music, suggesting that there is a need to explore whether support and intervention activities for a better hearing experience are sufficient. Third, the subfactor of hearing loss leve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usic listening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ing loss and music listening satisfaction is complex and needs to be further explored, taking into account a variety of factors, including past and present participation in musical activities and training, and personal preferences. In particular,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past musical experiences in clinical practice with older adults. By providing basic data on the prevalence and satisfaction of hearing loss and music listening in the elderly,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social and policy support measures to address the problem of hearing loss, and suggests the need and direction for music-based intervention progra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1
      • B. 연구 문제 4
      • C. 용어의 정의 4
      • Ⅱ. 이론적 배경 5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1
      • B. 연구 문제 4
      • C. 용어의 정의 4
      • Ⅱ. 이론적 배경 5
      • A. 노인성 난청 5
      • B. 노인성 난청이 삶에 미치는 영향 7
      • C. 청력손실과 음악 9
      • 1. 청각장애 음악지각 9
      • 2. 인공와우(CI) 음악지각 11
      • 3. 노년기 청력손실과 음악 감상 12
      • Ⅲ. 연구방법 14
      • A. 연구 대상 14
      • B. 연구 도구 14
      • C. 연구 절차 18
      • D. 자료 분석 20
      • Ⅳ. 결과 및 논의 21
      • A. 결과 21
      • B. 논의 41
      • Ⅴ. 결론 및 제언 44
      • A. 결론 44
      • B. 제언 46
      • C. 연구의 제한점 47
      • 참고문헌 48
      • 부록1. 연구 설명문 및 연구 참여 동의서 53
      • 부록2. 설문지 56
      • ABSTRACT 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