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중소도시의 도시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 산동성 웨이팡(潍坊)시 교통체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ity planning of medium and small city in China : a case of transportation system in Weifang, Shandong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4127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 대상 지역인 웨이팡(?坊)은 중국의 개혁개방 선두에 있는 항구 도시인 칭다오(??)와 산동성(山東省)의 성도(省都)인 지난(?南)의 중간에 위치한 총 면적 15,860㎢에 인구 8,625,000 명으로 산동성(山東省) 제 3위의 중소도시에 해당된다. 우리나라 일산과 같이 계획도로망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국내선 공항과 화물선 위주의 항구, 내륙과 연해를 연결하는 일반 및 고속철도가 관통하며, 사통발달 각지로 통하는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가 잘 발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연해도시와 내륙 대도시를 잇는 중소도시의 도시정책 특성에 관한 연구를 함으로써 중국 내륙지방 도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중소도시의 도시 계획 흐름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향후 더욱 가속화될 한중관계에서 중국 내륙으로 진출할 한국기업들이 비교우의를 점하여 기업경영과 중국 내수시장 공략에 유용하기를 바란다.
      연구방법은 그간 국내외에서 발표된 각종 자료와 중국 정부통계자료 및 선행 연구 내용분석 등을 통한 서술적 문헌연구와 연구자가 2010.7.24∼8.25까지 3회에 걸친 웨이팡시(?坊市) 성시(城市=都市)계획국 국장과 시외사판공실(市外事瓣公室) 아주(亞洲)과장 등과의 면담조사 등을 통하여 수집한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선행연구와 국내외에 발표된 각종 문헌자료 및 중국 정부의 통계자료를 통해 도로계획의 특징을 분석한다. 둘째, 도시 및 도로관련 법규와 계획을 분석하여 시행 실태를 분석한다. 셋째, 향후 해안지역과 내륙지방의 연결거점 도시의 역할을 제공한다.
      연구내용은 중국 교통계획과 웨이팡(?坊)시 교통체계를 중심으로 6장으로 구성하였으며, 제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의, 연구목적, 연구의 방법과 연구내용을 설명하며, 제 2장은 도시계획의 이론적 고찰로 도시의 본질과 도시계획의 역사 및 기본적 개념을 설명하였으며, 제 3장은 중국의 국토개발정책과 추진과정을 개혁개방 전 후를 비교/분석하고, 도시화 과정을 개혁개방 전 후와 비교/분석한다. 제 4장은 중국의 도시계획으로 법률 법규와 철도 및 도로 중장기계획 및 산동성(山東省)에 대한 고찰을 하였으며, 제 5장은 웨이팡(?坊)시 도시계획중 도로, 철도, 항공, 항만을 소개하고 철도와 도로 등 교통체계위주로 서술한다. 특히 연해지역과 내륙 대도시간의 연결성과 도시정책 특성을 파악하여 도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을 밝힌다. 제 6장은 결론으로 앞에서 연구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본 연구의 한계를 밝힌다.
      번역하기

      본 연구 대상 지역인 웨이팡(?坊)은 중국의 개혁개방 선두에 있는 항구 도시인 칭다오(??)와 산동성(山東省)의 성도(省都)인 지난(?南)의 중간에 위치한 총 면적 15,860㎢에 인구 8,625,000 명...

      본 연구 대상 지역인 웨이팡(?坊)은 중국의 개혁개방 선두에 있는 항구 도시인 칭다오(??)와 산동성(山東省)의 성도(省都)인 지난(?南)의 중간에 위치한 총 면적 15,860㎢에 인구 8,625,000 명으로 산동성(山東省) 제 3위의 중소도시에 해당된다. 우리나라 일산과 같이 계획도로망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국내선 공항과 화물선 위주의 항구, 내륙과 연해를 연결하는 일반 및 고속철도가 관통하며, 사통발달 각지로 통하는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가 잘 발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연해도시와 내륙 대도시를 잇는 중소도시의 도시정책 특성에 관한 연구를 함으로써 중국 내륙지방 도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중소도시의 도시 계획 흐름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향후 더욱 가속화될 한중관계에서 중국 내륙으로 진출할 한국기업들이 비교우의를 점하여 기업경영과 중국 내수시장 공략에 유용하기를 바란다.
      연구방법은 그간 국내외에서 발표된 각종 자료와 중국 정부통계자료 및 선행 연구 내용분석 등을 통한 서술적 문헌연구와 연구자가 2010.7.24∼8.25까지 3회에 걸친 웨이팡시(?坊市) 성시(城市=都市)계획국 국장과 시외사판공실(市外事瓣公室) 아주(亞洲)과장 등과의 면담조사 등을 통하여 수집한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선행연구와 국내외에 발표된 각종 문헌자료 및 중국 정부의 통계자료를 통해 도로계획의 특징을 분석한다. 둘째, 도시 및 도로관련 법규와 계획을 분석하여 시행 실태를 분석한다. 셋째, 향후 해안지역과 내륙지방의 연결거점 도시의 역할을 제공한다.
      연구내용은 중국 교통계획과 웨이팡(?坊)시 교통체계를 중심으로 6장으로 구성하였으며, 제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의, 연구목적, 연구의 방법과 연구내용을 설명하며, 제 2장은 도시계획의 이론적 고찰로 도시의 본질과 도시계획의 역사 및 기본적 개념을 설명하였으며, 제 3장은 중국의 국토개발정책과 추진과정을 개혁개방 전 후를 비교/분석하고, 도시화 과정을 개혁개방 전 후와 비교/분석한다. 제 4장은 중국의 도시계획으로 법률 법규와 철도 및 도로 중장기계획 및 산동성(山東省)에 대한 고찰을 하였으며, 제 5장은 웨이팡(?坊)시 도시계획중 도로, 철도, 항공, 항만을 소개하고 철도와 도로 등 교통체계위주로 서술한다. 특히 연해지역과 내륙 대도시간의 연결성과 도시정책 특성을 파악하여 도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을 밝힌다. 제 6장은 결론으로 앞에서 연구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본 연구의 한계를 밝힌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