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암 김성권의 생애와 고수의 길 = A Study on the Life Story of KIM Seong Kwon Pen-named Cheongam and His Way as a Pansori Drummer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life story of KIM Seong Kwon pen-named Cheongam. The study spares his life with tracing unknown fack. The study looks into his life course to set up the tradition of a drum beating way for Pansori regardless of his misfortune in his family history and then to becom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by Korea Government. The study confirms that his family lines have been in Chilryang in Gangjin where has been known as a his birth place, but figures out that Wando was the actual place of his birth and childhood.
      In addition, the study finds out that he learned a drum beating way for Pansori from PARK Seon Haeng who was an accompanied Pansori drummer of KIM Chae Man, and then completed his own drum beating way with SEONG Won Mok in Gwangju, and finally handed down to PARK Si Yang and others. The study finds out that his father named KIM Dong Soo was an artist to run Hyeomnyul Temple and had grown in a family line of Korean folk music with KIM Chae Man who was a celebrated singer in Sok village, Gwangju and PARK Seon Haeng, a Pansori drummer. Based on these facts, the study could look into two things; one is the family tradition to have been transmit Korean folk music and the other is the flowing of drum beating ways in Gwangju and Jeonnam area.
      Basically, a Pansori drummer has his main role to play Pansori singer's accompaniment, but he would sometimes lead Pansori singer. Besides, there is a case for a drummer to begin his job as a drummer, while there is an other case for him to change his job from a singer. The case of KIM Seong Kwon belongs to the second one. The study considers that the reason was because he preferred an accompanied style to follow the singer above leading the singer. This style is presumed to start from PARK Seon Haeng who was an accompanied drummer of KIM Chae Man, a great master of Seopyeonje and then to be complemented by SEONG Won Mok, a father of celebrated singer, SEONG Chang Soon. The study considers this style could be called to a Cheongam-styled drum beating.
      번역하기

      This study is on the life story of KIM Seong Kwon pen-named Cheongam. The study spares his life with tracing unknown fack. The study looks into his life course to set up the tradition of a drum beating way for Pansori regardless of his misfortune in h...

      This study is on the life story of KIM Seong Kwon pen-named Cheongam. The study spares his life with tracing unknown fack. The study looks into his life course to set up the tradition of a drum beating way for Pansori regardless of his misfortune in his family history and then to becom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by Korea Government. The study confirms that his family lines have been in Chilryang in Gangjin where has been known as a his birth place, but figures out that Wando was the actual place of his birth and childhood.
      In addition, the study finds out that he learned a drum beating way for Pansori from PARK Seon Haeng who was an accompanied Pansori drummer of KIM Chae Man, and then completed his own drum beating way with SEONG Won Mok in Gwangju, and finally handed down to PARK Si Yang and others. The study finds out that his father named KIM Dong Soo was an artist to run Hyeomnyul Temple and had grown in a family line of Korean folk music with KIM Chae Man who was a celebrated singer in Sok village, Gwangju and PARK Seon Haeng, a Pansori drummer. Based on these facts, the study could look into two things; one is the family tradition to have been transmit Korean folk music and the other is the flowing of drum beating ways in Gwangju and Jeonnam area.
      Basically, a Pansori drummer has his main role to play Pansori singer's accompaniment, but he would sometimes lead Pansori singer. Besides, there is a case for a drummer to begin his job as a drummer, while there is an other case for him to change his job from a singer. The case of KIM Seong Kwon belongs to the second one. The study considers that the reason was because he preferred an accompanied style to follow the singer above leading the singer. This style is presumed to start from PARK Seon Haeng who was an accompanied drummer of KIM Chae Man, a great master of Seopyeonje and then to be complemented by SEONG Won Mok, a father of celebrated singer, SEONG Chang Soon. The study considers this style could be called to a Cheongam-styled drum bea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청암 김성권의 생애담 연구다. 아직 알려지지 않은 사실들을 추적하여, 김성권의 생애를 조명하였다. 자식들을 앞세우는 가족사의 불운에도 불구하고 판소리 고법의 법통을 새롭게 세워, 국가지정 무형문화재로 정착하게 된 과정들을 살펴보았다. 그간 생가로 알려졌던 강진 칠량은 가계 전통이 이어져 온 것으로 확인되지만, 실제 태어난 곳과 유아시절의 성장은 완도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김채만의 수행고수였던 박선행으로부터 고법을 익혔고, 광주의 성원목에게 고법을 완성하여 박시양 등에게 전승시킨 계보도 살펴보았다. 부친 김동수는 협률사를 운영하던 예인이었으며, 광주 속골명창으로 유명한 김채만과 고수 박선행 등, 민속음악의 가계전통 속에서 성장해왔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민속음악을 전승시켜 온 가계전통과 광주, 전남지역의 판소리 고법의 흐름 등을 함께 살펴볼 수 있었다.
      고수는 기본적으로 판소리를 도와 반주를 해주는 역할이 주된 임무이기는 하지만 기호에 따라 판소리를 리드하기도 하는데, 김명환이나 김동준 등이 사례로 거론될 수 있다고 보았다. 청암 김성권은 소리의 길을 걷고자 했으나 여의치 않아 고수의 길을 걷게 된 사례에 해당된다. 특히 그는 판소리를 리드하기보다는 판소리를 좇아가는 반주형태를 선호한다고 보았고, 이것이 박선행으로부터 시작되었고, 성원목에게서 보완된 고법체계라고 추정하였다.
      번역하기

      본고는 청암 김성권의 생애담 연구다. 아직 알려지지 않은 사실들을 추적하여, 김성권의 생애를 조명하였다. 자식들을 앞세우는 가족사의 불운에도 불구하고 판소리 고법의 법통을 새롭게 ...

      본고는 청암 김성권의 생애담 연구다. 아직 알려지지 않은 사실들을 추적하여, 김성권의 생애를 조명하였다. 자식들을 앞세우는 가족사의 불운에도 불구하고 판소리 고법의 법통을 새롭게 세워, 국가지정 무형문화재로 정착하게 된 과정들을 살펴보았다. 그간 생가로 알려졌던 강진 칠량은 가계 전통이 이어져 온 것으로 확인되지만, 실제 태어난 곳과 유아시절의 성장은 완도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김채만의 수행고수였던 박선행으로부터 고법을 익혔고, 광주의 성원목에게 고법을 완성하여 박시양 등에게 전승시킨 계보도 살펴보았다. 부친 김동수는 협률사를 운영하던 예인이었으며, 광주 속골명창으로 유명한 김채만과 고수 박선행 등, 민속음악의 가계전통 속에서 성장해왔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민속음악을 전승시켜 온 가계전통과 광주, 전남지역의 판소리 고법의 흐름 등을 함께 살펴볼 수 있었다.
      고수는 기본적으로 판소리를 도와 반주를 해주는 역할이 주된 임무이기는 하지만 기호에 따라 판소리를 리드하기도 하는데, 김명환이나 김동준 등이 사례로 거론될 수 있다고 보았다. 청암 김성권은 소리의 길을 걷고자 했으나 여의치 않아 고수의 길을 걷게 된 사례에 해당된다. 특히 그는 판소리를 리드하기보다는 판소리를 좇아가는 반주형태를 선호한다고 보았고, 이것이 박선행으로부터 시작되었고, 성원목에게서 보완된 고법체계라고 추정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세종, "화순지역의 명인명창에 대한 고찰" 2007

      2 김청만, "한국의 장단" 민속원 2002

      3 이국자, "판소리 예술미학" 나남신서 1989

      4 이규섭, "판소리 답사기행" 민예원 1994

      5 박 황, "판소리 200년사" 사사연 1987

      6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 1940

      7 이윤선, "연행방식을 통해서 본 남도소리의 축제적 성격" 한국구비문학회 (24) : 59-87, 2007

      8 정대하, "세습무계의 통혼과 판소리 전승의 상관성" 목포대학교 2005

      9 배성자, "박동실 판소리 연구" 전남대학교 2008

      10 이윤선, "민요의 혼자 부르기와 여럿이 부르기에 대하여" 한국민요연구 2009

      1 김세종, "화순지역의 명인명창에 대한 고찰" 2007

      2 김청만, "한국의 장단" 민속원 2002

      3 이국자, "판소리 예술미학" 나남신서 1989

      4 이규섭, "판소리 답사기행" 민예원 1994

      5 박 황, "판소리 200년사" 사사연 1987

      6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 1940

      7 이윤선, "연행방식을 통해서 본 남도소리의 축제적 성격" 한국구비문학회 (24) : 59-87, 2007

      8 정대하, "세습무계의 통혼과 판소리 전승의 상관성" 목포대학교 2005

      9 배성자, "박동실 판소리 연구" 전남대학교 2008

      10 이윤선, "민요의 혼자 부르기와 여럿이 부르기에 대하여" 한국민요연구 2009

      11 노재명, "명창의 증언과 자료를 통해 본 판소리 참모습" 문화관광부 2006

      12 이명진, "명창 공대일의 삶과 예술세계" 실천민속학회 15 : 261-288, 2010

      13 강진문화원, "강진이 낳은 명고수" 2003

      14 임영일, "강산제 춘향가 중 박석치 대목의 고법 연구-김명환, 김성권의 진양조 고법을 중심으로" 용인대학교예술대학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ansori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536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