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1차 산업 쇠퇴 배경과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의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cline of Korea’s Primary Industry and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Foreign Seasonal Worker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351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1차 산업의 쇠퇴 요인을 밝히고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의 지속 가능성을 제안한 연구이다.
      우리 사회의 1차 산업이 해체 수준에 이르게 된 배경은 첫째, 우리 사회의 숭문주의적 태도가 직업의 귀천을 따지는 문화가 조성되어 1차 산업은 결국 천한 일로간주되면서 후속세대가 양성되지 않았다.
      둘째, 1차 산업에서 종사하는 부모들 스스로가 자신의 일을 천한 일로 간주하여자녀들에게 같을 일을 할 것을 권유하지 않기 때문에 후속세대가 양성되지 않는것이다.
      셋째, 대도시의 생활 방식이 보편화되면서 어린 세대들은 1차 산업을 전혀 경험하지 못하거나, 체험활동 정도에 머물고 있어 1차 산업으로의 인력 공급은 기대하기 어려운 사회구조가 되었기 때문이다.
      식량주권 확보와 발전된 영농·어업기술을 지속·보존하기 위해 우리 사회는외국인을 고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우리 사회는 먼저 1차 산업에 종사할 자국인 후속세대 양성을 위한 지원방안 즉 1차 산업 체험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귀농·귀촌 희망자를 비롯한 학생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시행을 제도화하고, 1차 산업에서 종사하는 외국인 이민자들을 우리 사회의 한 일원으로 받아들이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1차 산업을 지속하기 위해 우리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의 지속을 위해 지자체들은 이들의 이주 전부터고국으로 복귀할 때까지 전담하는 인력을 고용하여 소통 창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1차 산업의 쇠퇴 요인을 밝히고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의 지속 가능성을 제안한 연구이다. 우리 사회의 1차 산업이 해체 수준에 이르게 된 배경은 첫째, 우리 사회의 ...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1차 산업의 쇠퇴 요인을 밝히고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의 지속 가능성을 제안한 연구이다.
      우리 사회의 1차 산업이 해체 수준에 이르게 된 배경은 첫째, 우리 사회의 숭문주의적 태도가 직업의 귀천을 따지는 문화가 조성되어 1차 산업은 결국 천한 일로간주되면서 후속세대가 양성되지 않았다.
      둘째, 1차 산업에서 종사하는 부모들 스스로가 자신의 일을 천한 일로 간주하여자녀들에게 같을 일을 할 것을 권유하지 않기 때문에 후속세대가 양성되지 않는것이다.
      셋째, 대도시의 생활 방식이 보편화되면서 어린 세대들은 1차 산업을 전혀 경험하지 못하거나, 체험활동 정도에 머물고 있어 1차 산업으로의 인력 공급은 기대하기 어려운 사회구조가 되었기 때문이다.
      식량주권 확보와 발전된 영농·어업기술을 지속·보존하기 위해 우리 사회는외국인을 고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우리 사회는 먼저 1차 산업에 종사할 자국인 후속세대 양성을 위한 지원방안 즉 1차 산업 체험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귀농·귀촌 희망자를 비롯한 학생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시행을 제도화하고, 1차 산업에서 종사하는 외국인 이민자들을 우리 사회의 한 일원으로 받아들이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1차 산업을 지속하기 위해 우리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의 지속을 위해 지자체들은 이들의 이주 전부터고국으로 복귀할 때까지 전담하는 인력을 고용하여 소통 창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auses behind the decline of the primary industry in Korean society and to propose the sustainability of the foreign seasonal worker system. The disintegration of Korea’s primary industry can be attributed to three main factors. First, the prevalent academic elitism in society has fostered a cultural perception that ranks occupations by status, leading to the devaluation of primary industry work and the absence of a successor generation. Second, many parents working in the primary industry themselves view their jobs as inferior, thus discouraging their children from entering the same field. Third, the widespread urban lifestyle has resulted in younger generations having little to no direct experience with agriculture or fisheries, reducing the likelihood of future participation in these sectors.
      Due to the urgent need to secure food sovereignty and preserve advanced farming and fishing techniques, Korea is increasingly dependent on foreign labor. This study recommends developing institutionalized support programs that encourage younger generations to engage in primary industries, such as hands-on farming or fishing experience programs, especially targeting students and return-to-rural migrants. Furthermor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social consensus to accept foreign immigrants working in the primary sector as integral members of society.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foreign seasonal worker system, local governments should employ personnel dedicated to managing communication and support for these workers from pre-arrival through to their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auses behind the decline of the primary industry in Korean society and to propose the sustainability of the foreign seasonal worker system. The disintegration of Korea’s primary industry can be attributed to three m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auses behind the decline of the primary industry in Korean society and to propose the sustainability of the foreign seasonal worker system. The disintegration of Korea’s primary industry can be attributed to three main factors. First, the prevalent academic elitism in society has fostered a cultural perception that ranks occupations by status, leading to the devaluation of primary industry work and the absence of a successor generation. Second, many parents working in the primary industry themselves view their jobs as inferior, thus discouraging their children from entering the same field. Third, the widespread urban lifestyle has resulted in younger generations having little to no direct experience with agriculture or fisheries, reducing the likelihood of future participation in these sectors.
      Due to the urgent need to secure food sovereignty and preserve advanced farming and fishing techniques, Korea is increasingly dependent on foreign labor. This study recommends developing institutionalized support programs that encourage younger generations to engage in primary industries, such as hands-on farming or fishing experience programs, especially targeting students and return-to-rural migrants. Furthermor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social consensus to accept foreign immigrants working in the primary sector as integral members of society.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foreign seasonal worker system, local governments should employ personnel dedicated to managing communication and support for these workers from pre-arrival through to their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