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보공개청구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 분석 = Analyzing Cases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on the Right to Inform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 democratic government, it is necessary for the people to know what their government has done. It is the first and the most important step for the people to effectively participate in political decision making process. In other words, a democratic...

      In a democratic government, it is necessary for the people to know what their government has done. It is the first and the most important step for the people to effectively participate in political decision making process. In other words, a democratic government has a duty to disclose information on its works, and the people have the right to request disclosure of information held by the government, namely, the right to informa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hereinafter referred to as “CCK”) have recognized the right to information as a constitutional right.
      According to CCK, there are two kinds of right to information. The one is the general right to information, the other is the specific right to information. Under the general right to information, every citizen is entitled to request disclosure of information held by the government. Considering its origin and function in a democratic government, the right to information means the general right to information. By contrast, under the specific right to information, only persons who have legitimate interests in government records are entitled to seek specific information held by the government.
      After analyzing all cases of CCK on disclosing information held by the government, I have reached a conclusion that a great part of them are dealing with the specific right to information. However, in my opinion, the specific right to information should not be regarded as a kind of the right to information. For the persons who have requested to disclose specific information held by the government do not care about democracy. They want to have specific information as it is essential to exercise their other rights.
      In this paper, I’m proposing that the specific right to information should be re-classified as part of the other constitutional right when the information is indispensable in exercising the other constitutional right. It is desirable that CCK has acknowledged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a fair trial and the right to counsel, without recognizing the specific right to information in cases where the defendant or his/her counsel asked the prosecutor to allow him/her to read and copy documents held by the prosecutor. CCK should have expanded the same reasoning to other cases. By reviewing landmark cases I have demonstrated that appropriate constitutional rights to be applied in cases, where information is requested to disclose by persons who have special interest in it, is not the specific right to information, but the right to a fair trial, the right to counsel, the right to liberty, the right to make a statement during the trial, 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ver personal inform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민주주의 국가에서 주권자인 국민이 민주적 의사결정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국정에 대해서 알아야 하며, 이를 위하여 정부는 국정 운영을 공개할 의무가 있고, 국민은 정부가 보유한 정보의 ...

      민주주의 국가에서 주권자인 국민이 민주적 의사결정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국정에 대해서 알아야 하며, 이를 위하여 정부는 국정 운영을 공개할 의무가 있고, 국민은 정부가 보유한 정보의 공개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이것이 정보공개청구권이다. 헌법재판소는 정보공개청구권을 헌법상 권리로 인정하였다. 헌법재판소는 특정한 정보에 정당한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이 해당 정보의 공개를 청구하는 경우, 즉 개별적 정보공개청구권도 정보공개청구권의 하나라고 보고 있다. 이는 법리적으로 문제가 있다.
      본 논문은 정보공개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판례를 전수 분석하여 헌법재판소가 이해하는 알 권리와 정보공개청구권을 평가하고, 개별적 정보공개청구권을 해체하여 주된 기본권의 실현에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기본권의 내용으로 포섭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한다. 정량분석을 통해서 대상정보에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이 청구한 사건이 정보공개에 관한 판례의 대부분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청구인이 대상정보의 정보주체인 경우가 절반 정도 차지하였다. 이는 정보공개청구권이 쟁점이 된 헌법재판소 사건 중 상당수가 개별적 정보공개청구권에 관한 것임을 알려준다.
      정성분석은 주로 개별적 정보공개청구권 사건을 다루었다. 특히 소송서류의 열람ㆍ등사의 사례를 분석하면서 개별적 정보공개청구권이 아닌 신속ㆍ공정한 재판받을 권리,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신체의 자유, 형사피해자의 재판진술권,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행사로 특정 정보에 정당한 이해관계를 가진 자가 해당 정보의 열람ㆍ등사권을 가진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개별적 정보공개청구권의 재정립은 정보공개청구권의 본래 취지에 부합하며, 알 권리에 관한 논리적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동규, "형사소송법" 법문사 2016

      2 이창현, "형사소송법" 피앤씨미디어 2017

      3 김인회, "형사소송법" 피앤씨미디어 2015

      4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1999

      5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4

      6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3

      7 한수웅, "헌법상의 ‘알 권리’ - 헌법재판소 주요결정에 대한 판례평석을 겸하여 -" 2002

      8 문재완, "표현의 자유와 민주주의 ― 청자(聽者) 중심의 표현의 자유 이론을 위한 시론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7 (17): 85-110, 2011

      9 임현, "정보공개법에 대한 평가와 입법적 개선방안 - 세계정보권순위평가의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토지공법학회 69 : 117-150, 2015

      10 지희정, "정보공개법상 비공개사유 및 권리남용금지원칙 적용의 필요성" 법학연구소 49 (49): 161-191, 2014

      1 임동규, "형사소송법" 법문사 2016

      2 이창현, "형사소송법" 피앤씨미디어 2017

      3 김인회, "형사소송법" 피앤씨미디어 2015

      4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1999

      5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4

      6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3

      7 한수웅, "헌법상의 ‘알 권리’ - 헌법재판소 주요결정에 대한 판례평석을 겸하여 -" 2002

      8 문재완, "표현의 자유와 민주주의 ― 청자(聽者) 중심의 표현의 자유 이론을 위한 시론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7 (17): 85-110, 2011

      9 임현, "정보공개법에 대한 평가와 입법적 개선방안 - 세계정보권순위평가의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토지공법학회 69 : 117-150, 2015

      10 지희정, "정보공개법상 비공개사유 및 권리남용금지원칙 적용의 필요성" 법학연구소 49 (49): 161-191, 2014

      11 김배원, "알 권리의 헌법적 근거에 대한 판례 검토와 입법적 과제" 2015

      12 문재완, "알 권리의 재구성 - 변호사시험법 제18조 제1항 위헌확인 사건의 판례 평석을 겸하여 -" 한국공법학회 44 (44): 97-126, 2015

      13 김배원, "알 권리의 법적 성격에 대한 재검토" 부산대학교 32 (32): 1991

      14 이상학, "알 권리로서 정보자유의 쟁점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7 (17): 91-124, 2014

      15 배종대, "신형사소송법" 홍문사 2011

      16 홍강훈, "독일 정보자유법을 통해 본 한국 정보공개법의 개선방안" 한국헌법학회 18 (18): 267-302, 2012

      17 신동운, "공판절차에 있어서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 – 수사기록 열람ㆍ등사권 확보를 중심으로 -" 44 (44): 2003

      18 권영법, "공소제기 전 수사서류의 열람·등사권" 법조협회 60 (60): 254-280, 2011

      19 박종보, "공공정보공개제도와 알 권리" 28 (28): 1999

      20 임규철, "가족관계등록법상의 형제자매의 증명서 열람청구를 통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제한 유무 – 헌법재판소의 2016.6.30. 선고 2015헌마924 결정을 중심으로 -" 16 (16): 2016

      21 Roy Peled, "The Constitutional Right to Information" 42 : 358-, 2011

      22 Thomas I. Emerson, "Legal Foundations of the Right to Know" 1976 : 1-, 1976

      23 Barry Sullivan, "FOIA and the First Amendment: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the People's Elusive "Right to Know"" 72 : 1-, 2012

      24 행정안전부, "2016 정보공개 연차보고서"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영문명 : Korean Branch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anl Law ->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nal La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11 1.46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