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들은 부모의 지속적인 관심과 안정된 보살핌이 필요한 시기이다. 하지만 현대사회의 발전으로, 가정에서의 불화·갈등·해체로 인해 아동에게 부적절한 양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가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21773
부산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2018.2
2018
한국어
375.65 판사항(5)
부산
v, 51장 : 삽화, 도표 ; 27 cm
지도교수: 김정임
참고문헌: p. 49
I804:21008-20000000413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아동들은 부모의 지속적인 관심과 안정된 보살핌이 필요한 시기이다. 하지만 현대사회의 발전으로, 가정에서의 불화·갈등·해체로 인해 아동에게 부적절한 양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가정�...
아동들은 부모의 지속적인 관심과 안정된 보살핌이 필요한 시기이다. 하지만 현대사회의 발전으로, 가정에서의 불화·갈등·해체로 인해 아동에게 부적절한 양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가정에서 안정적으로 이뤄지지 못한 양육의 결과는 아이들의 사회적인 사회성 결핍이나 대인관계에서의 공감능력 부족 등의 양상으로 현대의 큰 문제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문제가 가정에서 완화될 수 없다면, 교육적인 면에서 해결할 수 있는 대응책이 필요하다 생각했다.
필자는 그 대응책을 아동미술교육에서 찾고자 하였다. 아동은 글보다 그림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쉽게 잘 전달하며, 자신의 내면에 감추어져 있던 생각들, 느낌들을 표출하기도 한다. 이러한 감정들을 표현함으로 자신도 알지못하게 카타르시스를 느끼기도 하고, 완성작품을 통해 자신감도 생기게 된다. 이렇듯 미술은 아동들의 정서를 움직일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다. 하지만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교육은 아동의 정서적인 부분을 치료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하기에 문제점과 한계들이 있었다. 그렇기에 미술치료를 활용·적용하여 아동들의 창의성 함양과 정서적인 안정감 증진에 중점을 둔 교육프로그램을 모색하고 연구해보려고 하였다.
그리고 연구는 표본집단의 실험을 토대로 진행되었다. 실험을 통하여, 교사가 학생을 이해하는데 어떠한 도움을 주고, 학생 또한 교사와의 관계적인 부분에서 바람직한 관계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지, 아동들의 정서적인 안정의 부분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결과를 객관적으로 증명하지 못하는 제한점과 학생들의 완성된 결과물이나 관찰의 분석 또한 주관적인 입장이 들어간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교육현장에 활용하기 해서는 지속적인 관심과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