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배경 및 목적) 삶의 질을 확인하는 지표 중 하나인 공원은, 개인이 생산할 수 없고 공급 이후에는 변경이 어려운 도시 공공서비스이기 때문에 도시 계획이나 주택단지 설계 시 중요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96040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63-574(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배경 및 목적) 삶의 질을 확인하는 지표 중 하나인 공원은, 개인이 생산할 수 없고 공급 이후에는 변경이 어려운 도시 공공서비스이기 때문에 도시 계획이나 주택단지 설계 시 중요한 ...
(연구 배경 및 목적) 삶의 질을 확인하는 지표 중 하나인 공원은, 개인이 생산할 수 없고 공급 이후에는 변경이 어려운 도시 공공서비스이기 때문에 도시 계획이나 주택단지 설계 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도시 생활권공원 공급은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면적 확장과 양적 공급 정책이 진행되었으나, 이에 치중되어 대체로 불균형하게 공급되었고, 이는 지역 간 불평등한 현상으로 나타났다. 생활권공원 중에서도 조성 면적이 가장 넓고, 이용대상자를 거주민으로 하는 근린공원을 중점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근린공원의 접근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도시가 비슷한 시기에 계획됨과 동시에 같은 목적성을 가지는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으며, 이에 있어 수도권 신도시를 1기, 2기, 3기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도구는 그래스호퍼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공원의 접근성을 시각화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분석 내용은 작성한 분석 틀을 기반으로 정리하였으며, 1기, 2기, 3기 신도시의 결과값을 도시별로 분석하여 하나의 지표 형태로 정리하고, 이에 나온 결과값의 평균을 통해 전체 분석 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12기 신도시 조성 방향 및 3기 신도시 조성계획의 환경계획에 따르면 녹지율은 12%~25%에서 35% 수준 향상으로 계획하였으며 이에 따라 면적대비 녹지 비율 또한 증가하도록 계획하였다. 이에 근린공원의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접근성이 높은 곳의 면적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녹지 비율 증가율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공원 조성의 특징을 살펴본 바로는 도보권 근린공원의 형태가 주거지에 분포하는 방식에서 보행 위치에 계획되는 방식으로 변화가 있었음을 볼 수 있었다. (결론) 수도권 신도시의 환경계획과 공원녹지 계획, 녹지율 목표가 상승함에 따라 근린 거주자, 근린생활권으로 구성된 지역생활권 거주자들의 근린공원 접근성이 높아졌다고 보았다. 또한 수도권 신도시의 녹지계획과 공원계획의 방식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하였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면적대비 녹지 비율이 증가한 정도보다 근린공원의 접근성이 높은 지역의 면적이 증가한 정도가 더 큰 편차를 볼 수 있었으며, 이에 녹지 비율보다도 근린공원의 접근성이 비교적 더 증가하였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경제적 측면과 건강 측면에 영향을 끼치는 등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 있어 접근성 측면을 수치화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두었으며, 근린공원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공원, 연구 대상 외의 지역의 접근성 분석과 같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Parks, an indicator of quality of life, are an important factor in urban planning and housing complex design because they are urban public services that cannot be produced by individuals and are difficult to change once implem...
(Background and Purpose) Parks, an indicator of quality of life, are an important factor in urban planning and housing complex design because they are urban public services that cannot be produced by individuals and are difficult to change once implemented. In Korea, the supply of parks in urban areas has increased in importance, and policies to expand these areas and provide more have been implemented. However, the supply has become unbalanced, resulting in inequality between regions. This study focused on neighborhood parks, which have the largest area and are used by residents. (Method) To analyze changes in the accessibility of neighborhood parks, we considered that cities should be planned at a similar time and with the same purpose; therefore, we divided new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eriods. Grasshopper was used as the analysis tool to visualize and compare park accessibility through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content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created, and the result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new cities were analyzed by city and organized based on one indicator.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average values. (Result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first and second new cities and the third new city’s development plan, the green area increased from 12% to 25% and 35%,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increase in the green area ratio. Analyzing the accessibility of neighborhood parks showed that areas with high accessibility have increased, overtaking the rate of increase in green areas. Furthermore, because of the nature of park creation, a change in the form of neighborhood parks appeared: they changed from being distributed in residential areas to planned locations within walking distance. (Conclusion) With the increased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planning, park greenspace planning, and increased greenery rate targets in new metropolitan areas, neighborhood park accessibility has improved for residents and those living in regional zones. There has also been an observable evolution of greenery and park planning methods in new metropolitan areas over time. Moreover, the increase in the area of highly accessible neighborhood parks was greater than the increase in the green space ratio, indicating a relatively higher improvement in neighborhood park accessibility than the green space ratio.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lies in quantifying and analyzing accessibility, which significantly affects economic and health aspects. There is a need for follow-up research, such as an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of diverse park types beyond neighborhood parks and areas outside the scope of this study.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미 ; 송승현 ; 김재현 ; 김수환 ; 김주연 ; 김재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도시회복력 증진을 위한 공원의 역할 - 서울시 도시공원 이용객 인식을 중심으로 -"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6) : 249-272, 2022
2 권오규 ; 김용국 ; 최가윤 ; 유예슬, "포스트 코로나 대응 생활권 공원녹지 개선 요소 도출" 한국도시설계학회 24 (24): 95-109, 2023
3 권민 ; 김용성 ; 이남규,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위한 도시건축통합계획에 관한 연구 -3기 신도시 설계공모 당선작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7 (17): 221-234, 2022
4 국토교통부, "제2기 신도시 건설안내"
5 국토교통부, "제1기 신도시 건설안내"
6 문지영, "접근성을 고려한 도시 생활권공원 공급권역의 사회경제적 격차 및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 23 (23): 326-340, 2023
7 김철민, "이동수단에 따른 도시공원 접근성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34 (34): 93-114, 2022
8 김혜림 ; 홍성조, "유형별 도시공원 접근성이 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 - 산지형 도시공원과 평지형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 한국주거환경학회 19 (19): 61-71, 2021
9 김용국, "서울시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평가 및 형평성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16 (16): 133-149, 2015
10 이경주 ; 홍성효 ; 임준홍, "생활권 공원의 접근성 추정 및 입지 시뮬레이션 연구: 충남지역을 대상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33 (33): 153-167, 2020
1 김주미 ; 송승현 ; 김재현 ; 김수환 ; 김주연 ; 김재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도시회복력 증진을 위한 공원의 역할 - 서울시 도시공원 이용객 인식을 중심으로 -"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6) : 249-272, 2022
2 권오규 ; 김용국 ; 최가윤 ; 유예슬, "포스트 코로나 대응 생활권 공원녹지 개선 요소 도출" 한국도시설계학회 24 (24): 95-109, 2023
3 권민 ; 김용성 ; 이남규,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위한 도시건축통합계획에 관한 연구 -3기 신도시 설계공모 당선작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7 (17): 221-234, 2022
4 국토교통부, "제2기 신도시 건설안내"
5 국토교통부, "제1기 신도시 건설안내"
6 문지영, "접근성을 고려한 도시 생활권공원 공급권역의 사회경제적 격차 및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 23 (23): 326-340, 2023
7 김철민, "이동수단에 따른 도시공원 접근성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34 (34): 93-114, 2022
8 김혜림 ; 홍성조, "유형별 도시공원 접근성이 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 - 산지형 도시공원과 평지형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 한국주거환경학회 19 (19): 61-71, 2021
9 김용국, "서울시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평가 및 형평성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16 (16): 133-149, 2015
10 이경주 ; 홍성효 ; 임준홍, "생활권 공원의 접근성 추정 및 입지 시뮬레이션 연구: 충남지역을 대상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33 (33): 153-167, 2020
11 황병묵 ; 고찬우 ; 김정현 ; 김채완 ; 강완모, "보행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서울시 공원 접근성 평가" 한국지적정보학회 24 (24): 154-167, 2022
12 최성웅 ; 김흥순, "도시지역권 근린공원의 이용권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8 (28): 67-88, 2016
13 국가법령정보센터,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14 김현중 ; 정진우 ; 여관현, "도보권 근린공원의 최적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로 -" 한국주거환경학회 14 (14): 41-57, 2016
15 고찬우 ; 황병묵 ; 임도혁 ; 고동욱 ; 강완모, "국내 전국 시·군과 도시 인구규모별 녹지 접근성 평가- 보행특성 기반의 네트워크 분석의 적용 -" 한국지적정보학회 25 (25): 146-160, 2023
16 Sung, Hyun-gon, "Proposal of the 3rd New Town Walking Environment Plan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last New Town Plan" 6 (6): 44-49, 2019
17 구한민 ; 김갑성 ; 장현서, "3기 신도시 부천대장지구 기본계획 수립방안 연구: 1ㆍ2기 신도시 평가에 기반한 기본구상 및 도시공간계획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22 (22): 5-24, 2021
18 조영주, "3기 신도시 계획과제와 남양주 왕숙2지구 마스터플랜" 한국도시설계학회 22 (22): 45-61, 2021
19 LH, 한국토지주택공사, "3기 신도시 개요"
의경(意境)으로 바라본 창덕궁 후원(昌德宮 後苑)과 카츠라리큐(桂離宮)경험에 관하여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 컨설팅을 위한 사용자 중심형 대화형 AI 플로우차트 개발
위상학 연산을 적용한 경사지 집합주거 계획안 개발에 관한 연구
피터 줌터의 건축에 나타나는 빛의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 Threshold와 시공방법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