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SCIE KCI등재

      교정용 호선의 세포독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ytotoxicity of orthodontic wi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04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널리 이용되고 있는 두 종류의 교정용 호선에 다양한 처리를 가한 후 호선의 세포독성을 비교,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018x025 inch 굵기의 stainless steel 호선과 Co-Cr 호선을 실험 재...

      본 연구는 널리 이용되고 있는 두 종류의 교정용 호선에 다양한 처리를 가한 후 호선의 세포독성을 비교,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018x025 inch 굵기의 stainless steel 호선과 Co-Cr 호선을 실험 재료로 선택하여 stainless steel 호선을 A호선, Co-Cr 호선을 B 호선이라 칭하였으며 각각의 호선을 다시 가해진 처리에 따라 4군으로 나누었다. A-1군과 B-1군은 제작된 상태 그대로의 호선을 이용하였으며 A-2, B-2군은 기기를 이용하여 850°F에서 4분간 열처리하였다. A-3, B-3군은 같은 방법으로 열처리한 후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전해연마를 시행하였고 A-4, B-4군은 소량의 은납(Ag-solder)을 납착(soldering)하였다. 사람의 치은 섬유아세포를 배양하고 agar overlay법을 이용하여 각군의 호선의 세포독성을 검사하였으며 세포독성을 반응지수 (탈색지수/용해지수)로 평가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stainless steel 호선과 Co-Cr 호선 모두 제작된 그대로의 상태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2. 두 호선에 대한 열처리나 전해연마는 호선의 세포독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3. 은납이 납착된 stainless steel 호선은 은납이 납착된 Co-Cr 호선에 비해 더 넓은 범위의 탈색을 나타냈으나 탈색지수와 세포독성(반응지수)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은납이 납착된 호선은 두 호선 모두에서 중증도의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ytotoxicity of orthodontic wires after doing various treatments to the wires. 018x025 inch Stainless steel(A) and Co-Cr(B) wires were used and each of them were divided into 4 groups. A-1 and B-1 groups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ytotoxicity of orthodontic wires after doing various treatments to the wires.
      018x025 inch Stainless steel(A) and Co-Cr(B) wires were used and each of them were divided into 4 groups. A-1 and B-1 groups were as received state, and A-2 and B-2 groups were heat treated. A-3 and B-3 groups were electropolished after heat treatment, and A-4 and B-4 groups were soldered with Ag-solder. Each group had 3 wires and these were sterilized with Ethylene Oxide gas.
      We used human gingival fibroblast cell culture and agar overlay technique to investigate the cytotoxicity of each group of wires. The cytotoxicity of wire was assessed using reaction index (zone index / lysis index).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Both of the stainless steel wire and Co-Cr wire showed no cytotoxicity in as received state.
      2. Heat treatment or electropolishing of the wires had no effect on the cytotoxicity of the wires.
      3. Soldered stainless steel wires showed a little wider zone of discoloration than soldered Co-Cr wires, but the zone index and cytotoxicity(reaction index) was not different.
      4. Soldered wires showed moderate cytotoxicity in both of the wir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