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내포 불교문화사 루트의 재조명 = Revisiting of the Routes of Naepo Buddhist Cultural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266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해와 접한 충남 내포 일대는 중국에서 유입된 불교 신앙의 포교 통로이자 이땅의 불교미술 양식이 처음 뿌리내린 지역이었다. 내포의 요지인 서산, 태안, 당진의 하천, 포구를 내려다보는 ...

      서해와 접한 충남 내포 일대는 중국에서 유입된 불교 신앙의 포교 통로이자 이땅의 불교미술 양식이 처음 뿌리내린 지역이었다. 내포의 요지인 서산, 태안, 당진의 하천, 포구를 내려다보는 가야산 일대에 6~7세기 백제시대부터 숱한 사찰과 수행처가 생겨나 마애불, 석탑 등을 조영하며 내륙에 양식을 전파했다.
      서산 용현리와 태안 동문동의 마애삼존불, 예산 화전리 사면석불로 대표되는 내포 지역 3대 석불은 이 땅의 불교예술사에서 큰 위상을 차지한다. 외래 불교 문화를 백제 특유의 문화예술로 숙성시켰고, 고려~조선시대에는 돌미륵 신앙과 매향회 같은 독특한 공동체 문화를 일궈냈다. 구한말 이후엔 경허, 만공 선사가 가야산에서 새 선풍을 진작하면서 근대 불교의 서막을 열었다. 최근 진행된 가야사 발굴과 보원사의 조선시대 사적 확인 등을 통해 왕실의 불사 후원 양상이 통일신라,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이어졌고, 사대부층과 승려의 내밀한 교류 관계도 알 수 있게 됐다.
      내포 불교문화 루트는 그동안 특정 유적 위주의 점 위주 연구가 주류였고, 전파 경로와 양상에 따른 선적 연결망엔 관심이 미진했다. 최근 발굴성과를 바탕으로 가야산 문화권의 변천사를 통찰하면서 지역 유산별 교류의 자취와 풍속, 행적 등에 얽힌 사적들을 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가나 충남도 차원에서 가야산 관련 사료들을 계속 업데이트하면서 체계적인 종합 역사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선결과제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aepo area in Chungcheongnam-do, facing the West Sea, was a propaganda channel for Buddhist beliefs introduced from China and the area where the Buddhist art style of the land was first rooted. In Seosan, Taean, Dangjin’s river, and Gayasan Mt. ...

      The Naepo area in Chungcheongnam-do, facing the West Sea, was a propaganda channel for Buddhist beliefs introduced from China and the area where the Buddhist art style of the land was first rooted. In Seosan, Taean, Dangjin’s river, and Gayasan Mt. overlooking the port, which are important areas of Naepo, many temples and places of worship have been established since the 6th and 7th centuries, and rock-carved Buddhas and stone pagodas were produced, and later spread the Buddhist style inland.
      The three major stone Buddhas in the Naepo area, represented by the Rock-carved Buddha Triad in Yonghyeon-ri, Seosan, Dongmun-dong, Taean, and the Four-sided Stone Buddha in Hwajeon-ri, Yesan, occupy a great position in the history of Buddhist art in this land. They matured foreign Buddhist culture into Baekje's unique culture and art, and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they created a unique community culture such as stone Maitreya faith faith and the Incense Burial Ceremony. After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Gyeongheo and Mangong Zen masters promoted a new craze at Gayasan Mountain, opening the prelude to modern Buddhism. Through the recent excavation of Gayasa Temple and the confirmation of Bowonsa Temple's Joseon Dynasty history, the royal patronage of Buddhist temples continued through Unified Silla and Goryeo to the Joseon Dynasty, and the intimate exchange between the aristocrats and monks was also revealed.
      The Naepo Buddhist cultural route has been mainly focused on point-by-point research focusing on specific ruins, and interest in the line network according to the route and pattern of transmission has been insufficient. Based on the recent excavation result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examine all the historical sites related to the traces, customs, and activities of exchanges by local heritage while insighting the history of Gayasan culture. At the government or Chungcheongnam-do level, it is a prerequisite to establish a systematic comprehensive historical information system while continuing to update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Gayasan Mountai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백제 불교문화의 여명을 비추다
      • Ⅲ. 귀족 불교의 저변을 넓히다
      • Ⅳ. 억불 딛고 민중불교 공동체로
      • Ⅴ. 선풍 내며 근대불교 요람으로
      • Ⅰ. 머리말
      • Ⅱ. 백제 불교문화의 여명을 비추다
      • Ⅲ. 귀족 불교의 저변을 넓히다
      • Ⅳ. 억불 딛고 민중불교 공동체로
      • Ⅴ. 선풍 내며 근대불교 요람으로
      • Ⅵ.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